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시아와 한국현대사(21세기 동북아평화의 길)
- 최초 등록일
- 2008.12.16
- 최종 저작일
- 2008.12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한국과 중국 일본 그리고 북한과의 역사 문제 등을 다룸
특히 시사를 주로 다루었음.
목차
Ⅰ. 머리말
Ⅱ. 본 문
1. 한국과 중국이 해결해야 할 과제
1) 동북공정 - 간도문제
2. 한국과 일본이 해결해야 할 과제
1) 독도영유권 문제
2) 야스쿠니 신사 참배문제
3) 역사교과서 문제
3. 한국과 북한이 해결해야 할 과제
1) 북핵 문제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머리말
21세기 동북아시아는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위치가 되었다. 중국과 일본 그리고 유일하게 분단되어 있는 한반도 및 러시아 일부가 속해 있는 동북아시아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따라서 현재 불안정한 이 지역을 잘 보전하며 평화의 상태로 만들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 ․ 중 ․ 일 삼국과 북한이 지니고 있는 과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한국은 이들의 중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들과의 관계유지에 힘써야 우리가 원하는 평화통일 및 나아가 동북아시아의 평화까지 이룰 수 있다.
본문에서는 한국을 중심으로 한 각국과의 해결되어야 할 과제를 다룰 것이다. 물론 한국현대사와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지만, 과거의 역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현재에 벌어지고 있는 상황,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역사를 가지고 동북아시아의 현 모습을 파악하는 것이 이 글의 요지이다. 본문에 모든 내용을 다루면 좋겠지만, 최근 언론에서 다루어진 내용(시사)을 바탕으로 중국과의 간도문제, 일본과의 독도 ․ 신사참배 ․ 역사교과서문제, 그리고 북한과의 핵문제 등 다섯 가지의 쟁점을 논하고, 마지막 맺음말에서는 본문의 내용을 총괄한 나의 입장을 정리하겠다.
Ⅱ. 본 문
1. 한국과 중국이 해결해야 할 과제
1) 동북공정 - 간도문제
최근 중국과의 간도문제가 제기되는 이유는 첫째, 세계정세의 변화로 동북아시아의 지역적 위상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개혁개방 정책 이래 동북아시아 변경에서 러시아, 북한, 한국, 몽골, 일본, 미국과 중국사이의 쌍방관계나 다자간의 관계에 큰 변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최근 10년 이래 동북아시아의 정치적, 경제적 지위가 지속적으로 상승됨에 따라 동북아시아는 세계가 주목하는 지역으로 부각되었고 그 중에서도 동북 지역은 동북아시아의 중심으로써 중요한 전략적 지위를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김득황, 2005 《만주의 역사와 간도문제》 (남강기획, 서울)
김종엽, 2004 《21세기의 한반도 구상》 (창작과 비평사, 파주)
노길호, 2001 《야스쿠니 신사》 (문창출판사, 서울)
신용하, 2006 《한국의 독도영유권 연구》 (경인문화사, 서울)
이신철, 2003 〈일본교과서 역사왜곡과 21세기 아시아 평화〉
《화해와 반성을 위한 동아시아 역사인식》 (역사비평사, 서울)
조재길, 2006 《북핵 위기와 한반도 평화의 길》 (한울,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