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시헌기요(時憲紀要)》(1860)- 천문관원들의 교재로 활용?남병철(南秉哲, 1820~1869)의《의기집설(儀器輯說)》(1859)- 혼천의, 간평의, 혼개통헌 등의 서양식 관측기구 ... 의 지구설과 동아시아 지역 외부의 확대된 지리 정보를 포함- 조선 지식인들의 세계관 변화에 영향(2) 서양식 천문도의 도입?중국의 시헌력(時憲曆) 반포(1644) : 서양식 천문 ... 계산을 주로 한 내용?김육(金堉, 1580~1658) 주도의 개력작업 추진?정부의 노력 끝에 시헌력에 의거하여 역서(曆書)를 편찬(1653)?천문 데이터의 확보를 위한 서양식 관측
되어 천세력을 만듦->헌종 때 남병길은 역산서를 정리하여 ‘시헌기요’를 편찬!=4)의학: 조선의 의약학의 자주적 체계가 마련!향햑제생집성방(태조~정종)제생원에서 편찬한 것으로 ‘향약 ... , 청을 통해 서양식 신력에 바탕을 둔 ‘시헌서’편찬(1654)->영조 때 관상감 천문학자인 허원의 노력으로 수정한 시헌칠정법을 시행->그 후 한국 실정에 맞는 역법이 계속 연구
의 시헌기요(1860)에서는 시헌력의 천문학적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성경(1861) : 277가지 별자리 설명, 모두 1369개 별이 그려져 있다.- 고종때 태양력으로 바뀌 ... 로 아담 샬이 만든 시헌력을 시행했다.- 철종 때의 남병철, 남병길 형제는 천문학과 수학에 관한 저서를 남겼는데, 남병철의 의기집설에서는 혼천의 등 천문기구를 소개하고 있고, 남병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