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130)
  • 리포트(121)
  • 시험자료(7)
  • 자기소개서(1)
  • 방송통신대(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반치음의 소실" 검색결과 21-40 / 130건

  • 현실음으로서의 순경음 ‘ㅸ, ㅿ’ 고찰
    ’의 음가 변화3.1. 유성양순파열음 [w]음으로의 변화3.2. 유성양순마찰음 [β]음으로의 변화4. 반치음이란5. 반치음 ‘ㅿ’의 음운 현상6. 반치음 ‘ㅿ’의 음가 변화6.1 ㅅ ... 의 결과라고 보지 않음.4. 반치음이란- 《훈민정음》에서 제시한 초성의 하나로 반잇소리라고도 한다.- 《훈민정음 해례(解例)》에서 치음의 불청불탁음(不淸不濁音)(맑지도 탁하지도 않 ... 은 소리)에 포함되어있다.-《두시언해(杜詩諺解)》 초간본(初刊本)에는 ㅿ자가 쓰였으나 중간본에는 소멸된 것으로 보아 16세기 초·중엽에 우리말에서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5. 반치음
    리포트 | 6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8.10.26 | 수정일 2021.06.03
  • 유성마찰음에 대한 고찰 - 순경음 ㅸ, 반치음 ㅿ, 후음 ㅇ을 중심으로 -
    ..PAGE:1유성마찰음에 대한 고찰- 순경음 ㅸ, 반치음 ㅿ, 후음 ㅇ을 중심으로 -..PAGE:2유성마찰음중세 국어 시기의자음체계 상 주요한 특징:“ ‘, , ㅇ’ 등의유성 ... 음ㅸㅿ ㅇ..PAGE:20반치음 ‘ㅿ’‘ㅿ’이 치음 계열의 자음 중에서도 ‘ㅅ’과 가장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자음‘ㅿ’은 어말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어중의 위치에 주로 나타난다.ㅸㅿ ... ), 드(瓠), 셔(京), -(臥), -(暑)② y____v : 반모음 ‘ㅣ’와 모음 사이예) -(辛), -(易), 대(大虎), 대(竹田)③ r____v : ‘ㄹ’과 모음 사이예) -
    리포트 | 2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1.16
  • <훈몽자회> 범례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용십일자(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ㆍ아래아 )훈몽자회 범례에는 옛이응,반치음,아래아가 남아있다. 이 후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을 제정하여 상기 3자와 ㆆ (여린히응)을 제외시켰다. 옛 ... 이응은 1500년 초까지 쭉 쓰여 왔으며 목구멍소리 글자를 본 떠 만들어진 것으로 훈몽자회 범례에서 옛이응은 어두나 초성에는 쓰이지 않았음을 설명하고 있다. 반치음은 유성치경마찰 ...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 사이에 무엇이 어떻게 변했는지 확인해 보자.먼저 훈몽자회 범례에서는 속소위반절27자라는 제목 아래 28자 중에서 ㆆ을 제외한 하기와 같이 총 3가지로 자음
    리포트 | 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9.01.05
  •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가
    기에 자음 체계에 넣지 않은 것으로 본다. 위에서 소개한 최명옥의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대 국어 시기에 반치음과 순경음의 소리로 추정되는 발음이 존재해왔음을 생각해보게 한다.(3 ... 순경음 'ㅸ'은 [w]의 자질인 [+grave]이기 때문이다.나. 반치음 ‘ㅿ’(1) 반치음 ‘ㅿ’을 음소로 인정하는 입장과 그 문제점- 훈민정음 해례에 의하면 청탁의 분류 ... 는 대체로 안울림-울림의 구별을 고려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불청불탁음으로 [ㆁㄴㅁㅇㄹㅿ]의 여섯 소리를 들고 있다. 반치음을 뺀 나머지는 모두 울림소리이기에 [ㅿ]도 울림소리로 생각해.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4.07
  • [2020 우리말의역사]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서술하시오.
    가 많이 등장한다. 근대 국어 시기에는 중세 국어의 특질(特質)이 점차 사라지면서 여러 문법적인 특질들이 현대 국어로 연결된다. 가장 대표적인 변화로 반치음 ‘ㅿ’이 사라지고, 성조 ... 는 ‘ㆍ’의 소실로 기인한 것이다. 그리고 모음조화 현상이 파괴되는 현상이 있다는 점이 특이한 점이다. 또한, 설명의문문과 판정의문문을 표시하는 의문형 어미가 구별되어 존재하였다는 특징 ... 되어 쓰이던 것이 18세기 이후로는 주로 ‘ㅅ’으로 통일되는 경향? 16세기 말부터 방점 소실? ‘ㅿ’와 ‘ㆆ’은 표기에서 사라짐? ‘ㆁ’은 ‘ㅇ’으로 표기되면서 사라짐? ‘ㅣ’모음
    방송통신대 | 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0.02.28 | 수정일 2020.03.03
  • 면접 질문 모음
    에 관심이 많아요?수업시간에 배운 문법에 흥미를 느껴- 한글 맞춤법 관련 책 찾아 읽음. 중세 국어(어두자음군 존재, 모음조화 잘 지켜짐), 근대 국어(방점 소실, 반치음 사라짐)1 ... 로 토론, 에세이 작성?국내 핵 발전소 설치 문제-찬-짧은 시간내에 엄청난 에너지 생성, 반-핵폐기물 처리 문제, 대체 에너지사용 가능22. 시연회에서 설명한 내용?PM-DPM-GW ... 의 문화와 교육 차이?교육: 공통점이 많음. 재수학원도 있고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 3년- 체벌 면에서 다름, 동아리 활동 중요시 함99. 학생부종합전형대비반에서 미디어
    자기소개서 | 11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0.06.15 | 수정일 2022.11.02
  • 중세국어 음운- 소실문자를 중심으로
    명칭 : 반치음(= 반니쏘리, 여린시옷, 반시옷)② 음가 : 이 글자는 반잇소리(반치음)인데, 훈민정음의 분류법으로는 불청불탁으로 분류 되어 있으니, 내는 자리는 잇소리(치음)의 ㅅ ... 소실문자를 중심으로목 차1. 들어가며2. 소실 순서 및 시기3. 주요 소실 문자1) ㅸ2) ㆅ3) ㆀ4) ㆆ5) ㅇ6) ㅿ7) ㆍ4. 나오며※ 참고 문헌1. 들어가며훈민정음 창제 ... 고 사용하다 보니 사용되지 않은 것은 소실되고 다듬어져 현재 국어의 자모를 형성하였다. 본문에서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문자 중 소실문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2. 소실 순서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05.30
  • 후기 중세국어의 국어사적 특징
    은 아닌가라고 추정된다. 반치음 ‘ㅿ’은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에 걸쳐 소실되었다고 여겨진다.후기 중세국어의 특징으로 어두에 두 자음이 올 수 있었음을 들 수 있다. 즉 ... 을 지닌 음이었는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마찬가지로 불청불탁의 반치음인 ‘ㅿ’이 있었다. 이 역시 현실음인가 이상음인가의 의견이 분분한 음이나 보통 [z]의 음으로 실현된 것 ... 적으로 ‘ㅏ’와 ‘ㅗ’의 중간 발음이라는 확실한 음가를 소유하지 못하고 있기에 근대국어에 들어 ‘ㆍ’는 소실되었다.③ 성조체계성조체계는 중세국어와 근대국어를 구별하는 큰 특징 중 하나
    리포트 | 6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8.10.25 | 수정일 2021.06.03
  • 후기 중세 한국어의 음운 체계 및 통시적 발달
    며, 남부 방언에서의 변화된 어형은 중부 방언의 영향으로 보 인다.6-2. ㅿ훈민정음에서 불청불탁의 반치음이라 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유성음이었을 것이다. 모음과 모음사이, ‘ㄴ ... -6. 소실음운/유성마찰음1-6-1. 순경음 ㅸ1-6-2. ㅿ1-6-3. ㆁ2. 모음체계2-1. 단모음2-1-1. ‘ㆍ’소실2-2. 이중모음■ 초분절음소3. 성조체계4. 음운의 변천 ... 는 언어는 어떠할까? 예상대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지금은 소실되어 볼 수 없는 생소한 문자들이 존재하기도 했고 같은 단어지만 현재와 전혀 뜻이 다르기도 하다.훈민정음은 1443년
    리포트 | 18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9.05.29
  • 한국어어문규범-최근 표준어로 수용된 어휘들을 정리하고 그 타당성에 대해 논의하시오.
    하는 어휘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한다.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자음, 모음의 변화만 보아도 아래아의 탈락, 순경음 비읍 소실, 반치음 소실,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등 어휘 변화는 다양한 양상 ... , 표준어로 수용된다. 다른 하나는 발음상의 편의로 인해 잘못된 표기나 발음이 굳어지는 경우이다. 이럴 때에는 원래의 어휘가 소실되거나 새로운 어휘와 원래의 어휘가 공존하게 된다
    리포트 | 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7.11.27
  • 사라진 말 (사라진 순 우리말)
    , ㅍ 치음 ( 잇소리 ) ㅅ ㅈ , ㅊ ㅿ 후음 ( 목구멍소리 ) ㅇ ㆆ , ㅎ☞ 없어진 4 글자 ① ‘ ㅿ ’반치음 ( 반치음 , 반시옷 , 여린시옷 ) ② ‘ ㆆ ’ ( 여린 ... 히읗 , 된이응 ) ③ ‘ ㆁ ’옛이응 ( 옛이응 , 꼭지이응 ) ④ ‘ ㆍ ’ 아래아 ◈ 소실된 이유 →발음의 편리성 , 간편성 , 역사성Ⅱ. 문학작품 속의 사라진 말들 박유정
    리포트 | 1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0.11.30
  • 번역노걸대와 노걸대언해 비교(형태소분석,변화양상,원문 및 해석)
    에서는 ‘담아’로 분철로 표기하여 체언과 어미를 구별하였다.一箇簽筒兒裏盛着한 제비통에 담아딕·? 션·븨 ·?·야딕일 션븨 ?여딕ㅿ+일 션븨 ?야반치음소실됨. (딕·? 〉딕일.)敎當直 ... ’에서 ‘일홈’으로 변화되었고, 연철에서 분철적기로 표기하였다衆學生的姓名모든 선비의 이름을다 ·이·리 ·써다 이리 써다 이리 쓰(다)+어방점만 소실되었을 뿐 변화없음.都這般寫着다 이렇게 ... 的學生당직 선비로 하여금사·? ·? 가·져다·가 흔·드러사? 통 가져다가 흔드러사?통 가지(다)+어+다가 흔들(다)+어방점만 소실되었을 뿐 변화 없음將簽筒來搖動제비통을 가져다가
    리포트 | 8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8.01.25
  • 국어사 중간 정리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차이: 소실문자 ‘ㅸ(순경음 ㅂ), ㅿ(반치음), ㆁ(옛이응 = b), · (성조)’중세국어와 근대국어를 나누는 이유: 가장 결정적인 언어현상이기 때문.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8.05.31
  • 시대별 한국어 정리표
    기자로 확립, 합용병서는 표기문자로서의 기능 상실10자음19자음19자음19자음순음설음치음아음후음파열음ㅂㄷㄱ마찰음ㅅㅎ파찰음ㅈ비음ㅁㄴ ...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나 검토 요함중세국어의 ‘ㆍ’ 소실, ‘ㅔ’와 ‘ㅐ’가 단모음화를 겪음근대국어에서 이중 모음이던 ‘ㅚ’와 ‘ㅟ’가 단모음화를 겪음7 ... /ㅐ/ㅚ/ㅟ어휘단편적인 모습만 알 수 있음(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한자어 이외에도 차용어가 늘어남한자어와 차용어의 증가한자어가 반 이상을 차지,외래어 비율이 점차 높아짐문법격조사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5.02.26
  • 허웅 국어음운학 요약 (15세기 국어의 음운학 , 국어음운사, 음성상징 ) 국어음운론
    )설음(舌音)순음(脣音)치음(齒音)후음(喉音)반설음(半舌音)반치음(半齒音)ㄱㄷㅂㅅ,ㅈㆆㅋㅌㅍㅊㅎㆁㄴㅁㅇㄹㅿ- ‘ㄱ,ㄷ,ㅂ,ㅈ,ㅅ,ㅎ'의 병서자가 있음이 문자의 예시 없이 기술 ... 다고 볼 수 있다.(5) 초성 체계이상에서 훈민정음과 문헌에 나타난 자료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확립한 훈민정음 창제 되었을 당시의 자음자(子音字)체계는 다음과 같다.순음설음치음치음 ... - 중난 더?>더위같은 변화로 인해 15세기 후반부터는 현대국어와 동일한‘덥-, 더w-'의 교체를 갖게 되었다.2.3.1.2. ‘ㅿ’의 변화- 소실 과정 :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리포트 | 2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10.30
  • 현재 쓰이지 않는 한글 자모의 소실 시기와 그 음소 소실의 시기
    현재 쓰이지 않는 한글 자모의 소실 시기와 그 음소 소실의 시기는 언제인가?< 요 약 >중세 국어에는 사용되다가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소실자들은 병서자를 제외하고 ‘ㅸ, ㆆ, ㆁ ... , ㅿ , ㆍ’와 같은 것들이 있다. ‘ㅸ’은 훈민정음이 창제된 1440년대부터 동요하기 시작하여 1450~1460년에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ㆆ’은 한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글 ... 어 종성에만 국한되어 쓰였고,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에는 ‘ㅇ’자에 합류되어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ㅿ’은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 문헌에서 점차 소실되는 과정을 보이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4.07
  • 국어 음운 체계의 통시적 변화
    를 남기고 ‘ㅂ’을 탈락시키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둘째로 들 수 있는 특징은 ‘ㅿ’과 관련된 문제인데, 계림유사나 향약구급방 등의 당시 문헌 자료를 통해 반치음이 나타났 ...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반치음은 일모자에 해당하는데, 이와 관련된 ‘兒, 刃’ 등을 사용하여 /z/의 음가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반치음은 음절 말에도 나타나는데, 계림유사 ... 들을 병서하는 등 합자의 원리를 통해 우리말 소리를 정확하게 적고자 노력한 흔적이 훈민정음에 담겨 있다.아음설음순음치음후음반설음반치음전청(평음)ㄱㄷㅂㅅㅈㆆ차청(격음)ㅋㅌㅍㅊㅎ전탁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6.23
  • 중세국어문법론 정리본
    기본자기획자이체자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ㄱㅋㅇ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ㄴㄷ ㅌㄹ(반설음)입의 모양(象口形)ㅁㅂ ㅍ이의 모양(象齒形)ㅅㅈ ㅉㅿ(반치음)목구멍 모양(象喉形)ㅇㆆ ㅎ ... 치음)ㅈ,ㅅㅊㅉ,ㅆ목구멍소리(喉音 후음)ㆆㅎㅇㆅ반혓소리(半舌音 반설음)ㄹ반잇소리(半齒音 반치음)ㅿ예사소리(평음)거센소리(격음)울림소리(유성음)된소리(경음)? 초성 17자 체계 ... , 어즈럽+이→어즈러?>어즈러이>어지러이④파생명사 : 칩+의→치?>치위>추위, 덥+의→더?>더위2)한자어에서 ㅱ아래의 사잇소리: 斗?ㅸ字?※성격이 반치음 ‘ㅿ’와 유사※이어 쓴(연서
    리포트 | 62페이지 | 10,000원 | 등록일 2012.10.14
  • 중세국어문법 정리
    자에 획을 더하여 만듦.상 형기본자기획자이체자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ㄱㅋㅇ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ㄴㄷ ㅌㄹ(반설음)입의 모양(象口形)ㅁㅂ ㅍ이의 모양(象齒形)ㅅㅈ ㅉㅿ(반치음 ... 순음)ㅂㅍㅁㅃ잇소리(齒音 치음)ㅈ,ㅅㅊㅉ,ㅆ목구멍소리(喉音 후음)ㆆㅎㅇㆅ반혓소리(半舌音 반설음)ㄹ반잇소리(半齒音 반치음)ㅿ예사소리(평음)거센소리(격음)울림소리(유성음)된소리(경음 ... +이→쉬?>수?>수이>쉬, 어즈럽+이→어즈러?>어즈러이>어지러이④파생명사 : 칩+의→치?>치위>추위, 덥+의→더?>더위2)한자어에서 ㅱ아래의 사잇소리: 斗?ㅸ字?※성격이 반치음 ‘ㅿ
    리포트 | 1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2.05.17 | 수정일 2016.04.27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자료요약 - 시대상을 반영하는 경향을 중심으로 본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차이
    ‘ㄹㄹ’과 ‘ㄹㄴ’의 혼용1.3 받침의 ‘ㅅ’과 ‘ㄷ’1.4 방점의 소멸2. 음운상의 변화2.1 반치음 ㅿ과 ㆁ의 소멸2.2 합용병서2.3 구개음화(‘ㄷ’구개음화, ‘ㄱㆍㄴ구개음 ... 게 되었다. 두시언해의 초간본과 중간본을 비교하면 방점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2. 음운상의 변화2.1 반치음 ㅿ과 ㆁ의 소멸ㆁ자는 이미 16세기 후반부터 거의 쓰이지 않 ... 다가 18세기에 완전히 사라진다. 그리하여 ㆁ은 위치에 따라 두 가지 음가를 갖게 되었다. 반치음 ㅿ은 표기상으로만 16세기 말까지 유지되다가 17세기에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다만 동국
    리포트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11.03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