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442)
  • 리포트(328)
  • 논문(101)
  • 시험자료(8)
  • 방송통신대(4)
  • 자기소개서(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山水畵" 검색결과 141-160 / 442건

  • 首雲 金龍洙와 한국 근대 신남화풍 도입 (수운 김용수와 한국 근대 신남화풍 도입)
    한국미술연구소 김소연
    논문 | 25페이지 | 6,300원 | 등록일 2016.04.02
  • 동양미술용어
    동양미술용어○ 감필묘(減筆描)붓을 더 이상 줄일 수 없을 만큼 적게 사용한 최소한의 선(線)으로써 그리는 기법이며, 자유분방하고도재빠른 속도로 다루어진다. 주로 선승화가(禪僧畵家 ... 에서 먹을 찍어 발라 사용한다. 원대(元代)이후의남송화가(南宋畵家)들이 많이 애용하였다.○ 계화(界畵) :자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그리는 그림으로 건물을 그릴 때 주로 사용 ... 으로 메우는 기법이다. 몰골화(沒骨畵)에대치되는 수법이다.○ 김정희파 (金正喜派) :조선왕조말기의 문인화가인 김정희와 그를 추종하였던 조희룡, 허유, 전기등이 그 대표적인물들이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04.25
  • 경주 답사 보고서
    로 보수하여 수로곡석(水路曲石)의 원형이 많이 파손되었다. 이러한 석구는 중국 동진(東晉) 시대부터 있었다 하나 대개 자연의 산수(山水)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데 비하여, 완전히 인공적인 ... /100.nhn?docid=172933" 화엄경소(華嚴經疏)》를 썼고, 솔거가 그린 관음보살상은 신화(神畵)로 일컬어졌다. 또한 절의 좌전에 있었던 천수대비(千手大悲) 벽화는 매우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6.09.17
  • 한국의 문화유산 - 조선시대 회화
    의 시대?2) 중기(1550년~1700년) : 절파(浙派)의 시대?3) 후기(1700년~1850년) : 민족적 회화의 탄생(풍속화 風俗畵/진경산수 眞景山水)?4) 말기(1850년 ... 하여 시와 함께 그림을 상호간의 감흥교환과 심의출(心意表出) 및 심성수양(心性修養)의 매체로 삼으면서 조선초 회화발전에 계도적인 역할- 중국의 화론에 바탕을 준 시화일률사상(詩畵一 ... 律思想)의 수용- 문인사대부(文人士大夫) 및 화원(畵員)들에 의하여 주도, 반면 승려화가들의 활동은 현저히 쇠퇴2. 회화사 시기구분?1) 초기(1392년~1550년) : 이념산수화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11.27
  • 鄭遂榮의 《之又齋山水十六景帖》 연구 (정수영의 《지우재산수십육경첩》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박정애
    논문 | 27페이지 | 6,600원 | 등록일 2016.04.02
  • -고사성어의 형성 배경과 그 내용, 뜻을 중심으로
    의 전개2① 출전 : 《晋書》 文苑傳2② 인물소개 : 좌사2③ 해의 : 낙양지귀23. 그 결과로 형성된 고사성어의 의미3Ⅱ. 화룡점정(畵龍點睛)31. 시대배경 : 남조 양(梁)32 ... ] 그 작가가 출간한 책이 공전(空前)의 베스트셀러가 되어 낙양지귀가 되었지.Ⅱ. 화룡점정(畵龍點睛, hualongdi?nj?ng)畵 : 그림 화 / 龍 : 용 룡 / 點 : 점찍 ... 는 몰골적(沒骨的)인 준법(?法)을 채용하였다고 한다. 대표적인 그림으로는 「삼인문년도(三人問年圖)」와 「산수도(山水圖)」, 「고사세동도(高士洗桐圖)」가 있다.③ 해의 : 화룡점정
    리포트 | 12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4.07.10
  • 한국화에 대한 연구
    으로 표현하는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가 정선(鄭敾)을 중심으로 크게 발달하였다. 그리고 조선 후기인들의 생활과 애환을 해학적으로 다룬 풍속화가 김홍도(金弘道)와 신윤복(申潤福) 등 ... 했다.동양 회화권에 있어 중국의 전통회화는 중국화(中國畵)로, 일본의 전통회화는 일본화(日本畵)로 불렸으나 일제는 한국 고유의 전통과 민족성의 자각을 꺼려 1921년 제1회 서화 ... 협회전람회(書畵協會展覽會)와 22년의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한국의 전통회화가 조선화(朝鮮畵)로 지칭되는 것을 용인하지 않고 대신 동양화로 부르게 하였다.한국화는 종이나 비단 위
    리포트 | 20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1.10.23
  • 소상팔경 - 선행사연구
    일부 오인이 있었으며, 소상팔경의 구체적인 작품 세계를 다루지 않은 한계가 있다.?김기탁?소상팔경의 내용, 시화일치(詩畵一致)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특히 익재 이제현(1287 ... 사경(寫景)보다는 서정(敍情)에 치중된 기흥(寄興)의 방식을 취하여 이념화되고 관념화되는 경향을 보인다고 주장하였다.?최경환?우리나라 제화시(題畵詩)의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작시 ... 원리(作詩原理)에 관해 연구하였다. 산수시(山水詩) 혹은 자연시에 사용된 여러 표현방법들에 관해 이론적, 실제적 근거를 부분적으로 제시하였다.?정운채?소상팔경을 노래한 시조와 한시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4.03.07 | 수정일 2015.11.19
  • [조선시대 회화][조선시대 회화 환경][조선시대 회화 작품][산수화][풍속화]조선시대 회화의 의의, 조선시대 회화의 특징, 조선시대 회화의 환경, 조선시대 회화 작품, 조선시대 회화 산수화, 조선시대 회화 풍속화
    으로서 태조 원년(任申)에 창설된 것인데, 처음에는 도화원(圖畵院)이라고 하였다가 나중에 서(署)로 고쳤다. 도화서의 시험제를 보면, 인재 선발 시에 여러 학생에 대해서, 네 계절 ... 올라가 각기 그 점수만큼을 더한다.대(竹)를 잘 그리는 것을 첫째로 치고, 산수(山水)를 그 다음으로 치는 것은 당시의 회화정신을 표징(表徵)한 것이니 시화일치'서화동체사상에서 발효 ... (醱酵)된 문인수묵화의 용묵(用墨)'용필(用筆)을 기본으로 한 까닭이다. 문인화 기풍은 중국에서 파급되어 온 것이다. 이때의 문인화는 아직 원말 사대가류(四大家流) 의 남화(南畵
    리포트 | 7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1.09.21
  • [동양화][동양화 사상][한국화][동양화 작품][동양화 의문점][동양화와 서양화 비교]동양화의 사상적 배경, 동양화의 사상, 동양화와 한국화, 동양화의 작품들, 동양화의 의문점, 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 분석
    다. 무위란 인간의 힘을 가해서는 안 되며 자연히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광대무변(廣大無邊)한 진리가 포함된 노?장자의 자연주의 철학은 확실히 동양화, 특히 산수화(山水畵)와 도석 ... 인물화(道釋人物畵)에 많은 관계가 있다. 작가란 오직 자유로운 마음의 안정 상태에서 자연의 섭리를 따라 자연과 벗 삼아 자연의 일기(逸氣)를 중요시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면 ... 대는 수묵미학의 전성기를 이룬 문인화의 형성으로 학문의 징표였던 詩文과의 일체화를 중시함으로서 詩書畵一致思想은 수묵의 형의상학적 寫意의 경지로 나아가게 된다. 소식은 그의 『東坡題跋
    리포트 | 11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1.09.21
  • 한국회화사용어집정리
    수 있다. 추사 김정희의 에서 나무와 집을 묘사한 필획들은 갈필을 사용한 좋은 예이다.芥子園畵傳 (개자원화전) 청초(淸初)에 간행된 종합적 화보. 개자원화보(芥子園畵譜)라고도 하 ... 로 평가받는다. 조선시대 18세기 이후의 회화, 특히 문인화의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국역본은 이원섭, 홍석창 공역, 이 있다.*經畵 (경화) 경전의 내용을 압축•묘사한 그림 ... ), 통도사 약사불화 (1775년), 쌍계사 약사불화, 흥국사 약사불화, 화엄사 각황전 약사불화, 전등사 약사불화 등이 있다.御製秘藏詮版畵(어제비장전판화) 중국 북송대 태종의 저서인
    시험자료 | 25페이지 | 10,000원 | 등록일 2014.05.10
  • 한국화의 특징과 현대적 가치
    다. ‘임천고치집(林泉高致集)’의 ‘산수훈(山水訓)’에서 북송의 곽희는 “산은 그것을 보는 계절, 시간, 거리, 방향에 따라 달리 보인다.”라는 내용을 강조하여, 동양에서 자연을 바라보 ... 표현이 사용된 산수인물화, 오백나한상(五百羅漢像)같은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도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고려의 기록들과 작품들을 종합하여 보면, 이 시대에는 중국과의 활발 ... 한 교섭에 의하여 다수의 중국회화가 전래되고 다수의 고려회화가 중국에 전해졌다고 볼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하여 곽희파(郭熙派) 화풍, 마하파(馬夏派) 화풍, 미법산수(米法山水) 화풍
    리포트 | 1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3.09.14 | 수정일 2014.12.11
  • 산수장권 고찰: 셋슈(雪舟)에 대한 재평가를 위하여
    한국미술연구소 와타다 미노루
    논문 | 35페이지 | 8,300원 | 등록일 2016.04.02
  • 서양화와 동양화 비교-정선과 세잔을 중심으로 비교-
    를 전후하여 조선 산수화 ( 山水畵 ) 의 독자적 특징을 살린 사생 ( 寫生 ) 의 진경화 ( 眞景畵 ) 로 전환하였다 . 회화 기법상으로는 전통적 수묵화법 ( 水墨畫法 ... 의 작품배경 정선이 활동한 조선 후기는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한국적 미감을 더욱 독창적으로 발전 시키는 문화부흥기가 정선은 처음에는 중국 남화 ( 南畵 ) 에서 출발하였으나 30 세
    리포트 | 1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2.12.11 | 수정일 2019.11.05
  • 진경산수화의 의미, 진경산수화의 표현기법,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의 연원,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의 작품,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의 화풍,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의 예술의욕,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의 한국회화정체성
    어. 진경(眞境)이라고도 한다.이는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의 전통을 바탕으로 한국적인 새로운 화풍을 창출한 가운데 발달하였다. 종래의 형식화된 창작태도에서 벗어나, 현실을 통해 ... 를 지니면서 조선 후기의 회화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이는 다시 근대 및 현대에 생긴 어떠한 특정 경관이 아닌 생활주변의 일상적인 풍경을 그린 사경산수화(寫景山水畵)로 그 전통 ... 지방, 한양 근교의 경관이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화풍은 실경산수화의 전통에 새롭게 유행하기 시작한 남종화법(南宗畵法)을 곁들인 것으로, 이는 정선(鄭敾)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그
    리포트 | 13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1.09.21
  • [조선시대 미술][조선시대 그림][조선시대 서예][조선시대 풍속화]조선시대 미술의 의의, 조선시대 미술의 특징, 조선시대 미술의 사회적 배경, 조선시대 미술 그림, 조선시대 미술 서예, 조선시대 미술 풍속화 분석
    을 끼치게 되었다. 화원(畵員)과 문인(文人)들은 기존의 중국 산수에서 벗어나 조선의 실재 경관을 대상으로 하는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발달시켰으며, 곧이어 일반 서민들의 생활상 ... (謙齋) 등에 의하여 일어난 진경(眞景)이 들어 있는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 또 인간 생활에 필요한 생활상을 그리는 풍속화(風俗畵) 뿐 아니라 서민 의식에 의하여 출현한 민화(民畵 ... 안에 붙였던 세화(歲畵)를 비롯하여 요지연도(瑤池宴圖), 문자도, 책거리, 화조도 같은 화려하고 섬세한 장식 그림들이 왕공 사대부가에서부터 일반 서민층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발달해갔
    리포트 | 7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1.09.19
  • 가사(가사작품, 가사문학) 기원, 가사(가사작품, 가사문학) 정의, 가사(가사작품, 가사문학) 특징,종류, 가사(가사작품, 가사문학) 성격, 가사(가사작품, 가사문학) 표현,서술
    함으로써 결국 언어유희(pun)를 통한 해학이 되고 말았다.2. 사실성사실적인 표현은 18세기의 회화와 음악에도 두루 쓰인 기법이다. 회화의 경우, 18세기에는 풍속화와 眞景山水畵 ... , 寫景山水畵가 유행했는데, 이들은 한결같이 고답적이고 관념적인 주제, 특히 중국 산수화나 신선도 따위가 아닌, 자기가 처해 있던 사회와 풍토를 깊이 호흡하면서 이 땅에 사는 즐거움다
    리포트 | 10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3.02.22
  • 경기체가 - 한림별곡, 죽계별곡 감상
    하여 3음보를 맞추는 등의 생각은 기발한 것 같다.② 죽계별곡원문번역1장竹嶺南 永嘉北 小白山前千載興亡 一樣風流 順政城裏他代無隱 翠華峯 天子藏胎爲釀作中興 景幾何如淸風杜閣 兩國頭御爲 山水 ... 桃紅時爲 千里相思又柰何5장紅杏紛紛 芳草?? 樽前永日綠樹陰陰 畵閣沈沈 琴上薰風黃國丹楓 錦繡靑山 鴻飛後良爲 雪月交光 景幾何如中興聖代 長樂大平爲 四節遊是沙伊多1장죽령의 남쪽과 영가의 북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6.10.16
  • 교대 한국화-우리나라 미술의 역사(한국화의 역사)
    했던 거소(居巢)와 거렴(居廉) 형제 등의 초기 영남화파(嶺南畵派)의 화풍을 말한다. 장승업은 이러한 화풍들을 총결산 하여 전통화법을 결산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두 번째로는 산수화(山水 ... 가 세밀한 공필의 금벽산수화(金碧山水畵)이든, 간일한 수묵 선염의 사의적 산수화이든, 거기에는 모두 자연의 생명력이 약동하고 있고, 신운이 넘쳐나고 있다. 장승업의 산수화는 진경산수 ... 화(眞景山水畵)라기 보다는 이념적·관념적 산수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당시의 형식화한 관념적 남종산수화 대신 그 근원이 되는 송·원대의 산수화풍을 추구하였고, 또 정밀한 필선과 채색의 북종(北宗) 산수화풍도 실험하였다.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8.27
  • [인제 강희안][인제 강희안 일생][인제 강희안 화풍][인제 강희안 양화소록][인제 강희안 작품]인제 강희안의 일생, 인제 강희안의 화풍, 인제 강희안의 양화소록, 인제 강희안의 작품, 인제 강희안 시사점 분석
    )에 크게 유행했던 절파계(浙派系) 소경산수인물화(小景山水人物畵)의 선구적 구실을 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고사관수도」는 넝쿨풀이 매어 달린 암벽 아래서 공수(拱手 ... 하였음도 짐작케 한다.조선초기의 회화 조선시대의 회화는 사대부 문인화가(文人畵家)들과 ‘도화원'의 화원들에 의해 가장 폭넓고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조선시대를 통틀어 가장 중요한 소장가인 ... 한편 조선왕조 초기 화단에서 안견파화풍, 남송원체파, 미법산수등과 아울러 전래된 것이 명대(1368~1642) 원체화풍(院體畵風)이다. 이에 관계되는 작가로는 강희안(姜希顔
    리포트 | 7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1.09.25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