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프의 형성과 활동
1) 배경
문학을 통해 계급 이념의 조직적인 실천을 추구하는 프로문학은 1919년 3․1운동을 기점으로 하여 그 형성의 배경을 고찰할 수 있다.
한국문학은 3․1운동을 거치면서 자아에 대한 각성과 함께 민족의 현실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주축으로 그 시야가 확대되었다.
당시 3·1 운동이 일어나기까지 식민지 민족해방운동은 민족의식의 고취, 신교육의 확대, 민족 산업 육성 등 애국적인 민족 개량주의에 근거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주도권은 부르조아의 강력한 지배하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3․1 운동의 좌절을 계기로 이러한 방법으로는 민족 해방운동이 어렵다는 사실이 확인되자 새로운 방법과 사상이 요구된다. 즉, 일제의 제국주의적 침략과 그 식민지 지배 논리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사회주의적 사상이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3.1운동 직후 일본의 군국주의적 무단통치가 문화정치로 대체되면서 각종 출판물이 간행되는 등 언론·출판 분야는 활기를 되찾기 시작했다. <동아일보>, <조선일보>등의 일간지와 민족 종합지 『개벽』의 창간을 전후하여 동경에서는 김동인, 주요한, 전영택 등이 중심이 되어 새로운 예술의 창조를 목표로 순문예동인지 『창조』를 간행하였고, 국내에서는 암울한 시대의 고통을 문예를 통해 극복하기 위해 염상섭, 오상순, 변영로, 김억 등이 문예 동인지 『폐허』를 간행한다. 그리고 뒤이어 박종화, 박영희, 홍사용, 나도향, 현진건 등이 『백조』를 간행하게 된다.
이처럼 1919년 3·1운동 이후 사회주의 사상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일제의 식민지정책이 문화정치로 전환되면서 활발하게 활동을 펼치던 1920년대 초반의 문단의 한축은 3․1운동의 좌절로 발전의 길이 막힌 소부르조아의 이데올로기를 반영, 당시 유행하던 세기말 사상에 쉽게 경도된 낭만적이고 퇴폐적인 현실부정의 문학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는『창조』,『폐허』,『백조』등의 동인지와 주요 구성원이었던 주요한, 변영로, 박영희, 박종화, 김억 등의 시에서 이를 단적으로 드러내준다. 또 다른 한 축은 개량주의적 민족운동에 대한 비판에서
· 권영민,『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2003
· 권정우, 『정지용의 『정지용시집』을 읽는다,』 2003
· 김보현, 『데리다의 정신분석학 해체』,부산대학교 출판부,2000
· 김용희, 『정지용 시의 미학성』, 소명출판, 2004
· 김윤식.정호웅,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4
· 김은자, 『정지용』, 새미, 1996
· 김의선,「탁류 인물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김종태, 『정지용 이해』, 태학사, 2002
· 김해성, 『한국현대시문학사』, 대광문학사, 2000
· 김홍기,『채만식 연구』, 국학자료원, 2001
· 김희선,「채만식 소설의 여성상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 민현기,『한국현대문학비평론』, 새문사, 2004
· 박은경, 「정지용 시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송현호,『한국근대문학론』, 국학자료원, 2005
· 유윤식, 『시문학파 연구』,한국언어문화학회 ( 구 한양어문학회 )한양어문, 1988
· 이명찬, 『1930년대 한국시의 근대성』, 소명출판, 2000
· 이승원, 『정지용 시의 심층적 탐구』, 태학사,1999
· 이승원, 『정지용』,문학세계사, 1996.
· 이이, 『율곡집』,성낙훈 역, 한국의 사상 대전집12, 동화출판공사, 1972
· 임세건,「채만식 문학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 장도준, 『정지용 시 연구』, 태학사, 1994
· 정의홍, 「정지용시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 정지용, 「시선후」,『정지용 전집 2』, 민음사, 1988
· 정홍섭,『채만식 문학과 풍자의 정신』, 도서출판 역락, 2004
· 조창환,『해방 전후 채만식 소설 연구』태학사, 1997
· 진교훈, 『인간과 현대적 삶』, 철학과 현실사, 2003
·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카프문학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89
· 윤병로, 『한국 근·현대사』, 명문당, 1991
· 홍문표, 『한국현대문학사』, 창조문학사, 2003
· 김영민,『한국근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