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ussell, B.(1969),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Allen & Unwin), 13쪽.
· Maritain, J.(1962),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trans, E.I. Warkin(New York: Sheed and Ward),
· Wittgenstein, L.(1953), Philosophical Investigations.(New York: Crowell-Collier & Macmillan, Inc.
· 김상일(1988), 『한철학』, 전망사
· 김정행 외 2명(1997), 『무도론』, 대한미디어.
· 나영일(1994), “전통무예의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33(2), 한국체육학회.
· 로젠버그, J.F.(이재훈 역)(1987), 『철학은 이렇게 한다』, 서광사.
· 배영상, 송형석, 이규형(2002), 『오늘에 다시 보는 태권도』, 이문출판사
· 백종현(1998), 『칸트 <실천이성비판> 논고』, 재단법인 성천문화재단.
· 스텀프, S.E.(이광래 역(1991), 『서양철학사』, 종로서적.
· 양진방(1989), "무도에 함장된 체육관". 대한태권도협회 계간 태권도 70.
· 양진방(1999), “태권도 철학의 가능성과 이론적 토대”, 태권도 학술 세미나 자료집.
· 양진방(2000), “무도이론의 기초개념으로서의 강유론”, 대한무도학회지, 2000, 제2권, 제1호, pp.43-58.
· 엘리자베스 비어슬리․몬로 비어슬리(이명숙․곽강제 역)(1987), 『철학적 사고에의 초대』, 서광사.
· 오병남(1988), “미학과 예술”, 『예술교육과 창조』, 한국예술문화 연구소.
· 요하네스 힐쉬베르거(강성위 역)(1983), 『서양철학사:상권』, 이문출판사
· 웨스트팔, 프레드 A.(양문흠․기종석 역)(1981), 『어떻게 철학을 할 것인가』, 까치.
· 이경명(2002), 『태권도의 바른 이해』, 상아기획
· 이경명(2004), 『태권도 무예요해』, 상아기획
· 이창후(2000), 『태권도의 철학적 원리』, 서울: 지성사.
· 이창후(2003a), 『태권도의 삼재강유론』, 도서출판 상아기획
· 이창후(2003b), 『태권도 현대사와 새로운 논쟁들』, 도서출판 상아기획
· 이창후(2003c), “태권도 교류 확대와 태권도 철학의 발전 방향”, 제5차 태권도 세계화 포럼, 이 책의 논문 4.
· 이창후(2005), “태권도의 발전과 역사 및 철학”, 『태권도학: 회고와 전망』, 상아기획.
· 조인철(2004), “한국 전통무예의 개념과 무예학 정립의 접근방안”, 대한무도학회지, 2004, 제6권 제2호, pp.83-100.
· 최복규(1995), “전통무예의 개념정립과 현대적 의의”,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석사논문.
· 최복규(2000), “한국무예사 정립을 위한 이론적 토대”, 대한무도학회지. 2000, 제2권, 제1호, pp.157-172.
· 최영렬(2005), “서설: 태권도계의 당면 현안들과 태권도 학도의 사명”, 『태권도학: 회고와 전망』, 상아기획.
· 풍우란(정인재 역)(1990),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 황준연(1995), 『율곡 철학의 이해』, 서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