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근거는 형법해석학적으로 타당한가?넷째, 과실범의공동정범의 성립이 문제되는 사안들에 대한 올바른 해결방안은 무엇인가?Ⅲ. 學說의 對立과실범의공동정범을 인정할 것인가에 관하여는 긍정 ... 【 過失犯의 共同正犯 】Ⅰ. 序1. 意 義과실범의공동정범이란 2인 이상이 공동의 과실로 인하여 과실범의 구성요건적 결과를 발생케 한 경우에 과실범의공동정범이 될 수 있 ... 의 공동정범을 논하는 실익은 그것을 인정하면, 공동과실행위로 과실범의 구성요건적 결과발생을 야기한 모든 사람이 과실범의공동정범으로 처벌된다는 점이고,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행위
다.※ 미신범 - 무의미한 행위※ 법조경합(특별관계, 보충관계, 흡수관계)·법조경합으로 적용이 배제된 죄에 대해서 제3자는 공동정범으로 가담하는 것이 가능하다.·법조경합으로 적용 ... 가 문제된다.※ 누범 - 금고이상의 형을 받아 그 집행을 종료하거나 면제를 받은 후 3년이내에 금고 이상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때 누범으로 처벌(누범인 후범도 선고형이 금고이상의 형 ... 어하다.※ 형법 해석에 있어 관습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줌※ 고의·과실에 이중적 기능을 인정하는 가장 중요한 실익이 바로 위법성조각상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 문제의 해결에 있
가 을이다. 따라서 갑은 얼핏 살인의 죄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갑은 을과의 의사연락이 없었으므로 공동정범으로도 볼 수 없고 교사범도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방조 ... 이거나 과실범 으로 처벌되는 자이다. 위 사안에서 갑은 우월적 의사를 범행 전체를 장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을의 행위는 형법 제34조의 행위 유형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을의 처벌 ... 어 갑과 을을 형법 제30조의 공동정범으로 파악할 수 있을 지가 문제가 된다. 이에 대해 판례는공동정범이 성립하기 위하여는 주관적 요건인 공동가공의 의사와 객관적 요건인 공동의사에 의한
한지가 쟁점이된다.(2) 乙의 경우 B의 사망과 관련하여 A와 공동정범의 성립여부가 문제된다.(3) J 역시 계속적으로 치료중단을 요구한 행위에 대해 B의 사망과 관련해 행위의 성격 ... 에 대해서는 살인죄와 업무상 과실치사죄가 성립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우선 고의가 문제된다. 그 다음으로 A의 사망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행위가 없는 갑에게 부진정부작위범의 성립여부 ... 및 甲,乙과의 살인죄의 공동정범성립여부가 쟁점이 된다.(4) 丙의 경우 B의 사망에 대한 살인죄 성립여부와 관련해 엠브와 기관삽관의 제거행위가 작위인지여부, 부작위라면 보증인
미수를 인정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2. 갑의 죄책과 관련해서는 피이용자인 을을 선의의 도구로 생각하였으나 사실은 악의의 도구인 경우에 간접정범이 성립하는지 아니면 교사범이 성립 ... 하는지 문제되고, 교사범인 경우 형법 제34조 제2항의 특수교사가 성립하는지 문제된다.그리고 갑은 직계비속의 신분있는 자이므로 신분없는 을의 행위에 가담한 행위가 존속살해죄에 해당 ... 이 불가능할 것, 위험성이 있을 것, 주관적 구성요건으로 고의가 있을 것 등이 요구된다.사안의 경우에는 치사량 미달의 독약을 마시게 한 행위가 결과발생의 위험성이 있는지 문제
였다. 검사는 甲 등을 변칙세일을 한 입점업체의 업주가 범한 사기죄의 공동정범으로 기소하였다. 이에 대하여 원심은 ① 피고인들에게 업자와의 공모의 점을 인정할 수 없다는 점 ... 범위를 부당히 확장하였던 조건설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상당인과관계설은 원래 결과적 가중범에 있어서 중한 결과에 대한 형의 가중을 책임주의와 일치하게 하기 위하 ... 쇠를 화약류취급 면허 없는 자에게 맡긴 탄광덕대 김씨의 업무상 과실치사상죄의 죄책을 묻는 본 사안에서 원심은 ① 주의의무의 기초를 이루는 예견가능성이 없고, ② 사상의 결과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