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사회였다는 점에서 살펴볼 중요성이 있다.연구사로는 1991년 이재룡의 「16세기 조선조 성리학의 규범적 의미」, 1991년 유명종의 「조선시대의 성리학파」, 1993년 이상필 ... 의 「16세기 유학사상의 전개와 남명의 학문」, 1994년 이애희의 「18세기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의 비교연구」, 1999년 정재훈의 「〈성학집요〉를 통해본 조선중기의 정치사상
학파인 "김상헌"을 대표하는 척화:斥和=(화회를반대함)론과 관학파인 "최명길"을 대표하는 주화:主和=(화회를주장함)론과의 대립이 있었다. 그러나 병자호란으로 무너진 사회질서를 재건 ... (儀禮派)로 나타난다. 이 정파들의 내용은 학문을 중심으로 모인 학파집단(學派集團)이었기 때문에 학문의 이론집단(理論集團)이었다. 다시말해서 임란(壬亂)과 호란(胡亂) 양란때의 국가 ... 다. 거슬러 올라가면 북인계는 남명:조식(南冥:曺植)계와 화담:서경덕(花潭:徐敬德)계의 연합체(聯合體)로서 다양한 구성원으로 되어있었다. 그중에는 성리학 학통의 순정:純正=(깨끗이 올바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