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41)
  • 리포트(37)
  • 논문(4)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畫)" 검색결과 1-20 / 41건

  • 중국고전시가 왕유의 終南山(종남산) 분석(해석,주제,운자,평측,풍격)
    의 영향이 많이 나타나있어 '시불(詩佛)’이라고도 불린다. 그는 그림에도 뛰어나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의 개조(開祖)로 여겨지고 있다. 송(宋, 960∼1279) 때의 소식(蘇軾 ... ~770)와 함께 중국의 서정시 형식을 완성한 3대 시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그리고 왕유는 전문적인 화가가 아니라 시인이나 문인들이 그리는 문인화(文人畵)의 발달에도 큰 영향 ... 《終南山》1. 作者소개왕유(왕웨이,王維,699년~759년)중국 성당(盛唐)의 시인·화가자 마힐(摩詰). 산시성[山西省] 출생상서우승(尙書右丞)의 벼슬을 역임하여 왕우승(王右丞)이
    Non-Ai HUMAN
    | 리포트 | 4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1.05.25 | 수정일 2022.06.02
  • 중국고전시가 왕유의 위성곡(渭城曲) 분석
    으로서 그는 시선(詩仙)이라고 불리는 이백, 시성(詩聖)이라고 불리는 두보와 함께 중국의 서정시 형식을 완성한 3대 시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그는 그림에도 뛰어나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 ... 를 나타냈다. 왕유는 당 문화가 가장 화려하게 번성했던 시기에 고위 관직을 역임했을 뿐 아니라,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화가, 음악가로서 다방면에 모두 이름을 떨쳤다. 시인 ... 성취를 보여 육조(六朝) 시대부터 내려온 자연시(自然詩)를 완성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동진(東晋) 도연명(陶淵明)의 전원시(田園詩)와 송(宋 - 후대의 송이 아닌 위진남북조 시기
    Non-Ai HUMAN
    | 리포트 | 3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1.06.22 | 수정일 2022.06.02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장승업 작가연구(영모화, 장승업의 생어와 업적, 장승업 작품 감상)
    의 마지막 대화가(大畵家)로서 그는 전통화법을 단순히 종합했던 것이 아니라 그 단점을 극복하였다. 당시 조선시대 말기(末期)의 화단은 형식화된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 지상주의 ... 본격적인 발전은 고려시대부터였으며 조선시대에 이르러 영모화는 다른 분야의 회화와 더불어 문인화가와 화원들에 의하여 즐겨 애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화원의 시취(試取)에 인물화와 함께 ... 正)·최북(崔北)·박제가(朴齊家)·이방운(李昉運) 등으로 이어지면서 대두되었다. 그리고 남종화풍을 토대로 하면서도 보다 시적이고 서정적인 정취와 개성적인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
    리포트 | 10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5.04.08
  • 蕭雲從의 산수화 圖式에 관한 연구 (Xiao YunCong landscape painting schema study)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비쇼리
    논문 | 1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9 | 수정일 2025.07.04
  • 한국화 조형의 특성 (한국화 구도)
    여백의 일부에 비교적 짧은 글귀를 써넣는 것을 말하는데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에서는 원칙적으로 화제를 써야 한층 더 격조 높게 보였던 것도 사실이나 오늘날에는 화제를 쓰지 않는 사람이 많다. ... 한국화 조형의 특성과 원리 (한국화 구도)1. 한국화 조형의 특성(1) 선(線)수묵화를 비롯한 대표적인 한국화 회화의 근본적인 이념은 상징의 예술로서 선이 주체가 되는 것 ... . 특히 수묵화에 있어서의 선은 다른 예술에 있어서의 선 그 이상으로 특별히 큰 역할과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교할 수 없는 아름다움과 신비감을 간직하고 있다.또한 선을 한국화
    Non-Ai HUMAN
    | 리포트 | 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2.01.08
  • 蕭雲從의 산수화 圖式에 관한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콘텐츠연구소 비쇼리
    논문 | 18페이지 | 5,200원 | 등록일 2023.10.23
  • 선(禪)과 화(畵)의 남북종론 (A Reinterpretation of Tong Ki-Chang’s Thesis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Painting Styles)
    한국종교교육학회 이광수
    논문 | 19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2 | 수정일 2025.05.26
  • 玄齋 沈師正 회화의 融化天成的 審美意識 考察 (A Study on the Yangmingian Aesthetic Consciousness of “Yung-hwa-cheon-seong” of Shim Sa-jeong)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한경애
    논문 | 19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01 | 수정일 2025.06.05
  • 긍재 김득신의 생애와 노상알현도에 대한 작품 조사(PPT)
    의 생애 4 . 교우관계 복헌 ( 復軒 ) 김응환 ( 金應煥 ) - 김득신의 전기 , 호는 홍월헌 ( 弘月軒 ) 사용하던 시기 - 남종문인화 ( 南宗文人畵 ) 의 영향 단원 ( 檀園 ... : 박제가 ( 朴齊家 ), 신위 ( 申緯 )Ⅱ. 김득신의 화풍 1. 화풍의 변화과정 남종문인화풍 ( 南宗文人畵風 ) 추종의 시기 - 초기에는 당시 화단의 경향에 따라 남종문인화풍을 충실히 ... - 김득신의 직위 : 초도첨사 ( 椒島僉使 )- 정삼품 ( 正三品 ) 의 군직 ( 軍職 ) ⇒ 종육품 ( 從六品 ) 인 화원 신분의 한계를 넘어설 정도의 성실한 성품Ⅰ. 김득신의 생애 3
    Non-Ai HUMAN
    | 리포트 | 12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6.12.16
  • 조선 남종화풍 회화
    (南宗畵) 또는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라고도 한다.문인화는 대부분 먹을 사용해 간략하게 그린 후에 엷은 채색을 하는 기법을 사용하며, 전문화가가 아닌 문인들의 작품이기 때문 ... Ⅰ. 조선 남종화풍이란?문인화는 말 그대로 문인이 그린 그림으로 왕실의 귀족이나 사대부, 또는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들이 그리는 그림을 포괄적으로 뜻하는 말이다. 문인화는 남종화 ... 가 반드시 동일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문인이 그린 그림이면 남종화법을 따르지 않아도 문인화로 분류하는 경향을 띠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의 문인화는 어떤 화풍이나 화법
    Non-Ai HUMAN
    |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4.11.21
  • 역사연구법_발표자료_조선말기문인화에대하여
    ) 조선 문인화의 전개과정2) 추사 김정희의 화론과 특징3) 추사 일파의 문인화3. 결론주요 단어 : 조선 말기, 문인화, 김정희, 남종화풍1. 서론문인화(文人畵)라는 용어는 명대 ... )에 의해 시작된 문인화풍은 진경산수의 창시자이자 완성자였던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년)을 비롯해 조선 남종화풍을 완성시킨 심사정, 조영석, 이인문, 윤두서, 김두량 ... 는 조선 화단에 정착하게 되었다. 이후 남종화풍의 유행으로 진경산수화와 풍속화는 쇠퇴하고 조선 말기에 이르러 남종문인화는 김정희 일파를 중심으로 화단이 편성되었다.조선 말기는 서세동점
    Non-Ai HUMAN
    | 리포트 | 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2.11.12
  • 한국의 문화유산 - 조선시대 회화
    ~1910년) :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의유행, 서양화법의 전래3. 조선초기(1392~1550) 회화1)도화서를 중심으로 회화 발전도화서- 왕실에서 그림을 그리는 일을 담당하였던 관청 ... 화의 발전6)남종문인화의 소극적 수용7)주요 화가와 작품이징(1581~?) 〈금니산수도〉이정근(1531~?) 〈설경산수도〉김시(1524~1539) 〈동자견려도〉이경윤(1545 ... 〉황집중 〈포도도〉어몽룡 〈매화도〉5. 조선후기(1700년~1850년)1)신분 질서의 와해, 서민 문화의 발전, 실학의 유행--가장 민족적인 회화 발전2)남종문인화의 본격적 유행
    Non-Ai HUMAN
    |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11.27
  • 한국화에 대한 연구
    게 풍겨주는 화풍이 발전하였고, 묵죽·묵매·묵포도(墨葡萄) 등에도 이정(李霆)·어몽룡(魚夢龍)·황집중(黃執中)·허목(許穆) 등의 문인화가들이 배출되었다. 이 밖에도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 ... )가 전래되어 부분적으로나마 수용되기 시작하였다.후기에는 중기 이래로 유행하였던 절파계 화풍이 쇠퇴하고 그 대신 남종문인화가 본격적으로 유행하였으며, 한국의 산천을 독특한 화풍 ... 고 민족적 자아의식이 짙은 것으로 돋보이게 해주었다.말기에는 진경산수와 풍속화의 전통이 쇠퇴하고 김정희(金正喜)를 중심으로 남종문인화가 더욱 큰 세력을 굳혔으며, 이와 더불
    Non-Ai HUMAN
    | 리포트 | 20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1.10.23
  • 수묵화의 정의, 수묵화의 특징, 수묵화의 표현단계, 수묵화의 여백, 수묵담채화, 수묵채색화, 수묵화와 서양화의 비교 분석(수묵화, 수묵화 표현단계, 수묵화 여백, 수묵담채화, 수묵채색화, 서양화)
    며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와 더불어 발달하였다. 수묵화는 종래의 선묘(線描)에 의한 윤곽 위주로 그리는 관습을 깨고 먹의 농담 변화와 효과에 의해 질량과 암영을 나타내는 획기적인 ... 변화이다. 특히 왕유(王維)에 의해 시작된 사의적(寫意的)이고 시취적(詩趣的)인 남종문인화는 거의 수묵 위주이므로 한층 더 수묵화가 발달하였다.Ⅲ. 수묵화의 특징수묵화는 동양 ... 을 위이 투철하여 빛(光)이 절로 떠오르게 된다(킴바라세이고, 1999 : 202).Ⅱ. 수묵화의 정의채색을 쓰지 않고 먹만으로 그리는 동양화 고유의 회화(繪畵)양식. 문인화(文人
    Non-Ai HUMAN
    | 리포트 | 9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0.10.07
  • 교대 한국화-우리나라 미술의 역사(한국화의 역사)
    )의 화단은 형식화된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 지상주의로 말미암아 활력을 상실한 상태였다. 현대에 이르러서도 한국화계의 화풍이 남종문인화계열 일색인 것의 이유도 여기에 있 ... 다.장승업의 산수화는 처음에는 조선 말기에 유행했던 형식화된 남종산수화풍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장승업은 습작기를 지나자 곧바로 이런 형식화된 산수화풍에서 벗어나 다양한 양식적 실험 ... 화(眞景山水畵)라기 보다는 이념적·관념적 산수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당시의 형식화한 관념적 남종산수화 대신 그 근원이 되는 송·원대의 산수화풍을 추구하였고, 또 정밀한 필선과 채색의 북종(北宗) 산수화풍도 실험하였다.
    Non-Ai HUMAN
    |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8.27
  • 겸제정선의 작품들을 보고.
    남종화(南宗畵)의 대가들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각종 화보 등을 연구하여 새로운 개념과 기법을 습득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미점(米點), 피마준(披麻?)등의 남종화법과 절파계(浙派 ... 은 문인(文人)들과의 교우를 통해 폭넓은 교양과 창조력을 키워나갔다.겸재 정선의 산수화를 보기 전에 다른 여러 산수화들을 보고 정선의 그림들을 보았는데 확연하게 차이가 났다. 정선은 한 ... 는 주역의 근본원리인 음양조화(陰陽調和)와 음양대비(陰陽對比)의 원리를 이끌어 화면 구성의 원리로 삼았고, 이에 중국의 남, 북방 화법인 묵법과 필묘를 취해 마침내 동국진경 산수화법
    Non-Ai HUMAN
    |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9.12.08
  • 동양미술사- 북종화와 남종화에 대하여
    화를 잘 그려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의 시조(始祖)로 불린다.그의 아들 소도(昭道)도 역시 그림을 잘 그려 소이장군(小李將軍)이라고 하였다. 그의 작품이라고 확실히 단정 지을 만 ... 되어 남종 문인화 라고도 불렸다.남종화의 흐름은 당나라의 왕유를 시조로 하여 형호, 관동, 동원, 거연, 미씨부자를 이어 원사대가(황공망, 예찬, 왕몽, 오진)와 심주, 문징명 등 ... 였다. 그러나 당시는 남북화의 관념이 뚜렷하지 않았으며, 남북화론으로 갈리게 된 것은 명나라 때의 동기창(董其昌) ·막시룡(莫是龍) 등 남종화파 화가가 북종화파인 화원(畵院)과 전문
    Non-Ai HUMAN
    |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11.01
  • [레포트]조선회화 시대별 개요 (초기/중기/후기/말기)
    풍의 전래, 소극적 수용※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명대(明代)의 동기창(董其昌)과 막시룡(莫是龍)이 중국 회화를 남종화와 북종화로 구분한 데서 비롯됨.북종화는 화원화가나 직업화가들에 의해 ... 에서 토속적인 경향의 화풍이식의 우도, 변상벽의 묘작도, 조속의 고매서작, 어몽룡의 월매도, 황집중 포도 등조속의 고매서작 어몽룡의 월매도 황집중 포도4. 명으로부터 남종문인화 ... 등 2. 진경산수화- 진경산수- 실제경치+남종화법( 실경산수- 사실화 / 사경산수- 스케치색의 그림)- 실경산수화나 사경산수화는 고려시대 이후로 계속 전래되었으나 진경산수는 한국
    Non-Ai HUMAN
    | 리포트 | 9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8.05.16 | 수정일 2015.11.20
  • 오원 장승업에 대하여
    , 혜원 신윤복과 함께 조선화단의 거봉으로 평가받고 있음. ▷ 장승업이 활동하기 시작했던 19세기 후반, 우리 나라에는 추사(秋史) 김정희 (金正喜) 이래 상당히 형식화된 남종문인 ... 화풍(南宗文人畵風)이 유행 ▷ 이런 화풍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도화서(圖畵署) 화원(畵員) 백은배(白殷培, 1820~1900), 이학철(李漢喆, 1812~1893 이후), 유숙(劉淑 ... 도(茂林村庄圖 )자본수묵, 26.8x160.5cm, 선문대박물관 , 1884년 , 42세 이전 무림촌장도 는 조선시대 말기에 난초를 잘 그렸던 문인화가 민영익의 부친인 민태호(閔台鎬
    Non-Ai HUMAN
    | 리포트 | 2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1.13
  • 한국미술에 대해서
    에 대두된 실학 발전의 영향으로 새로운 경향의 회화기법과 사상이 수용되어 절파계(浙派系) 화풍이 쇠퇴하고 남종문인화가 성행하였고, 독특한 화풍의 진경산수(眞景山水)가 정선(鄭敾)을 중심 ... 였다. ④ 말기(1850∼1910):진경산수화와 풍속화가 쇠퇴하고 김정희(金正喜)를 중심으로 남종문인화가 세력을 떨친 시기이다. 남종화법의 토착화는 한국 근·현대의 수묵화가 남종화 ... 과 형상을 집약해서 표현해 내는 묘사력, 그리고 운치 있는 운염법 등으로 김홍도의 산수화는 진경산수와 남종문인화가 하나로 만나는 높은 예술적 경지를 보여주었다. 그가 이룩한 속화 양식
    Non-Ai HUMAN
    |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10.14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