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몸의 시학, 김수영
소개글
목 차Ⅰ. 들어가며
Ⅱ. 펼치며
1. 김수영의 생애
2. 김수영의 작품세계
1) 김수영의 모더니즘
(1) <공자의 생활난>
(2) <달나라의 장난>
2) 김수영의 리얼리즘
(1) <푸른 하늘을>
(2) <풀>
3) 김수영의 로맨티시즘
3. 김수영의 시관(詩觀)
Ⅲ. 나오며
목차
Ⅰ. 들어가며Ⅱ. 펼치며
1. 김수영의 생애
2. 김수영의 작품세계
1) 김수영의 모더니즘
(1) <공자의 생활난>
(2) <달나라의 장난>
2) 김수영의 리얼리즘
(1) <푸른 하늘을>
(2) <풀>
3) 김수영의 로맨티시즘
3. 김수영의 시관(詩觀)
Ⅲ. 나오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1945년 해방 직후, 김수영은 25살의 나이로 <묘정의 노래>, <공자의 생활난> 등을 발표하며 시단에 등장했다. 그리고 48세가 되던 1968년, <性>, <풀> 등의 작품을 유언처럼 남기고 교통사고로 돌연 죽음에 이르기까지, 그는 시인으로서뿐 아니라 평론가, 번역가로서 왕성한 활동을 했다. 김수영은 해방기(1945)의 혼란, 6·25전쟁(1950), 4·19혁명(1960), 5·16사건(1961) 등 질곡의 시대를 살았으며 등단에서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근 20여 년간 200여 편에 이르는 시와 이론을 남겼다. 인간의 양심, 자유, 정의의 문제를 부르짖던 그의 시 세계는 강렬함으로 깊은 인상을 주었고 그래서 우리에게 ‘김수영’ 이라는 이름은 너무도 친숙하다.
많은 사람들이 반사적으로 떠올리는 김수영은 `리얼리즘 시인` 혹은 ‘참여 시인’이라는 이름일 것이다. 이는 대부분의 지식인들이 정치적 억압과 혼란 속에서 능동적, 현실참여적인 역할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고 훼절 혹은 침묵으로 일관하였던 시대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러나 현실성에 집중한 김수영의 시는 한편으로는 예술성 부족이라는 평가를 듣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험적 모더니스트로서의 기질을 유지하며 참여적 리얼리즘의 요소를 적극 수용하여 그 사이의 조화를 성취해냈다는 것에는 학자들 사이에 별반 이의가 없는 듯하다.
목차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고에서는 먼저 김수영의 생애에 대해 살펴 본 뒤 그의 작품세계에서는 4·19를 기점으로 하여 4·19 이전의 시들과 4·19 이후의 시들로 나누어보았다. 이는 김수영의 시 세계가 4·19를 기점으로 하여 중요한 변모의 과정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김수영에게도 낭만적인 시가 있었다는 것을 참고와 재미의 측면에서 소개하고 김수영의 시관의 핵심적 부분을 언급할 것이다.
참고 자료
고명수, 『한국의 모더니즘 시인론』, 문학아카데미, 1995김명인, 『김수영, 근대를 향한 모험』, 소명출판, 2002
김윤식,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넘어서기에 대하여-한국문학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민음사, 1989
문광훈, 『시의 희생자, 김수영』, 생각의 나무, 2002
이상호, 「김수영 후기시 연구」, 한국민족학회 민족학연구 제 5집, 2001
이인순, 「시인 김수영 연구」, 전북대 석사, 1987
이형권, 「김수영 시의 맥락」, 문예시학, 2000
오봉옥, 『김수영을 읽는다』,랜덤하우스중앙, 2005
유재천, 「김수영의 ’孔子의 生活難‘」, 연세어 문학 17집, 1984.
정구향, 「한국 모더니즘 시의 비교-1930년대와 1950년대의 모더니즘 시를 중심으로」, 건국대 박사, 1993
정효구,「자유와 사랑의 어두운 뒤편 - 김수영 시에 나타난 사랑」, 현대시사상, 1996
최동호·강웅식 외, 『다시 읽는 김수영 시』, 작가, 2005
최하림, 『김수영 평전』, 실천문학사, 2001
황정산, 『김수영』, 새미, 2003
18종 문학참고서
3시 문학 천재교육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김수영 연구 11페이지
[인문어학]김수영 시의 현대적 의미 26페이지
[한국현대시론연구]07 김수영의 시론 - 모더니티, 온몸의 시학 10페이지
[A+]김수영론 - 김수영의 모더니즘과 시적특징 12페이지
김수영의 시 「孔子의 生活難」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