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중세국어의 국어사적 특징

*창*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8.10.25
최종 저작일
2013.05
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뮤지컬 모짜르트 무료 티켓 이벤트(한 줄 사용후기 이벤트)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후기 중세국어의 국어사적 특징
1) 훈민정음
2) 음운체계
3) 문법체계
4) 어휘체계

Ⅲ. 마치며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후기 중세국어의 큰 특징은 단연 訓民正音의 창제와 이에 따른 많은 문헌들의 간행일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훈민정음의 창제는 우리말을 우리글로 적을 수 있게 한 민족적 소망의 集大成이었다. 하지만 단순히 훈민정음의 창제는 중세국어의 전기와 후기를 나누는 사건은 아니었다. 훈민정음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문자 체계이었을 뿐이었다.
그렇다면 중세국어의 전기와 후기를 양분하는 그 기준은 무엇일까. 그것은 다름 아닌 ‘중앙어의 이동’에 있다. 고려시대의 中央語는 수도인 개경(개성) 중심의 말이 중앙어라 할 수 있을 것이고, 조선시대의 중앙어는 한양 중심의 말이 중앙어였다. 결국 전기 중세국어와 후기 중세국어로 나누는 그 기준은 개경 중심의 언어가 고려가 조선으로 바뀌는 그 과정에서 한양 중심의 언어로 재편되는 것이라 하겠다. 이 한양 중심의 중앙어는 15세기에 창제된 훈민정음을 맞이하여 많은 정음 문헌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의 정음 문헌은 거의가 중앙의 간행물이었다는 점을 비추어 본다면 이 문헌들이 당시의 중앙어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으로 여길 수 있을 것이다.
후기 중세국어의 국어사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논의의 출발은 바로 여기에 있다. 즉, 이 시기의 특징은 훈민정음과 정음 문헌에 나타난 우리말의 모습인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훈민정음 창제의 역사적 의의와 이 시기의 국어의 모습을 음운, 문법, 어휘의 체계로 살펴보고, 후기 중세국어가 가진 특징과 그 의의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 후기 중세국어의 국어사적 특징
1) 訓民正音
訓民正音의 창제 이전에는 漢字가 말을 전하기 위한 표기 수단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하지만 한자의 사용은 근본적으로 우리글이 아니었기에 한문을 쓰고 그것을 다시 우리식 언어로 이해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비록 이두와 향찰, 구결과 같은 한문을 우리 언어생활의 방식에 맞게 쓰는 방법이 있었으나 한자의 본은 중국에서 들여온 문자체계이기에 우리말을 우리 민족의 정서에 맞게 사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었다.

참고 자료

이기문, 「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강진주, 「15,16세기 의약서 언해의 표기와 음운현상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김차균, 「16세기 국어의 표기 체계와 음운」, 충남대 어학연구소, 1988
위 진, 「조선시대 한자 학습서의 국어 음운 표기 연구」, 전남대 대학원, 2002
이현희, 「중세 국어 자료」, 국립국어연구원, 1996
조남호, 「중세 국어 어휘」, 국립국어연구원, 1996
한영우, 「다시 찾는 우리 역사」, 경세원, 1997
허삼복, 「15세기 국어의 음절과 표기체계」, 어문연구, 1990

자료후기(1)

*창*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국어사개설] 6. 후기 중세국어 - 요약 정리 56페이지
    후기 중세 국어 > ▣ 개관 (1) 후기 중세 국어 시기: 14세기~16세기 ... 고대 국어 005. 전기 중세국어 006. 후기 중세국어 007. ... 후기 중세국어 < 6.
  • 한글파일 국어사 기말고사 연습문제 5페이지
    후기중세국어 문헌자료의 특징에 대해 말하고, 다음 문헌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라 ... 중세국어 조어법의 특징으로 ‘빌먹-’, ‘듣보-’ 등 용언 어간이 직접 연결되어 ... 후기중세국어 시대의 조어법에 대해 설명하라.
  • 한글파일 전기 중세국어의 특징국어사적 논의 6페이지
    전기 중세국어의 특징국어사적 논의 목 차 Ⅰ. 서 론 Ⅱ. ... 서 론 전기 중세국어의 국어사적 특징을 살펴보기에 앞서, 전기 중세국어의 ... 중세국어의 성립 Ⅲ. 중세국어의 특징 분석 1. 음운을 중심으로 2.
  • 한글파일 국어사개론 제6장 전기 중세국어 요약문 8페이지
    - 四十日麻刃(사십일마인) → 후기 중세국어: 마? ... - 乃耳(내이) → 후기 중세국어: 나ㅿㅣ - 於耳(어이) → 후기 중세국어 ... 구분: 14세기를 경계로 전기 중세국어 후기 중세국어 시기 10세기 ?
  • 한글파일 중세국어의 자음 연구 - ㅂ계의 어두 자음을 중심으로 - 3페이지
    이 근거로는 ‘ㅂ'계와 ‘ㅄ'계가 후기 중세국어 시기인 16세기 말의 문헌이 ... 박창원, 『중세국어 자음연구』, 한국문화사, 1996. ... 중세국어의 자음 연구 -“ㅂ”계의 어두 자음을 중심으로 - 목 차 Ⅰ.
  • 한글파일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에서 나타나는 사동 표현 - 석보상절을 중심으로 10페이지
    이를 통해, 후기 중세국어 이후에 이중 사동 접미사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사동사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발생한다. ... 형성되었다는 공통된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 한글파일 중세국어의 차용어 5페이지
    허웅, 《중세국어연구》, 정음사, 1963. ... 이병운, 《중세국어의 음절과 표기법 연구》, 세종출판사, 2000. ... 19세기, 개항 전까지를 훈민정음 창제를 기점으로 각각 중세 전기와 후기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위잇 도시락 이벤트
  • 르네셀 화장품
  • 뮤지컬 모짜르트 무료 티켓 이벤트(한 줄 사용후기 이벤트)
  • 초대이벤트 - 운빨로맨스
  • 해피캠퍼스 2023 상반기 결산 이벤트
후기 중세국어의 국어사적 특징
이벤트1 이벤트2 이벤트3 오늘하루보지 않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