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태조 왕건은 새로운 체제의 정비를 위해 유교적 정치이념을 중시하였다. 그는 유교뿐만 아니라 불교 토착신앙 도참설 등도 포용하고 있었지만, 국가를 다스리고 민들을 교화하는 데 유교 ... 겠다. 최승로가 이러한 정치사상을 제기할 수 있었던 것은 광종에 의해 강대하였던 호족세력이 숙청되고, 또 쌍기의 건의에 의해 과거제가 시행되어 유교적인 문풍이 크게 떨쳤기 때문이
왕조의 새로운 문풍을 일으키는 많은 저술을 남겼다. 법전과 역사서, 지리지등을 비롯한 수많은 작품을 편찬해냈으며 특히 일명 이라고 불리는 은 사람들에게 세상의 근심과 무료함, 피로 ... 하였고 특히 문학이 가지는 효용에 주목하였다. 그의 효용적 문학관은 시가 중국과의 사대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 외에, 성정을 순화하여 백성을 교화하는 데 유용한, 도
하는 정책으로 바꾸었다. 서재교육도 유교 진흥에 큰 몫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사학도 관학과 아울러 보완적으로 유교 교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3 ... 여 진사시인 국자감시를 혁파하고 생원시만 실시하였다. 진사시를 없애는 대신 성균관 입학시험으로서 생원시를 설치하였다. 신진 사대부들은 고려시대 문풍을 좌우한 사장 중심의 유학을 배격
들을 주로 입학시켜 해당관서에서 교육시켰다.-교육제도가 유학중심적이어서 잡학은 천시되었다.⑥특성-관료제도와 왕도정치의 구현을 위한 관리양성과 국민교화에 목적을 두었다.-과거준비와 인격 ... 은 양반계층으로 그 법제적 신분조건이 동일했으며, 과거제도는 사회지위의 세습화방지와 인심의 갱신에 큰 기여를 하였고, 문풍은 학문을 고정시켰으며, 관존민비사상을 조장해 사회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