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화학]유지의 비누화가와 요오드가의 측정 실험
- 최초 등록일
- 2006.06.06
- 최종 저작일
- 2005.04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800원

판매자rorn****
15회 판매

소개글
식품 화학 실험 레포트 입니다.
점수 잘 받은 레포트이니 활용 잘 하시길 바랄께요.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aterials & Method
Result
Discussion
Reference
본문내용
Abstract
이번 실험은 유지의 비누화가와 요오드가의 측정 실험 이었다. 대두유와 팜유의 비누화가를 실험을 통해 측정, 이것으로 유지의 평균분자량을 고찰해 낼 수 있었다. 또한 대두유와 팜유의 요오드가를 실험을 통해 측정, 이것으로 유지의 불포화도를 고찰 하였다. 비누화가 실험은 먼저 시료 대두유에 0.5N-KOH를 가하고 환류냉각기에 연결하여 가열시켰다. 냉각 시킨 후에 p.p 2~3방울 넣고 0.5N-HCl로 적정하여 소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우리조의 대두 비누화가는 199.4790이 나왔다. 이 실험 결과는 정상 값보다 더 나와서 오차가 발생하였다. 옆 조의 팜유의 비누화가는 194.594가 나왔다.팜유의 비누화가가 대두유보다 커야하는데 옆 조와 우리 조의 결과를 비교해 볼 때 대두유의 비누화가가 더 크게 나왔다. 요오드가 측정 실험에서는 대두유를 취해서 사염화탄소를 가하여 녹이고 wijs액을 가하여 섞어주었다. 한 시간동안 암소에 넣어둔 후 10% KI 용액과 증류수를 가해주고 이것을 0.1N-Na2S2O3로 적정하였다. 엷은 황색을 보일 때 전분시약을 넣고 섞으면서 청색이 없어질 때까지 적정을 계속하였다. 소비량을 측정하여 요오드가를 계산하였더니 100.9168이 나왔다. 이 값은 정상 값보다 적게 계산되어서 오차가 발생하였다. 옆 조의 팜유의 요오드가는 40.7922가 나왔다.
Introduction
유지의 비누화가를 이용하면 평균 분자량을 알 수 있고 요오드가를 이용하면 유지의 불포화도를 알 수 있다. 비누화가와 요오드가를 측정하는 이번 실험을 통하여 우리는 유지의 평균 분자량과 불포화도를 고찰 할 수 있는 것이다. 비누화가(saponification value)는 유지 1g을 완전히 비누화하는데 요하는 KOH의 mg 수로 유지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분자량에 반비례하여 나타난다. 유지에 KOH를 가하여 끓이면 glyceride는 분해되어 glycerin과 지방산의 K 염이 생성되고 유리지방산은 중화가 된다. 이 때 glyceride의 비누화와 유리지방산의 중화에 소비된 KOH의 양을 표시한 것이 비누화가 이다.
참고 자료
식품분석법 - 이영균, 남상해 외 2인 - 형설출판사 - 1998년
식품화학 - 안명수 -신광출판사 - 200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