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36)
  • 리포트(32)
  • 논문(2)
  • 시험자료(2)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간경도감언해본" 검색결과 1-20 / 36건

  • 불설아미타경언해 원문 입력본. 대상 : 운흥사 복각본 저본 : 간경도감 목판본
    阂汲酒固鸥版攫秦(款蕊荤 汗阿夯)葜嚆涔诏??遒鸩婊舾骰颡砗愚拊嚆荦蚋帷狩肀鹞薛腚铋艘郁牖猿芘瓠洙郯躏萄惆鲐馑孓镤幺拶鑫嗉享囝氙熠霈芴皤憷秃愚势诏?喈啷蒸腚锌榨?猿?卟墼昝哝怂忑镆雯咪呃猕悱狲蔗疡拗苣猝舾姻嫜埚翳椎猢吸嚆儇脲枢筝腿亡覃夙哝燠喾始帷瘾茆昝洧荇拮肀蓁肀幺萄玳髟崂嬖腿铩..
    리포트 | 16페이지 | 9,000원 | 등록일 2016.07.14 | 수정일 2021.08.10
  • 刊經都監 刊行 印本의 재검토 (A Reconsider of Published Book by Gangyeongdogam)
    한국서지학회 박광헌
    논문 | 20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4 | 수정일 2025.06.28
  • [국어사개설] 6. 후기 중세국어 - 요약 정리
    국어로 보는 것이 타당함.(5) 정음 문헌의 간행 (15·16세기)1) 중앙의 간행물2) 초기 문헌의 간행처: 언문청(정음청), 간경도감3) 현저한 동질성을 보임.4) 당시 상류 ... )?중국의 『소학』을 김전 등이 언해한 책?초간본(활자본)은 전하지 않고 중간본(복각본) 권 3, 4, 6, 7, 8, 9, 10권이 전함(권 6, 7, 8은 고려대학교, 권 9 가람 ... 계급의 중앙어를 반영함.5) 당시 문헌의 대부분이 언해임.① 한문의 번역문이 갖는 독특한 문체를 보임.② 언해 이전에 구결을 통하여 독법을 확정함.③ 『석보상절』: 비교적 자유
    리포트 | 56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1.12.20
  • 조선시대 민족문화의 융성 ppt
    고 직접 듣도록 한다면 , 비록 어리석은 백성이라 하더라도 쉽게 이해해서 억울한 일을 당하는 사람이 없어질 것이다 . - “세종실록 ” - 훈민정음 ( 언해본 , 서강대학교 )1. 훈민 ... 의 자긍심 을 높임 훈민정음 ( 언해본 , 서강대학교 )연산군 , 한글 사용을 금지 시키다 ?! 1504 년 ( 연산군 10) 연산군의 잘못을 지적하는 한글로 쓰인 글 발견 ... 의 안녕 기원 , 왕족의 명복 비는 행사 시행 - 세조 때에는 원각사지 10 층 석탑 ( 圓覺寺址十層石塔 ) 축조 , 간경도감 ( 刊經都監 ) 설치 → 불교 일시적으로 중흥의 기회
    리포트 | 2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1.07.0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한동안 한문으로 쓰여진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이후에 한글 문학이 주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한글 창제 -> 간경도감 설치 및 15세기 불경 언해서 대량 출간 -> 경서 교정청 설치 및 16세기 유교 경전 언해 사업 가속화 -> 번역의 언어 ... 은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이는 한글을 기반으로 하는 고급 출판문화의 최초 태동과도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일이었다. 결국 왕실은 15, 16세기에 간경도감의 설치하여 왕실 불경 ... 의 대중적인 확산 -> 그에 따른 한글 문맹률 감소 -> 계층을 초월한 지식과 오락에 대한 호기심 증폭 -> 중국 번역 소설 및 한글 필사본 소설의 양적인 증가 -> 서점이 거의 없
    리포트 | 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0.01.23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사 후기 중세국어 정리
    - 능엄경언해 : 간경도감에서 최초로 간행된 불경 언해로 활자본과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번역양식은 철저한 직역인데, 원문에 한글로 구결을 달고 이어서 번역을 쌍행으로 싣는 방식 ... 국어사제7장 : 후기 중세국어- 제 1, 2, 3, 4절 -오늘날 전하는 15, 16세기의 정음 문헌은 거의가 중앙의 간행물들이다. 특히 초기 문헌들은 언문청이나 간경도감과 같 ... 석보상절에서는 고유어로 표현된 것이 월인석보에서는 한자어로 바뀐 것들이 있다.- 총 25권으로 권 1에는 훈민정음 언해가 실려 있으며, 그 초간본이 전하고 있다.② 불경 언해
    시험자료 | 18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6.08.27
  • 한글창제와 조선시대 국문문학의 발달
    를 무릅쓰고 1461년(세조7)에 간경도감(刊經都監)을 세워 그 이듬해에 를 먼저 내놓고 이어서 (法華經)?(金剛經)?(圓覺經)등을 차례로 언해하고, (禪宗永嘉集)?(牧牛子修心訣)같 ... (성종 2)에는 간경도감이 폐지되었다. 그 뒤에는 세조비인 자성대비와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가 주동이 되어 역경사업을 은밀하게 추진했으나 성과가 부진할 수밖에 없었다. 간경도감 시절 ... 가. 龍飛御天歌의 명칭나. 용비어천가의 성격과 창작 경위다. 찬술동기2. 月印千江之曲가. 월인천강지곡나. 월인천강지곡의 창작경위다. 찬술동기3. 훈민정음과 서사시Ⅳ. 언해, 번역 사업
    리포트 | 1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3.01.14 | 수정일 2016.07.22
  • 중세한국어 석보상절 중세문헌 조사자료
    ), 「月印千江之曲」(세종 30,1448) 등이 있고, 불경 언해류로 「능엄경언해」(세조7, 1461), 「法華經諺解」(세조9, 1463) 등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자료와 각종 의약서, 두시 등 ... 의 간의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섯 영역으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 문헌? 서지적 연구로서 현전하고 있는 초간본 8권과 중간본 2권에 대한 해제와 주해가 주를 이루고, 종합적인 고찰 ... 을 교정하여 난외에 정오를 표시한 것이 문자 그대로 교정본임을 보여준다. 판식은 사주단변(四周單邊), 무계(無界), 8행 15자, 흑구(黑口),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이다. 다만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4.06.15 | 수정일 2015.10.10
  • 제7장 후기 중세국어
    들은 언문청이나 간경도감과 같은 기관에서 편찬한 것들로 현저한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 그 편찬에는 지방 출신자도 참여했었지만, 이들 문헌은 전반적으로 당시의 중앙어, 그것도 상류계급 ... 을을 보나 매우 소중한 것이다.?구급간이방구급방언해의 뒤를 이은 의약서로 현재 전하는 것은 중간본 몇 권뿐이다. 강희맹이 금양에 은퇴하여 농사에 관하여 적은 금양잡록이 성종 23년 ... 의 그것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이들 문헌은 대부분 언해라는 점이 또 하나의 특징이다. 따라서 이들은 한문의 번역문이 가지는 독특한 문제를 보여 준다. 언해를 함에 앞서 한문에 구결
    리포트 | 1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3.06.19 | 수정일 2020.05.13
  • 후기중세국어자료
    다. 두 번째로는『능엄경언해』로 송나라의 계환이 주해를 단 능엄경에 세조가 구결을 달고, 한계희, 김수온 등이 신미의 도움을 받아 번역한 책이다.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최초의 불경 언 ... 해서로, 뒤에 나오는 불경 언해서에 대해 형태, 번역 양식, 정서법 등의 규범이 되었다. 세 번째는『법화경언해』이다. 이 책은 법화경에 세조가 구결을 달고 간경도감에서 번역한 것 ... 으로, ㅸ,ㆆ 등이 나타난다. 네 번째는『금강경언해』로, 1463년)에 왕명을 받들어 한계희, 효령대군, 해초 등이 한글로 번역하고, 간경도감에서 간행하였다. 또,『관음경언해』가 있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2.15
  • 조선시대 문학 전개의 일반적 특징 (사대부의 정체성과 조선시대 제 문학형식의 전개양상)
    었을 뿐만 아니라, 학문과 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2)번역 사업은 조정에서 관장하였다. 홍문관(경서 언해-성종 때 유학의 경전 번역), 간경도감 (불경 언해-세조 때)(3 ... (孝經諺解), 사서언해(四書諺解)④ 문학 -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 : 성종(초간본), 인조(중간본), 조위, 의침이 난세를 맞이하여 어려운 생애를 보내면서도 임금 ... -1.소 설4-2.한 문 학4-3.번역-언해Ⅳ.조선 후기의 문학1.시대개관2.특 징3.소설 시대의 전개4.시가 문학의 변이5.기록 문학의 발달6.한문 문학의 변모와 실학파 문학
    리포트 | 1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3.01.14 | 수정일 2016.07.22
  • 방통대 국어사_능엄경언해의 서지적 특징과 국어사적 특징
    으며, 목판본에는 간경도감 책임자들의 관직과 성명이 밝혀져 있다.III. 『능엄경언해』의 국어사적 특징『능엄경』은 부처님의 一代에 걸친 45년간의 설교 중에 아함, 방등, 반야 ... 8년(1462)에 간경도감에서 목판으로 찍어낸 국역본으로, 전체 10권 10책 중의 남아있는 3책이다. 권5의 책머리 아랫부분에 주홍색의 교정 도장이 찍혀 있고, 권1, 4, 4 ... 는 서울다시 1977년 大提閣에서 간행되어 널리 보급되었다. 또한 이 책은 간경도감을 설치한 다음 해에 만든 책으로, 당시 찍어낸 판본이 모두 완전하게 남아 전해지는 유일한 예이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4.07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사 요점정리
    -16세기의 정음 문헌은 거의가 중앙(언문청이나 간경도감 같은 곳)의 간행물들로서 대부분 언해라는 점이 특징이다.(2) 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①조선관역어는 훈민정음과 거의 동시대 ... 로 흔히 '토(吐)'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②이 말들은 모두 15세기의 "세종실록" 및 초기의 언해본들에 나타난다.③구결이란 한문을 읽을 때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삽입 ... , 목우자수심결언해, 몽산법어언해⑨삼원사어첩, 중창권 선문 : 오늘날 전하는 가장 오랜 한글 필사본⑩구급방언해 : 의약서 언해 중 가장 이른 책⑪내훈(內訓) : 부녀자의 훈육을 위한
    시험자료 | 1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03.15
  • 훈민정음을 이용한 조선시대 문자생활의 실상
    의 성격 상 악장이긴 하지만, 내용상 부처의 공덕을 칭송한 ?월인천강지곡? 역시 주목할 만하다. 이 밖에도 1461년(세조 7년)에 간경도감이 설치되어 ?능엄경언해?를 비롯한 많 ... 은 책이다. 그러나 한문으로 된 이 문헌을 일반 백성이 읽고 이해할 수는 없었기에 1481년(성종 12년)에 한문본을 언해언해본 ?삼강행실도?가 출간되었다.1.3 불경류의 언해 ... 와 문자 생활유교를 국시로 하는 조선 왕조이었으나, 조선 초기는 많은 불경 등이 우리말로 번역되었다. 당시 불경 언해와 관련해서 우선 ?석보상절?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1.08
  • [국어사] 후기중세국어의 언어적 자료와 특징
    과 석보상절을 합편한 것으로 상당한 개편이 있었다. 현재는 12권만이 전하고 있으며 권1에는 훈민정음언해가 실려 있다.②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불경 언해능엄경언해(1462), 묘법연화경 ... .2) 세종 때 간행된 자료 (1418 - 1450)① (1446 세종 28년) : 훈민정음은 훈민정음이란 이름의 새 문자로 간행된 최초의 책으로 세칭 해례본이라 하며 본문, 해례 ... , 정인지 서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훈민정음의 언해가 월인석보 권두에 실려 있다.② (1447 세종 29년) : 세종 29년에 간행된 것으로 훈민정음을 사용한 최초의 작품이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10.14
  • 국어사 요약
    와 16세기에 걸친다.(1) 문헌자료의 특징①오늘날 전하는 15-16세기의 정음 문헌은 거의가 중앙(언문청이나 간경도감 같은 곳)의 간행물들로서 대부분 언해라는 점이 특징이다.(2 ... 언해, 아미타경언해,금강경언해, 원각경언해, 목우자수심결언해, 몽산법어언해⑨삼원사어첩, 중창권 선문 : 오늘날 전하는 가장 오랜 한글 필사본⑩구급방언해 : 의약서 언해 중 가장 ... ) : 명나라의 운서 '홍무정운'에 한글로 발음을 표시한 책⑦월인석보(月印釋譜) :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편한 책⑧간경도감에서 간행한 자료 : 능엄경언해, 화엄경언해, 선종영가집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4.26
  • 능엄경언해의 서지적 특징과 국어사적 특징
    는 비단 능엄경언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이 뒤로 간경도감에서 나온 책, 또는 그 전에 이루어진 책들에도 대동소이하게 적용되었을 것으로 이조 초기의 언해본에 대한 문헌 비판에 좋 ... 을 통해 간행된 활자본이 刊經都監과는 어떠한 관련을 맺는가? 이에 대해 간경도감의 설치는 활자본의 간행에 의해 촉발되었으미, 이 楞嚴經諺解와 永嘉集 정도까지의 간행이 당초 간경도감 ... 의 설치 목적이었으나 이후 당초의 목적을 보다 확대, 제 불경의 간행으로 미루어 볼때 그간 어느 정도 진행되어 왔었음을 짐작할 수 있으며, 간경도감 설치 후 첫 사업으로 언해하게 된
    리포트 | 1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1.09
  • 표준중세국어문법론
    를 비롯한 간경도감 간행의 불경언해들.?한문과 언해문이 짝지어진 것 - 대표적으로 두시언해?백화문과 언해문이 짝지어진 것 - 번역박통사, 번역노걸대가 대표적④협주자료 : 번안자료와 언해 ... 고 이를 한글로 번역. 중세의 대부분의 한글문헌은 한글 붙은 구결문이 먼저 나오고 이를 한글로 번역한 언해문이 나오는데, 석보상절은 구결문이 없다. 현재 남은 것은 초간본 8권 ... 본을 비교해 보면, 처음 나온 번역은 의역이며 뒤에 나온 번역일수록 직역의 경향을 띄고 있음.-소학언해의 경우 원문에 기대어 직영하되 필요한 곳에는 협주를 달았다는 말이 나옴.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10.20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특성 비교론 -응운, 자료, 어휘, 표기 면에서
    7. 언간 자료 8. 구결 자료 9. 운서 자료10. 한글 및 음운의 연구 자료1. 불교 관계 한글 문헌 자료불교 관계 한글 문헌 자료는 세조대에 간경도감에서 간행되어 나온 불경 ... 언해서가 주종을 이룬다. 그런데 「석보상절」이나 「월인석보」와 같이 그 언해의 저본이 되는 한문본이 현재로서는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이들도 불교 관계 언해 자료와 함께 ... 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 전자를 원국문본, 후자를 번역본이라 한다. 번역본은 다시 한문이나 백화문을 번역한 언해본과 그 이외의 언어인 몽고어 청어 왜어 등을 번역한 역학서본, 그리고
    리포트 | 2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8.02.06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