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공교육과 사교육
- 최초 등록일
- 2006.06.07
- 최종 저작일
- 2005.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00원

판매자shar****
23회 판매
소개글
Ⅰ. 공교육과 사교육
(1) 공교육
1) 공교육의 개념
가. 일반적으로 공교육을 『국가․지방공공단체와 같은 공권력 주체가 행하는 교육활동』이라고 정의하 고, 공교육제도를 『국가 혹은 준국가적 자치조직의 통제와 관리와 지원에 의해서 국민 전체를 대 상으로 하여 운영되는 교육제도』라고 규정하고 있다.
목차
1) 공교육의 개념
2) 공교육의 특징
1) 사교육의 개념
2) 사교육의 특징
Ⅱ. 사교육의 증가로 인한 현상
Ⅲ. 사교육 증가의 원인
Ⅳ. 대 책
3. 나의 생각
본문내용
2. 우리나라 교육부의 대책
< 2004년 2월 17일 사교육 경감대책 >
사교육비 경감 대책은 대입 제도 개선, 우수 교원 확보, 방과 후 교육 활성화, 고교평준화 제도 보완, 학벌주의 없애기 등 그동안 단편적으로 나왔던 대책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수능 시험은 교육방송(EBS)의 수능 강의를 들으면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출제되고 2008학년도 부터는 대학 입시가 고교 내신 중심으로 재편성되며 수능 영향력은 최소화된다.
◆ 공교육이 사교육을 흡수 = 학교 밖에서 이뤄지는 거의 모든 종류의 과외를 학교나 TV, 인터넷으로 끌어 올리겠다는 입장이다.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 위주의 교과목에 대한 과외는 물론 예·체능 중심의 특기 적성 교육뿐 아니라 맞벌이 부부가 탁아 목적까지 겸해 학원에 자녀를 맡기는 수요까지 포함됐다. 수능 과외를 위해 ‘e-학습(e-learning)’ 체제를 구축, 교육방송(EBS)을 수능 방송으로 특화, 수능 시험과 연계한다. 다양한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학생 수준에 맞는 교수-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교에서의 수준별 보충 학습을 허용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