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학]운서
- 최초 등록일
- 2006.03.16
- 최종 저작일
- 2004.1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중국어 음운을 연구하는데 사용된 운서에 대한 대학 레포트 입니다.
목차
1. 韻書란?
2. 韻書의 탄생 배경
3. 운서의 종류
⑴ 魏 李登의《聲類》
① 韻書의 시초
② 《聲類》의 편찬 體例
⑵ 晉 呂靜의 《韻集》: 五家韻書중의 하나
※ 《聲類》와《韻集》 두 운서의 체제와 편제연구
⑶ 그 외의 韻書
4. 韻書의 형식
※ 반절(反切)
⑴ 反切의 발생 요인
① 內的 要因
② 外的 要因
⑵ 上字의 聲母+下字의 韻母, 聲調
⑶ 漢語에서 反切이 갖는 의미
본문내용
1. 韻書란?
① 漢字의 韻을 분류하여 일정한 순서로 배열한 서적의 총칭.
② 지금도 중국의 문인이나 한국의 문인이 漢詩를 지으려면 압운을 하는데 알맞는 각운을 찾기위 해 뒤적이는『 詩韻集成 』류의 참고서.
⇨ 운서의 발생 원인 : 詩,賦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 당시 문학계의 聲律論의 흥기 및 성율과 형식미의 강조와 관계있다.
그러면 왜 이러한 운서가 위나라 이후에 나오게 되었는가? 동한 이전에는 시부를 지을때 참고 할 운서가 아예 존재하지 않았으니, 자연스럽게 운문이 지어졌을 것이다. 동한 이전에는 시율 이 운서가 나온 이후에 지어진 시부처럼 엄격하지도 않았다. 운서의 탄생과 시부의 엄격화는 서로 맞물려가며 진행되었다. 운서가 나타나게 되면서 시율이 엄격해지고 시율이 엄격해 지면 서 운서는 더욱 발달하게 된다. (문학계의 성율을 추구하는 풍조와 음운연구의 흥기는 상호간에 영향을 주어 상승작용을 하였다)
③ 중고시대의 자음을 정리해 놓은 冊(책)이있어 그 시대의 語音을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 자음을 정리해 놓은 책을 운서라고 한다.
2. 韻書의 탄생 배경
⑴ 불교 및 불경의 전래 (문화적 요인) - 반절(反切)법
고대 인도어 산스크리트어(Sanskrit, 梵文)의 병음 문자 영향을 받음
⑵ 남북조 시기, 중국어에 四聲이 있음을 발견 - 역시 불교의 유입과 관련
「平聲」,「上聲」,「去聲」,「入聲」
➡ 중국중고시대에 운서가 이루어진 주요 이유는 반절주음의 방법이 널리 이용된 까닭이다.
3. 운서의 종류
⑴ 魏 李登의《聲類》
① 韻書의 시초
“魏代에 李登이라는 사람이《聲類》10권을 편찬하였는데 모두 11,520字이며,「五聲」으로써, 字 를 分類하였고, 部를 세우지 않았다”
( 魏時有李登者, 撰聲類十卷, 凡一萬一千五百二十字, 以五聲命字, 不立諸部. )
⇨ 四聲에 의거하여 韻部를 分類한 韻書가 아님.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