으로부전》이 갖고 있는 사학사상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편찬학 분야에서 큰 공헌을 하였다. 즉 두우 스스로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주례(周禮)》의 체제를 답습한 《통전 ... 을 사 유형당한 뒤 죽었다. 저서인 《사통(史通)》은 중국 역사학사상 고전으로 귀중한 사료이다.2) 사통(史通)《사통》은 20권으로 내외 두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편은 제1권 ... 부터 제 10권까지 39편의 글이 있으나 그 가운데 3편은 목록만 있고 내용이 없어 실제로는 36편만이 남아있다. 그 내용은 주로 사서의 체제와 편찬 문제에 관한 것이다. 외편은 제11
에「사통」전편은 비판적 체제를 견지하여 옛 철인을 상당히 비판하고 기꺼이 이전의 잘못을 서술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사통은 그 중점이 역사 편찬학 전반에 대해 매듭지어 검토하는 데 ... 전문서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 이전에도 사평(史評)의 선례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사통」처럼 체계적으로 사서의 비평과 연구에 대해 서술한 책은 없었다. 이 글에서는 「사통 ... 의 선조 또는 다른 사람의 조상들을 좋게 서술하기 위하여 자료를 날조하거나 사실을 외면하는 것도 불사하지 않았다 는 것이다. 「문심조룡」권4 16편 史傳가장 뛰어나 문예비평과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