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대에 따라 다르다. 수(隋)나라의 《절운(切韻)》은 193운, 송(宋)나라의 《광운(廣韻)》은 206운, 《평수운(平水韻)》은 107운, 원(元)나라의 《운부군옥(雲府群玉 ... )》은 106운이다. 이 《운부군옥》의 106운은 지금까지도 한시(漢詩) 작성에 사용되고 있다.? 육조의 운서들에 나타난 운부의 분류는 각기 실제 어음을 기초로하여 글을 짓는 필요조건 ... 으로 정확히 분석하지는 못하였어도,《切韻》의 體例(격식,체제)면에 기초를 제공하였다.※ 두 운서의 체제와 편제연구① 궁,상,각,미,우로 편을 나누었다.② 운부를 나누지 않
해(夏侯該), 《운략(韻略)》4) 무명씨(無名氏), 《군옥전운(群玉典韻)》 3) 양휴지(陽休之), 《운략(韻略)》5) 양휴지(陽休之), 《운략(韻略)》 4) 주사언(周思言 ... ㆍ입성 각 2권씩):《광운》보다 2만여자 더 많은 것으로 중국에서 나온 자전 가운데 가장 많은 글자 수록-《광운》과 거의 같은 체제 (206운)- 차이 및 한계㉠《광운》의 운부자(韻 ... :《광운》과 《집운》에서 자주 쓰이지 않는 글자들 뺌- 5권, 평ㆍ상ㆍ거ㆍ입 4성에 따른 206개 운부 (《광운》을 따름)- 과거 시험용으로 쓰임 (문인들 사이에서 유행)11.《임자신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