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정책과 쟁점
- 최초 등록일
- 2006.11.15
- 최종 저작일
- 2006.01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요즘 대두되는 평생교육정책에 대해.
목차
목차
서론
본론
Ⅰ. 개념
1.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의 개념
2. 평생교육 정책 (Lifelong education policies)의 개념
Ⅱ. 정책의 배경
Ⅲ. 정책의 목표 및 내용
1. 평생교육의 목표
2. 평생교육정책의 목표
3. 평생교육 정책의 내용
Ⅳ. 추진과정
1. 우리 나라 평생교육 정책의 연도별 과정
2. 우리나라 평생교육 현황 및 정책
Ⅴ. 결과
Ⅵ. 쟁점과 과제
1. 문제점 및 과제
2. 향후 전망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급격한 사회의 변화와 생존의 전략으로서 우리가 가장 고부가가치로 창출하고 발전시켜야 할 교육개혁은 21세기를 대비하려는 우리의 공통된 지표가 아닐 수 없다. 교육은 학교교육 중심, 공급자 중심에서 평생교육 중심, 수요자 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인구 구조는 인생 50년형에서 인생 80년형으로 바뀌고 있다. 평생 직장은 사라지고 평생 고용 가능성이라는 말이 그 자리를 채우고 있다. 이와 같은 총체적 변화는 생애에 걸친 체계적인 인적 자원 개발·관리라는 평생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요구한다.
우리 나라에 평생교육론이 유입된 것은 1970년대 초의 일이지만 아직도 이념론이나 막연한 필요성만이 강조되고 있을 뿐이고, 계획적․실천적인 실적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그러면서도 평생교육이 폭넓은 관심과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은 평생교육이 미래 교육의 개혁론으로서 희망과 신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평생교육이 개혁 가능성을 지닌 정책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기대와 희망을 주고 있기 때문에 정치체제, 경제발전 수준, 사회 문화적 특성 등을 달리 하고 있는 세계 각국이 평생교육을 지지하고 그를 중심으로 한 정책화를 서두르고 있는 것이다.
급격한 사회 변화와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 적응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날로 새로워지는 지식과 기술을 익혀야 하며, 이러한 평생 교육은 적극적으로 확대되고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참고 자료
참고문헌
김남선. 평생교육개론. 형설 출판사. 2001.
김신일, 평생교육의 기초와 체제. 서울: 법문사, 53-71.1983,
남정걸, 권이종, 최운실, 평생교육행정 및 정책. 교육과학사. 2000.
송병순 ‧ 이영호. 평생교육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2000.
이양교. 평생교육정책론 - 교육선진국의 정책행정과 평생교육의 실태비교. ㈜학문사. 2002.우리나라평생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평생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평생교육센터. http://ncle.kedi.re.kr/
네이버 지식인. http://www.naver.com/
교육인적자원부. http://www.moe.go.kr/
한국평생교육사협회. http://kal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