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63)
  • 리포트(52)
  • 논문(9)
  • 시험자료(2)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氣發理乘一 途" 검색결과 41-60 / 63건

  • [유교사상]조선 중기의 유학사상
    은 기절지성에 포함시키고 칠정은 사단에 포함시켜 버린다. 이렇게 본연지성과 사단의 독자성이 부정됨으로써 심성론에서 理發氣隨는 인정되지 않고 氣發理乘一途만 인정되며 여기서 비로소 心性情意 ... 한 반면 율곡은 화담의 학설에 병통이 있기는 하나 스스로 탐구한 독창적인 학설로 理氣不相離라는 성리학의 묘처를 터득한 것이라고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런데 회재에 대해서는 율곡 ... 의 羅欽順에 대해서는 ?非理氣爲一物辨證?을 지어 그들의 학문이 결국에는 선학의 정적주의에 귀착됨을 비판했고 명의 王陽明에 대해서도 ?陽明傳習錄辨?을 지어 양명학의 心卽理說과 知行合一說
    리포트 | 2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5.17
  • 의부전록 123두문 頭痛脈法 나경보위생보감 위역림득효방 명서춘보고금의통
    고 운행해 전변하고 돎을 말함이니 형상이 눈을 감고, 눈이 캄캄하며 몸이 돌고 이롱함이 마치 배 위에 선 듯하니 일어나면 스러지려고 한다.蓋虛極乘寒得之,亦不可一而取軌也。만약 허증 ... 고 화담이 있다.濕痰者多宜二陳湯,火者加酒芩。습담은 이진탕증이 많고 화담은 술에 법제한 황금을 가미한다.挾氣虛者相火也,治痰爲先,挾氣藥降火。기허를 끼면 상화이니 담을 치료함이 우선이고 ... 이 지극하여 한증을 끼고 얻으면 또한 한 길로 궤도를 감이 불가하다.又風則有汗,寒則?痛,暑則熱悶,濕則重滯,此四氣乘虛而眩運也。또한 풍이면 땀이 있고, 한이면 당기며 아프며, 서증이면 열
    리포트 | 1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01.28
  • 손자병법 제 11장 구지편
    , 齊勇若一, 政之道也. 剛柔皆得, 地之理也. 제용약일, 정지도야. 강유개득, 지지리야. 故善用兵者, 携手若使一人, 不得已也. 고선용병자, 휴수약사일인, 부득이야.설명-4부대간의 합심 ... 지약하. 曰, 先奪其所愛, 則聽矣. 왈, 선탈기소애, 즉청의. 兵之情主速, 乘人之不及, 由不虞之道, 병지정주속, 승인지불급, 유불우지도, 攻其所不戒也. 공기소불계야.설명-2적을 물리 ... 道, 深入則專, 主人不克. 범위객지도, 심입즉전, 주인불극. 掠於饒野, 三軍足食. 약어요야, 삼군족식. 謹養而勿勞, 倂氣積力, 運兵計謀, 근양이물노, 병기적력, 운병계모, 爲不可測
    리포트 | 4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02.20 | 수정일 2016.03.10
  • [동양철학] 율곡의 생애와 사상
    (局限)된다는 의미이다. 그의 이통기국(理通氣局)은 이일분수(理一分殊), 기일분수(氣一分殊)의 사고를 거쳐 창출된 이론이다.이일분수(理一分殊)는 이기지묘(理氣之妙)하에서 이(理 ... )를 중심으로 본체와 현상을 아울러 본 것이라면, 기일분수(氣一分殊)는 이기지묘(理氣之妙)하에서 기(氣)를 중심으로 본체와 현상을 아울러 본 것이다. 따라서 이기(理氣) 중 어느 한 면 ... 으로 치우쳐보는 관점을 지양하고, 이기지묘(理氣之妙)의 관점에서 이일(理一)과 기일(氣一), 이분수(理分殊)와 기분수(氣分殊)를 아울러 본 것이 이통기국(理通氣局)이다.율곡은 이통
    리포트 | 1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12.03
  • 의부전록 원기계미 서 의설 의약지난 의통신명 의불탐색 은의 속의설 처방귀간 의귀권변
    게 될 뿐이다.至於湯藥一物,少有乖謬,便性命及之。탕약의 한 물에 이르면 조금 어긋남과 그릇됨이 있어서 곧 천성과 생명이 이르게 된다.千乘之君,百金之長,可不深思戒?耶?천승의 임금과 백금 ... 으로 병을 알아야 한다.病與藥對,古人惟用一藥治之,氣純而功愈速。병과 약은 대응하니 고대 사람이 한 약을 사용하여 치료함이 기가 순일하여 공로가 더욱 빨랐다.今之人不識病源,不辨脈理,藥品 ... 原機?微원기계미【 無名氏)】무명씨(예유덕)序서문醫爲儒者之一事,不知何代而兩之。의학은 유학의 한 일이니 어떤 세대로부터 양쪽으로 길이 됨을 알지 못한다.父母至親者,有疾而委之他人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5.01
  • [성리학] 이기 사단칠정론
    선한 일면만을 택해서 발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어디까지나 발하는 것은 氣이며 발하는 까닭은 理라고 보는 것이다. 율곡의 이 같은 이론은 한국의 유학사에서 '氣一設 ... 유형 유차별한데서 오직 퇴계가 논증한 바 '氣發而理乘之'만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의 견해는 理가 발하는 사단이란 칠정 외에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氣가 발한 칠정 중에서 특히 ... '이라고 지칭된다. 율곡의 '氣一設'은 일단 퇴계의 호발론의 명제 가운데 그 일면인 氣發만을 채택함으로써 성립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退·栗의 사상을 모순 대립의 학설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6.03
  • [조선사]송시열과 허목(예송논쟁)
    과 평가주자학의 대가로서 이이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의 주류를 이루었다. 이황(李滉)의 이원론적인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배격하고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 ... 하여 사단칠정이 모두 이(理)라 하여 일원론적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예론에도 밝았다. 그의 문하에서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으며 글씨에도 일가를 이루었다.그는 대학자였고 성격이 과격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6.06
  • [역사] 율곡이이의 철학사상...
    을 에 대하여는 氣發理乘을 주장하였다. 栗谷哲學의 근본은 理氣二元說과 理通氣局說 및 本然之氣說과 氣發一說로 형성되어 있다. 退溪의 理先氣後說에 반대한 그는 理氣의 無先後를 주장 ... . 認識論과 四七氣發一說栗谷의 獨創性과 合理的인 요소는 認識問題에서 나타난다. 인간의 마음을 思惟器官 이라하고 思惟器官은 血氣의 身에 의해서 존재한다고 한다.「血氣之身이 있는 직후 ... 에 及第하여 宣祖初期에 玉堂(弘文館)에 들어갔고 이어 大司諫 大提學, 兵, 吏曹判書를 거쳐 49세로 죽음에 退溪와 같이 理氣學을 集大成한 學者이다.그는 士林의 하나로 정권에 참여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5.18
  • [교육학]교육학 정리
    는 율곡 1539~1584)① 이황과 함께 성리학의 쌍벽을 이룬 사상가② 철학사상 :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設) - 기가 나타나는 국면에 따라 이는 언제나 그 속에 들어 있다. 즉
    리포트 | 9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6.29
  • [유교] 유교의 기본원리
    )을 창안하여 리(理)의 능동성을 주장하였고, 이에 비해 이이(李珥)는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로 리의 능동성을 부정하여 리기를 각각 발(發)하게 하는 원인과 발하는 것으로 구분 ... 을 성(性)과 정(情)에 배당함으로써 인성론(人性論)에까지 일관시켰다.주희의 리기이원론은 그 이후 명(明)의 나흠순(羅欽順)의 리기일물설(理氣一物說)을 거쳐 왕수인(王守仁)의 심즉리 ... 며, 더욱이(陰陽氣化)의 근거로서 리(理)의 실재를 확립하여 리기설(理氣說)을 창설하였으며 그 다음 주희(朱熹)에 이르러 대성되었다. 주희는 리와 기로써 이원론을 수립하였고 나아가서 그것
    리포트 | 1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03.29
  • [독후감]천예록 독후감
    하고 이이의 기발이 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 사단칠정(四端七情)이 모두 이(理)라 하여 일원론적(一元論的)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예론(禮論)에도 밝았다. 성격이 과격하여 정적(政敵 ... )되었다.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서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루었으며 이황(李滉)의 이원론적(二元論的)인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배격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10.16
  • [유아교육]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사상
    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지지하고 이이 계열의 기호학파에서는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하는 등 학파에 따라 학설이 양분되는 경향을 보였다.이황·이이 등 여러 학자 ... 을 끼쳤다. 조선의 성리학은 이황과 기대승(奇大升), 이이와 성혼(成渾)간의 사단칠정이기론변(四端七情理氣論辨)을 거쳐 학문적 정점을 이루었는데, 이후 이황 계열의 영남학파에서는 이황 ... )보다 지(志)가 마음의 지향성을 더욱 뚜렷이 한 개념이다.지(志)란 마음이 가는 바로서 선으로 가고 악으로 가는 것이 모두 지(志)인 것이다. 지(志)는 기(氣)를 통솔한다. 지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05.21
  • [충청지방역사] 기호학파에 대해서
    설을 규정하는 준거는 기발리승일도氣發理乘一途 라 할 수 있다. 이황이 사단을 리발이기수지理發而氣隨之, 칠정을 기발이리승지氣發而理乘之로 나누어 설명한 것과는 달리, 율곡 학파는 일체 ... 영향을 찾을 수 있다. 이이는 이황이 비교적 벽이단 闢異端의 입장에서 순정醇正한 성리학의 확립에 주력했던 것과 달리, 불교 도가, 양명학 및 서경덕의 기학氣學에 대해 비판적 입장
    리포트 | 1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4.01.20
  • [한국사상] 율곡 이이의 윤리사상
    성을 가짐②기(氣)- 형상이 있는 것으로서 언제 어디에서든지 국한되며 특수성을 가짐.③이기지묘(理氣之妙)- 이와 기는 세계의 존재에 있어 반드시 있어야 할 요소로서 양자는 대등 ... 이기가 시간적으로 선후가 없고 공간적으로 이합(離合)이 없는 묘합의 존재구조. 이기가 오묘하게 합해 하나로 있는 경지는 보기도 어렵고 설 명하기도 어렵다.④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 ... 할 때 기발과 이승은 동시적인 것이고 공간적으로 이합이 없다. 이승(理乘)의 승(乘)은 단순한 의미가 아닌 기(氣)의 동정을 주재하는 이의 근저적 의미를 가진다. 기발이승은 존재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12.23
  • [교육철학] 한국철학
    는 식으로 인간감정이 발현된다고 하고(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 기의 상대적 우월성을 주장하였다.기의 이우위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주기파는 현실의 실천에 중심을 두면서 정치,경제 ... 론(四端七情論)이황은 사단은 理가 발현한 것이고 칠정은 氣가 발현한 것이다(四端理之發, 七靑氣之發)고 하여, 선악이 섞이지 않은 마음의 작용인 사단은 理가 발현한 것이고, 인간감정 ... 의 총칭인 칠정은 기가 발현한 것이라고 구분하고(理氣互發說), 이를 기의 우위에 삼은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를 주장했다.이에 기대승은 인간감정인 사단과 칠정은 칠정이 사단의 범위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6.18
  • [유교] 유교문화의 특징
    을 계승하면서도 리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창안하여 리(理)의 능동성을 주장하였고, 이에 비해 이이(李珥)는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로 리의 능동성을 부정하여 리기를 각각 발 ... 에서부터 인식론·수양론 전반에 걸쳐 강하게 드러나는 특징이기도 하다.②유교의 우주관우리 나라에서는 성리학(性理學)이 유입된 이후 이언적(李彦迪)이 태극론(太極論)을 통해 태극을 리(理 ... )로 이해하였으며, 서경덕(徐敬德)은 장재와 같이 기일원론(氣一元論)을 전개하였으나 태허(太虛)가 아니라 허(虛)를 기(氣)로 봄으로써 독특한 일면을 보였다. 이황(李滉)은 주희의 설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10.11
  • [관광자원] 우암사적공원
    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루었으며 이황(李滉)의 이원론적(二元論的)인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배격하고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 사단칠정(四端七情 ... )이 모두 이(理)라 하여 일원론적(一元論的)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예론(禮論)에도 밝았다. 성격이 과격하여 정적(政敵)을 많이 가졌으나 그의 문하에서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으며 글씨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09.09
  • [한국사] 양반관료국가의특성
    내 재하기 마련이라는 理氣一元論을 주장함.그의 이론은 氣發理乘一途設로 설명되기도 하고 주기론으로 규정되기도 함.기를 중시함으로써 도덕적인 교화에 앞서 養民을 하고, 양민에 앞서 ... 은 유교의 가치체계를 존중하면서 인륜과 도덕을 우주의 질서와 연결시켜 파악함으로써 정치철학적 이론을 제공하고 있음.우주와 인간의 질서를 형이상의 理와 형이하의 氣와의 융합에 의하 ... 와 변화 원인인 氣가 互發한다는 理氣互發設을 주장이·기를 우주 생성의 2대 요소로 보는 理氣二元論을 주장함.인간의 도덕적 실천의 근거인 이의 능동성을 강조하여, 원칙과 도덕적인 마음
    시험자료 | 8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3.11.09
  • [성리학] 율곡 이이의 성리학
    를 지속한다. 이것이 이른바 이기의 묘합이다. 이것은 일반적인 논리 체계로는 쉽게 이해할 수 없는 것인 까닭에 율곡이 '理氣之妙'라고 이름한 것이다.(3) 氣發理乘一退溪는 四端 ... 을 하는 '理'의 근저적 의미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氣發理乘은 존재 자체의 표현으로 理氣之妙의 다른 표현이며 理通氣局의 다른 표현이다.(4) 理通氣局栗谷은 理의 차원에서는 하나인데 ... 된다는 의미이다.栗谷의 理通氣局은 理一分殊, 氣一分殊의 사고를 거쳐 창출된 이론이다. 理一分殊는 理氣之妙하에서 理를 중심으로 본체와 현상을 아울러 본 것이라면, 氣一分殊는 理氣之妙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10.13
  • 한국윤리사상사
    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說)① '理'가 활동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氣'가 활동 작용하는 원인일뿐이다.② 스스로 활동 작용하는 것은 '氣'뿐이다.③ 氣가 활동하여 理가 그위 ... 기도 하고(理發而氣隨之),② 氣가 작용하여 理가 그 위에 타기도 한다(氣發理而乘之).3) 도덕을 중시한 정신적 도덕적 입장을 중요시4) 위정척사에 영향4. 이이1) 主氣論2) 기발 ... 할 것인가 를 탐구1. 性理學 : 人性論을 중심으로 발전2. 계기 : 이황과 기대승의 四端 七情 논쟁'3. 이황1) 主理論2)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① 理가 작용하여 氣가 理에 따르
    리포트 | 1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09.23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