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김수영의 작가의식과 대표작품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6.04.06
- 최종 저작일
- 2006.03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testa****
32회 판매

소개글
국어교육과 문학 스터디 자료입니다. 시인 분석과 대표작품 풀, 사령, 폭포, 눈을 분석했습니다. 신뢰도 있는 자료를 기반으로 만들었느니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
목차
1. 김수영의 작가의식 분석
(1) 생애
(2) 김수영 문학의 특징
작가의 작품 경향과 시기 구분
2. 김수영의 대표작품 분석
(1) 눈
(2) 사령
(3) 폭포
(4) 풀
본문내용
⑤ 작품의 이해
1) `풀`과 `바람`의 대립구조
풀은 만물 가운데 가장 흔하고 한없이 연약한 존재이다. 그렇지만 일부러 키우지 않아도
억세게 자라는 끈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예로부터 민중들을 이 풀에 비유하여
왔다. 결국, 풀은 `민중`을 의미한다.
바람은 이 작품에서 풀의 생명력을 억누르는 존재이다. 그래서 바람은 민중을 억압하고
괴롭히는 올바르지 못한 세력의 상징이다. 풀과 바람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 시는 결국 아주 일상적인 자연물인 풀과 바람이라는 소재를 통해서 `민중의
끈질긴 생명력`을 노래한 것이다.
2) 조지훈 <풀입단장>과의 비교
- <풀입단장>의 풀 : `한 줄기 바람에 조찰히 씻기우는 풀잎`(3행)에서 알 수 있듯이 연약한 존재
- <풀>의 `풀` : 강인한 모습
3) 반복적 대립구조
이 시에는 `눕다 일어나다`, `울다 웃다` 이렇게 네 개의 동사가 반복적인 대립구조를
이루고 있다. 시의 구성을 살펴보면 풀과 바람의 대립이 `눕는다`와 `일어난다`는 운동의 반복
속에서 하나로 합일되는 체험을 노래하고 있음을 알게 한다.
⑥ 문학사적 의의
김수영은 신동엽과 더불어 1960년대의 한국시에 있어 쌍두마차로 평가된다. 투철한 역사
인식과 건강한 민중성에 기초를 둔 신동엽에 비해, 그는 모더니즘 속에서 자라난 모더니즘의
비판자로서 4.19를 계기로 강한 현실 의식에 바탕을 둔 참여시에 가담하였다. 그러한 맥락
위에 놓인 작품이 바로 `풀`이다. 이 작품에서 보인 민중에 대한 인식은 이후 이성부,
이시영, 조태일, 정희성, 문병란, 신경림 등으로 이어지는 1970년대 민중 문학의 기틀을
이룬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