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고전문학]원왕생가

원왕생가의 배경설화부터 원문 해석, 논란의 여러가지 가설들과 원왕생가를 다른작품과 비교,분석한 것 까지를 전부 다룬 레포트 입니다. (원왕생가의 모든 것이 들어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예요~) A+레포트입니다.
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6.03 최종저작일 2005.10
6P 미리보기
[고전문학]원왕생가
  • 미리보기

    소개

    원왕생가의 배경설화부터 원문 해석, 논란의 여러가지 가설들과 원왕생가를 다른작품과 비교,분석한 것 까지를 전부 다룬 레포트 입니다.
    (원왕생가의 모든 것이 들어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예요~)
    A+레포트입니다.

    목차

    1.원왕생가의 배경설화(원문, 현대어 풀이)
    2.원왕생가의 원문과 해석
    3.요점정리
    4.원왕생가의 인물(광덕, 엄장, 광덕의 처)
    5. 원왕생가에서의 달과 어조의 의미
    6. 원왕생가의 작자문제
    7. 다른 작품과의 비교(남백월이성)
    참고자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1.원왕생가의 배경설화
    <원문>
    <文武王>代, 有沙門名<廣德> <嚴莊>二人友善. 日夕約曰: [先歸安養者, 須告之.] <德>隱居<芬皇>西里(或云, <皇龍寺>有<西去房>, 未知孰是), 蒲鞋爲業, 挾妻子而居; <莊>庵栖<南岳>, 大種力耕. 一日, 日影拖紅, 松陰靜暮, 窓外有聲, 報云: [某已四往矣, 惟君好住, 速從我來.] <莊>排而出顧之, 雲外有天樂聲, 光明屬地. 明日歸訪其居, <德>果亡矣. 於是, 乃與其婦收骸, 同營蒿里. 旣事, 乃謂婦曰: [夫子逝矣, 偕處何如?] 婦曰: [可.] 遂留, 夜將宿欲通焉, 婦之曰: [師求淨土, 可謂求魚緣木.] <莊>驚怪問曰: [<德>旣乃爾, 予又何妨?] 婦曰: [夫子與我, 同居十餘載未嘗一夕同床而枕, 況觸汚乎. 但每夜端身正坐, 一聲念阿彌佛號, 或作十六觀, 觀旣熟, 明月入戶, 時昇其光, 加趺於上. 竭誠若此, 雖欲勿西奚往? 夫適千里者, 一步可規. 今師之觀可云東矣, 西則未可知也.] <莊>愧而退, 便詣<元曉法師>處, 懇求津要, <曉>作《觀法》誘之, <藏>於是潔己悔責, 一意修觀, 亦得西昇.

    6. 원왕생가의 작자문제

    1) 광덕의 처
    ①양주동: ‘德’자가 대덕. 고덕. 상덕. 명덕 등의 뜻이 있으니 “盖十九應身之一德 ”으로 구독하여도 아무런 무리가 없으며, 또 원왕생가의 노래 뜻을 보아도 여성의 애끊는 기원의 소리를 방불케 하니 ‘德’은 광덕을 가리킨다고 꼭 단정할 수 없다.

    ②김종우: ‘德‘자는 ’功德‘, ’盖‘자는 개연성을 가진 말, ’嘗‘자는 ’乃‘와 관련이 있는 말이니, “盖十九應身之一德 ”은 “아마 (그 婦는) 十九應身의 한 功德身일 것이리라.”로 읽어야 마땅하다.

    2) 광덕설
    김동욱: 삼국유사 본문에서 ‘德(廣德)’이라 나오는 4회 壯(嚴壯)이 5회나 되고, ‘婦’가 주격으로 나오지 아니함은 본문에 ‘其婦’라고 지시격을 쓰고 있음으로서도 소연(昭然)하며, 또 광덕처가 관음의 십구화신의 하나로 한다면 일부러 정토왕생을 노래로 희구할 필요도 없을 것이므로 “德嘗有哥云”으로 구독해야 한다.
    3)
    ......................................................

    참고자료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2004제3판
    · 한국고전시가작품론1,집문당,2002
    · 장덕수,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1995
    · 김승찬, 신라향가론, 부산대학교 출판부,1999
    ·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2000
    · 양희철, 삼국유사 향가연구, 태학사, 1997
    · 최철, 향가의 문학적 연구, 새문사, 1998
    · 최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1990
    · 최철, 향가의 연구, 정음사, 1984
    · 최철, 향가의 본질과 시적 상상력, 새문사,1983, p.253
    · 최철, 향가의 문학적 이해, 연세대학교 출판부,
    · 홍기문, 향가해석, 대제각, 1991
    · 장덕순, 한국 문학사의 쟁점, 집문당,1993
    · 양주동, 국학연구론고, 을유문화사,1962
    · 김종우, 국학연구론고, 을유문화사,1962
    ·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 김사엽, 향가의 문학적 연구, 계명대출판부, 1979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