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130)
  • 리포트(121)
  • 시험자료(7)
  • 자기소개서(1)
  • 방송통신대(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반치음의 소실" 검색결과 61-80 / 130건

  • 훈민정음 (訓民正音)에 대하여
    에서 이른바 반절 27자라고 말한다) cf) 훈민정음 28자 가운데 ㆆ이 소실된 것을 반영해 27자- 初聲終聲通用八字 (초성종성통용팔자 : 초성과 종성으로 두루 쓰이는 8자)ㄱ(其 ... 체자아음ㄱ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ㅋㆁ설음ㄴ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ㄷ ㅌㄹ(반설음)순음ㅁ입의 모양ㅂ ㅍ치음ㅅ이의 모양ㅈ ㅉㅿ(반치음)후음ㅇ목구멍의 모양ㆆ ㅎ획을 더하여 글자 ... 하여 정착시켰으며 자모의 명칭을 정하였고 이두로 신문자 사용법을 설명하여 한글을 보급하는데 기여하였다.諺文字母 俗所謂 反切二十七字 (언문자모 속소위 반절이십칠자 : 언문의 자모, 세속
    리포트 | 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1.04.14
  • 한국어의 이해- 제10장 조상들은 어떤 말을 했을까
    기 . 이어적기 문장부호법은 사용되지 않았다 . 4.2 중세국어의 특징이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반설음 반치음 ㄱ ㄷ ㅂ ㅅ , ㅈ ㆆ ㅋ ㅌ ㅍ ㅊ ㅎ ㅇ ㄴ ㅁ ㅇ ㄹ ㅿ 4.2 ... 등 현존하는 자료는 신라인이 사용한 것들이 대부분 한계 : 대표성의 문제 한자를 빌어 표기한 차자표기 4.1 고대국어4.1 고대국어 10 자음 순음 설음 치음 이음 후음 파열음 ... - 아 ’ 등에 해당되는 형태들 발견 서법 : 종결어미와 첨사로 실현 의문문은 첨사를 실현 - 중세국어에서도 동일 ‘ 沙 ’ 는 강세를 나타냄 - 중세국어 ㅿ ( 반시옷 ] ㅏ에
    리포트 | 4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8.22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비교
    중모음을 만드는 2개의 반모음이 따로 있었다. 오늘날 단모음으로 발음되는 ㅐ나 ㅔ가 15세기 당시에는 하향성 중모음이었다.☆ 근대국어① 근대국어의 모음체계가 중세국어의 그것과 크 ... 게 달라진 점은 ‘ㆍ’ 모음의 소실이다. ‘ㆍ’모음이 사라질 조짐은 16세기 후반부터 이미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16세기에 들어와 제2음절 이하의 위치에서부터 사라지기 시작하다가 18 ... ’로 대치된 예도 있다.② 근대국어에 와서 ‘ㅐ’와 ‘ㅔ’가 단모음화 되었다. 이리하여 ‘ㆍ’의 소실로 인해 6개로 줄었던 모음체계에 ㅐ와 ㅔ가 추가됨으로써 지금과 같은 8모음체계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4.20
  • 국어발달사요약(기말고사)
    자(消失字)의 실체* 소실자가 생기는 이유① 애초에 음운적으로 존재 가치가 없는 글자② 어떤 이유로 음운체계에서 그 소리가 사라진 글자1) ㅿ(반치음))- 한글 창제 후부터 임진 ... - ‘ㆍ’는 후설모음에 속하되 개구도가 ‘ㅗ’와 ‘ㅏ’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반개모음(半開母音)- 음가는 18세기 말에 와서 완전 소실된 것으로 보이지만, 문자 자체는 표기의 보수성에 힘입 ... 5. 중세국어(中世國語) : 조선태조~임진란, 1392~1591국어발달사_기말5.5. 음운5.5.1. 음운자료? 중세국어는 자료 풍부(『훈민정음(訓民正音)』 등)5.5.2. 소실
    리포트 | 1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01.26
  • 원소음운론
    플러스(plus) [+음절성], 공간(space) [+장음성], 반달(half-moon) [-음절성]1.2 입자음운론의 모음표시- 입자들의 복합으로써 단모음?장모음?이중모음을 표시 ... 님→선상님’은 i탈락으로 인한 약화현상.3. 입자?의존음운론과 국어3.1 ‘ㆍ’소실의 방향성 - 모음의 약화와 강화현상- 15,16c 비어두음절 ㆍ > ㅡ : [a] > [-] 하나 ... 으로 변화할 수 밖에 없었는데, 두 모음 중 보다 강한 구경성을 지닌 ‘ㅏ’[aa]가 상대적으로 우월. ‘ㆍ’의 소실은 탈락이 아닌 변화 즉, 비음운화. 이때 변화의 방향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9.09.24
  • 국어사에 대한 시대구분
    -한자 옆에 현실 한자음을 병기하였다.-모음조화가 문란-명사형 어미 -기가 등장하였다.-반치음은 거의 소멸하였으나 옛이응과 방점은 사용4. 근대국어1.시기-임진왜란(1592~1599 ... 중엽까지는 'ㆍ'의 실제적인 발음은 없어졌다고 추정2) 'ㅐ, ㅔ'의 단모음화 - 중세 국어에서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으나 18세기 말엽 단모 음으로 변화. 'ㆍ'의 소실로 'ㆎ'가 'ㅐ'로 바뀌어 단모음이 됨.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7.06
  • 언어의역사
    , 알밤 알 알왐 알밤 3. ㅂ불규칙 활용에서 사용 ( 예시 ) 곱 + 아 고 , 덥 + 어 더 - ᅀ 1) 명칭 : 반잇 소리 , 반치음 , 여린 시옷 2) 소리 값 ... 가운데 한글의 훈민정음은 신비로운 문자라 불림 세계 문자 가운데 유일하게 한글만이 그것을 만든 사람과 반포일을 알며 , 글자를 만든 원리까지 알고 있기 때문 . 세계에 이런 문자 ... 는 없다고 함 . 한글 [ 훈민정음 해례본 ]( 국보 70 호 ) 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과거 의 언어 소실문자 - ᅙ 명칭 : 여린히읗 , 소리값 1) : ‘ ㅎ
    리포트 | 31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12.06.27
  • [음운론]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자음과 모음을 중심으로 한 음운론적 특성 비교론
    로 굵게 구분 지으면, 우선 전기중세국어의 경우, 자음 체계는 된소리 계열의 등장을 그 특징으로 한다는 것과 반치음은 음절말에도 있었다는 점, 순경음 비읍의 존재가 불분명 ... 다. 이러한 변화 과정을 통해 국어는 소실과 탄생을 거듭해 왔고, 문헌적으로 기록된 옛 모습과는 많이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국어사를 살필 때, 한 시대에 속한 국어는 음운, 문법 ... 음운의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국어 변천 과정에 있어 소실되거나 새로 발생한 국어는 어떠한 것인지 비교해 보도록 한다.2. 조사 방법두 시대를 구분할 시에 변화된 결과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7.14 | 수정일 2019.12.27
  • 국어사개설요약
    ) 2월 ㅺ, ㅼ, ㅽ ; ㅳ, ㅄ, ㅶ, ㅷ ; ㅴ, ㅵ2) 연서법(連書法) : ㅱ, ㅸ, ㆄ, ㅹ(3) 훈민정음의 초성자 체계아음(牙音)설음(舌音)순음(脣音)치음(齒音)후음(喉音)반 ... 설음반치음전청ㄱㄷㅂㅅㅈㆆ차청ㅋㅌㅍㅊㅎ전탁ㄲㄸㅃㅆㅉㆅ불청불탁ㆁㄴㅁㅇㄹㅿ4.5. 중성자(1) 제자 원리: ‘상형(기본자)’과 ‘합이성(合而成)’1) 기본자: ㆍ?(天), ㅡ(地), ㅣ ... ‘ㅈ, ㅊ’의 음가: 치음 [ts], [dz]였음→ 중세몽고어 [?a], [?e]가 국어에서는 ‘쟈, 져’로 적혔음(4) 유성 마찰음의 존재 확인1) ‘ㅿ’가. 弟曰了兒(아
    리포트 | 1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6.16
  • 중세국어문법론 연습문제 부분 풀이
    되었으나 제자해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β] 음가를 가진 음소였음을 알 수 있다.8. ㅿ이 나타나는 환경을 보고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것해례에서 불청불탁의 반치음으로 규정된 ‘ㅿ ... 이 다채로워졌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주로 문자체계의 혼란에서 나타났으며, 새로운 표기와 낡은 표기가 공존하면서 발생한 것이다.Ⅱ. 81쪽2. /ㆍ/의 두 차례에 걸친 소실 ... ‘ㆍ’는 16세기에 비어두음절에서 1단계 소실, 18세기 어두음절에서 2단계 소실을 거쳐 국어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1단계 소실에서는 비어두의 ‘ㆍ’이 음성모음인 ‘ㅡ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6.11
  • 개념정리5(8장)
    음절 이하에서 주로 ‘ㅡ’ 또는 특수한 환경에서 ‘ㅗ’로도 합류되었고, 16세기 후반에는 ‘ㅏ’로 합류되었다.제1음절에서의 ‘ㆍ’의 소실은 17세기초 ‘?>흙’에서 비롯되나, 18 ... ]고대영어의 /n/은 두 이음 [n, ŋ]을 가졌었는데, 그때 [ŋ]은 /k/나 /g/ 앞에서만 나타났다. 그런데 근대영어에 와서 어말의 /k, g/가 소실되었으나, [ŋ]은 음소 ... , ㅚ, ㅟ, ㅣ로 되는 현상(18-19세기 교체기)이 변화는 ㅐ, ㅔ의 단모음화를 가져옴3. 구개음화경구개음이 아닌 소리들이 전설 모음 i나 반모음 y가 뒤따를 때 경구개를 향해 혀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11.18
  • 국어의 중세와 근대 비교
    : 제2음절 이하에서 소실ㆍ>ㅡ, ㆍ>ㅗ?>흙하야?리-(ㅏ1933년 현대 정서법에 의해 폐지됨이중모음단모음화상향이중모음 (반모음이 앞에 옴)j계 ㅑ ㅕ ㅛ ㅠw계 ㅘ ㅝ하향 이중모음 ... 모음 앞에서 - 모음충돌을 피하기 위해 탈락함동음생략같은 모음 중복시 - 발음을 뚜렷하게 하려는 이화현상단모음화치음+요음일 때 - 발음 위치 인접5) 탈락 현상3. 음운 변화1 ... 회귀)부정회귀 : 원래 문법적으로 맞는 것을 아닌 것으로 여겨 변동을 일으킴. 일부방언에서 발견질쌈>길쌈 짐치>김치 (딤채>짐채,짐치>김치)161718비교ㆍ(아래아)1단계 소실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7.12
  • 소학언해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적 의의
    세기 표기법을 사용하여 직역 중심이다. 표기상의 가장 큰 특징은 반치음, 옛이응, 방점 사용하였다는 것을 들 수 있다. 「小學諺解」의 국어사적 의의로는 중세국어의 마지막 문헌 자료 ... 에 접근했다.3) 음운과 표기상의 특징가. ㅿ(반치음)소멸. ㅇ(옛이응)사용ㅿ(반치음)은 거의 소멸되었다. 음가는 치조마찰음〔z〕이며, 소멸시기로는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이 ... 소학 8:6b)* 날로 게으른다 ?? 말을 (소학언해 5:87a)③ ‘모로매’ 對 ‘반?시?모롬이’「飜譯小學」의 ‘모로매’가 「小學諺解」에서 ‘반?시’로 집중적으로 표기된 곳이 있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04.12
  • 후기 중세 국어의 음운, 문법, 어휘적 특징
    는 8종성(ㄱ,ㄴ,ㄷ,ㆁ,ㅂ,ㅁ,ㅅ,ㄹ)의 사용을 규정했다. 음절말 위치에서 평음과 유기음의 대립이나 ‘ㅅ’, ‘ㅈ’, ‘ㅊ’의 대립은 중화되었다. 반치음 ‘ㅿ’은 ‘ㅇ’에 선행 ... 면 아음 ㄱ은 혀의 뿌리가 목구멍을 막은 모양이고 설음 ㄴ은 혀가 윗잇몸(치조)에 닿은 모양, 치음 ㅅ은 이의 모양, 후음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그리고 가획의 원리 ... 의 음운체계를 중심으로 후기중세어의 자음체계를 재구하여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순음설음아음치음후음평음ㅂㄷㄱㅈㅅㅎ격음ㅍㅌㅋㅊ경음ㅽ(ㅃ)ㅼ(ㄸ)ㅺ(ㄲ
    리포트 | 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06.02
  • 고대 음운의 통시론적 고찰
    설음아음치음후음평음격음경음비음유음유성마찰음ㅂㅍㅽ(ㅃ)ㅁㅸㄷㅌㅼ(ㄸ)ㄴㄹㄱㅋㅺ(ㄲ)ㆁㅈㅊㅅㅆㅿㅎㆅㅇ먼저 후기 중세국어의 자음체계 중 폐쇄음을 살펴보면, 음절두음에 사용된 폐쇄음은 ㅂ ... 는 14 끝에서 그것이 궁지로 몰렸기 때문이다.후기중세의 과도음은 공명음으로서 혀가 두드려지게 인접한 모음을 향하거나 혹은 다른데로 전이함으로써 산출되는 소리다. 이 소리는 때때로 반 ... 으로 모음 ‘ㆍ’의 소실을 살펴보면 ‘ㆍ’의 음가는 전기중세어의 /?/에 비하여 전설화된 /?/내지는 /?/로 바뀌었고, 15세기 후반부터‘ㆍ’가 소실되기 시작했다. ‘ㆍ’의 소실
    리포트 | 9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0.04.26
  • 국어음운론 - 소실문자 ㅸ과 ㅿ에 대하여
    ’를 가리키는데, 주로 훈민정음 제정 당시의 한자음 표기에 쓰이다가 15세기 중엽에 없어졌다. 이와 달리 반치음(半齒音)은 반잇소리라고도 하는데, ㅿ음은 순경음 ‘ㅸ’과 더불어 개성과 서울 ... 소실문자(消失文字) ㅸ과 ㅿ에 대하여1. 서론순경음(脣輕音) 은 이른바 입술을 가볍게 스쳐 나오는 소리로, ‘ㅁ·ㅂ·ㅍ·ㅃ’에 ‘ㅇ’을 더하여 만든 글자 ‘ㅱ·ㅸ·ㆄ·ㅹ ... 으로 보인다. 이 두 가지 소실문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2. 본론훈민정음 창제 당시에 나타났던 문자 중 후대에 사용되지 않는 문자의 음가 추정 작업은 개화기에서부터의 관심사였
    리포트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5.25
  • 우리말 소실문자
    ■ 서론■ 본론(1) ?(옛이응)2) ?(반치음)3) ‘?’(여린비읍)4) ?(아래아)■ 결론■ 서론세상만사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듯이 언어도 역시 시간의 흐름 ... ’과 ‘?’은 ‘여린 히읗’과 ‘옛이응’으로 그런대로 적절한 이름이 붙여져 있다. 그러나 ‘?’과 ‘?’의 글자 이름은 적절치 않다. 우선 ‘?’부터 보자. 우리는 흔히 이 글자를 ‘반치음 ... ’이라고 부른다. 물론 반치음에 해당하는 글자가 이 글자밖에 없어 ‘반치음’이라고 하면 이 글자를 가리키게 되지만, ‘반치음’은 어디까지나 말소리나 글자의 유형에 관한 용어로서, 이 용어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4.10
  • 중세국어문법총정리
    기본자기획자이체자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ㄱㅋㅇ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ㄴㄷ ㅌㄹ(반설음)입의 모양(象口形)ㅁㅂ ㅍ이의 모양(象齒形)ㅅㅈ ㅉㅿ(반치음)목구멍 모양(象喉形)ㅇㆆ ㅎ ... 치음)ㅈ,ㅅㅊㅉ,ㅆ목구멍소리(喉音 후음)ㆆㅎㅇㆅ반혓소리(半舌音 반설음)ㄹ반잇소리(半齒音 반치음)ㅿ예사소리(평음)거센소리(격음)울림소리(유성음)된소리(경음)? 초성 17자 체계 ... , 어즈럽+이→어즈러?>어즈러이>어지러이④파생명사 : 칩+의→치?>치위>추위, 덥+의→더?>더위2)한자어에서 ㅱ아래의 사잇소리: 斗?ㅸ字?※성격이 반치음 ‘ㅿ’와 유사※이어 쓴(연서
    시험자료 | 70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4.27
  • 고전문법(중세국어문법) 자료입니다.
    ㅍㅁㅃ잇소리 (齒音 치음)ㅈ,ㅅㅊㅉ,ㅆ목구멍소리(喉音 후음)ㆆㅎㅇ?반혓소리(半舌音)ㄹ반잇소리(半齒音)?① 전청, 차청, 불청불탁, 전탁은 각 현대의 예사소리(평음), 거센소리(겪 ... 잇몸에 붙는 모양(象舌咐上月? 之形)ㄷ ㅌㄹ(반설음)순음ㅁ입의 모양(象口形)ㅂ ㅍ치음ㅅ이의 모양(象齒形)ㅈ ㅉ?(반치음)후음ㅇ목구멍 모양(象喉形)ㆆ ㅎ⑤모음의 기본자와 합성자ㄱ ... ), 낛(釣)? 참 고?ㅅ계는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폐지되었다. ㅂ계와 ?계는 17세기 선조 때 소실 되었다.?발음 : 글자 모양대로 중자음이어서 두소리로 발음
    리포트 | 42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09.11.24
  • [국어학, 중세국어, 15세기] ㅿ음의 소멸에 관한 문헌학적 고찰
    만 문은 16세기 후반에 들어서 동요되고 소실된 것이며 중종말에도 동요가 보이고 명종 말은 대혼란이 되었으며 선조시대에는 ㅿ이 정확히 사용되지 못하였으니 이미 소실된 것이라 본다 ... .」는 결론에 도달하였던 것이다.지금까지의 z소실에 대한 연구의 공통된 요점은 16세기의 모든 문헌이 거의 이용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오는 것이다. 앞으로 우리의 검토가 밝힐 바와 같이 ... 이 음운의 소실에 있어서는 16세기 초엽의 문헌이 각별한 중요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거의 검토하지 않음으로써 z음운의 소실 과정을 정당하게 인식하지 못했던 것이
    리포트 | 1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3.10.16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