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성렬, (1996), ‘인구경제론’, 박영사.
· 권태환, 박영진, (1995), ‘가구구조와 가족형태’, 권태환·김태헌·최진호 공편, ‘한국의 인구와 가족’, 일신사. pp.239-365.
· 김두섭, 박상태, 은기수 편, (2002), ‘한국의 인구’, 통계청.
· 김성혜, 김초강, (1991), ‘결혼관련 요인의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보건건강교육학회지 제8권 1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87-91.
· 김승권, (2000), ‘제3장 한국가족변화의 주요요인’, 김승권 외, ‘한국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연구보고서 2000-0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승권, 최병호, 정경희, 이삼식, 박덕규, 박인화, 장지연, (2002),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장·단기 정책방안 : 정책보고서 2002-46’,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승권, 최민자, 이연주, 박정한, 선우덕, 조성현, 곽혜경, 조애저, 김유경, 강옥희, (2003), ‘저출산 대비 인구정책 개발 및 범정부추진체계 수립연구 : 정책보고서 2003-26’,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세곤, (2002), ‘일본에 있어서 소자화 현장의 현황과 그에 대한 보육정책을 통한 지원대책방안’, 한국일본교육학연구 제6권 1호, pp36-50.
· 김정석, (2002), ‘제8장 가족과 가구’, 김두섭·박상태·은기수 편, ‘한국의 인구’, 통계청. pp.247-281.
· 김한곤, (1993), ‘한국출산력 변화의 원인과 전망’,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총서 6, 영남대학교출판부.
· 민경희, (2002), ‘제11장 노동력’, 김두섭·박상태·은기수 편, ‘한국의 인구’, 통계청. pp.394-427.
· 보건복지부, (2004), ‘세계화·지방화를 지향하는 2004년 주요 업무계획’, 보건복지부.
· 전광희, (2002), ‘한국의 저출산 : 추이와 전망’, 사회과학연구 제13권, pp305-323,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전광희, (2002), ‘한국의 인구 및 주택’, 한국의 인구 및 주택 심포지엄 발표자료, 통계청.
· 정성호, (1990), ‘한국에 있어서 출산조절에 관한 요인분석’, 한국사회학 Vol. 24, No. 1, 한국사회학회, pp113-129.
· 한국인구학회 편, (1997), ‘인구변화와 삶의 질’, 일신 사회과학신서 27, 일신사.
· 함주현, (2001), ‘출산력과 노후 주거조건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01년 여름호, 한국노인복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