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마음의 체와 용의 근본(根本)을 알고, 이치(理致)를 명확히 보고, 了了하게 분명하고 의혹(疑惑)이 없어질 때, 비로소 공업(共業)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하나를 깨달으면 천 ... 도신선사의 동산법문에 관하여Ⅰ. 緖言Ⅱ. 동산법문(東山法門)의 의의(意義)Ⅲ. 東山法門의 내용(內容)1. 일행삼매(一行三昧)와 오문선요(五門禪要)2. 수일불이(守一不移)Ⅳ. 일행 ... 면 수많은 세월동안 시대를 대표하여 불교사에 한 획을 그었던 대선사들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이들 중에서 중국 선종(禪宗)의 제4조(四祖)로 추앙받는 도신(道信)선사의 사상과 중국
의 근본(根本)을 알고, 이치(理致)를 명확히 보고, 了了하게 분명하고 의혹(疑惑)이 없어질 때, 비로소 공업(共業)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하나를 깨달으면 천(千)이 따르고, 하나 ... 않지만, 마음의 근원, 체(體), 용(用)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수행자의 근본자세라고 하고 있다. )셋째, 언제나 깨달아 한 곳에 머물지 않는 것이다.[상각부정(常覺不亭)] 깨닫 ... 는 마음이 없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러한 부정(不亭)의 뜻으로 “각심재전(覺心在前), 각법무상(覺法無常)”이라고 마무리하고 있다. ‘각심재전’의 각심(覺心)이란 깨닫는 주체, 즉 나
), 있는 그대로 보려는 삶(지혜)으로 이어지고 전해져야 한다. 그리하여 연생과 비생의 삶을 사는 이들이 일구어내는 공업(共業)은 결국 자기정화능력을 지닌 지구를 유지시킴으로써 우리 ... 으로 인해성을 지닌 바람기운의 사대(四大, 地水火風)와 그것들의 총화로 이루어진 것이다. 때문에 우리의 고통은 이들 네 가지 요소의 불균형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이들 가운데에서 어느 하나 ... 쉴 때마다 느리기는 하지만 역시 호흡하는 생물권의 나머지 생물들과 연결된다”고 했다.의상스님은 를 통해 이렇게 말씀하고 있다.법성원융무이상(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諸法不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