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개론, 교육의 역사와 철학]한국의 교육사
- 최초 등록일
- 2006.05.31
- 최종 저작일
- 2006.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한국의 교육사를 시대별로 정리하고 교육적 시사점들을 정리하였다.
목차
Ⅰ. 조선시대의 교육
Ⅱ. 개화기의 교육
Ⅲ. 해방 후의 교육
후기 및 교수님께 올리는 글.
본문내용
Ⅰ. 조선시대의 교육
1. 관학 : 교육기관과 학제의 기본 틀은 고려의 것을 계승했으나 더욱 발전 ․ 장려했다.
1) 성균관 : 조선 최고의 국립 교육기관
(1) 명 칭
국자감의 명칭 개칭 ․ 국학 ․ 태학 ․ 국자감 ․ 반궁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2) 설 립
태조 7년(1398) 성균관대학교자리에 건립. ( 2차례의 화재와 재건 )
(3) 시 설
문묘 : 대성전과 동서 양무로 구성.
공자와 72현을 비롯한
선현들의 위패를 모시는 곳
명륜당 : 대강의실. 동서 양쪽에 유생이 거처 하는 재가 있고, 존경각, 계성사, 비천당, 육일각등이 있다.
(4) 직 제
태조 7년에 개정. 지사1인, 동지사 2인, 대사성 1인, 사성 2인, 사예 3인, 직강 4인, 전적 13인, 박사 3인, 학정 3인, 학록3인, 학유 3인 등으로 구성.
(5) 입학 자격
생원 ․ 진사 원칙. 13세 이상의 4부 학당의 학생으로 우수한자 중에서 선발.
(6) 학생 정원
200명. 그러나 실제로는 100명이 못되던 때도 있었다.
(7) 수업 연한
4년 반이 원칙. 그러나 실제로 8년 이상 걸리는 것이 보통.
(8) 교육 과정
4서와 5정 및 제사의 강독과 제술 및 서법을 익히되 노장, 불서, 백가, 잡류 금지.
(9) 학칙과 생활
경국대전, 원점절목, 권학사목, 학교사목
- 교육과정, 성적 평가 방법,
일상생활에 관한 상세한 규정 포함
자치활동에 대한 자유 → 스스로 대표선 출, 국가 정책에 유소를 올려 의사표시 ( 유생들의 의견 존중, 유생들의 사기 진작 및 학자 존중의 기풍 )
(10) 장학 재원
양현고 : 태조 때부터 성균관의 재원 관리 (2,000결의 토지 300여명의 노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