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장애인]정신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인식 : 무엇을 알릴 것인가?

정신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인식 : 무엇을 알릴 것인가?
2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2.07 최종저작일 2004.03
23P 미리보기
[장애인]정신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인식 : 무엇을 알릴 것인가?
  • 미리보기

    소개

    정신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인식 : 무엇을 알릴 것인가?

    목차

    1. 정신장애에 대해 지역사회가 잘못 알고 있는 것들
    2. 정신장애에 대해 지역사회가 모르고 있는 것들
    3. 정신장애에 대한 사실들을 지역사회에 어떻게 알릴 것인가?
    4. 결 론

    본문내용

    역사적으로 정신질환 혹은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처우나 태도는 극적인 변화를 겪어왔다. 특히 중세시대에 정신질환을 가진 자에게 내려진 가혹한 처벌인 마녀사냥 사건은 정신질환이 하나의 질병이 아니라 하나님과 마귀와의 문제로 여겨졌던 시절의 이야기이다. 근대에 들어와서 Pinel의 이야기는 현대의 인도주의적 개념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 18세기 말 프랑스 대혁명이 있던 시절, 파리에 있는 한 정신병자 수용소의 소장으로 배속된 Pinel은 정신병환자들이 햇볕도 들지 않는 열악한 곳에서 쇠사슬에 묶여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는 것을 보고 혁명위원회에 허가를 얻어 그들의 쇠사슬을 풀고 햇볕이 들어오는 곳에서 운동하게 하고 대화를 함으로서 큰 효과를 보았다. 그때의 일화로서, 혁명위원회에서 조사차 온 담당관이 그들의 모습을 보고 그에게 “당신 미쳤소. 이 짐승 같은 사람들을 풀어주다니”라고 했으며 그 말에 대해 Pinel은 조용히 그를 돌아보며 답하기를 “나는 이 사람들이 이렇게 된 것은 그들이 맑은 공기와 자유를 빼앗겼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거의 백년 후 탈병원화운동(dehospitalization movement)이 전개되면서 정신병원을 폐쇄하고 환자들을 사회 속으로 들어가게 하였으며, 오늘날의 지역사회정신보건 접근법(community mental health approach)이 등장하였던 것이다.
    한편 이러한 흐름 속에서 그동안 정신질환에 대한 많은 과학적 발견들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밝혀진 과학적 사실들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종교적 체벌관과 무속신앙적 속설들이 혼합되어 난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조상신이나 귀신들림에 대한 믿음은 끈질기게 남아있고 이것은 곧 정신장애인의 증상으로 드러난다.
    우리나라는 1995년 정신보건법을 제정한 것을 계기로 정신장애인에 대한 처우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우선 정신보건 정책이 세계적 흐름에 따라 전체적으로 지역사회 정신보건모형(community mental health model)을 채택하여 지역사회 중심의 주민 정신건강 예방과 치료, 그리고 재활을 필요사업으로 규정하였다. 이 중 재활사업의 경우는 특히 만성정신질환자에 중점적인 것으로 정신사회재활(psychosocial rehabilitation) - 정신재활(psychiatric rehabilitation)이라고도 함 - 이라고 하는 새로운 모델을 보급하고 있다.

    참고자료

    · 김성완, 윤진상, 이무석, 이형영(2000). “최근 일간지에 보도된 정신병에 대한 기 사 분석”, 제39권 5호, 신경정신의학.
    · 보건복지부(1998). 정신보건법관련법령.
    · 보건복지부(1999). 정신장애에 대한 10가지 편견바꾸기, 홍보자료.
    · 서동우(1999). “정신질환자의 사회적 편견의 실태와 대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손명자, 배정규(2003). 정신분열병과 가족, 대구 : 새미래정신재활연구소.
    · 양옥경(1998). “정신장애에 대한 사회편견 연구”, 제35호, 한국사회복지학.
    · 이종한(2001).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대처방안”, 한국정신사회재활협회 춘계 학술대회.
    ·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 4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1995). 서울 : 하나의학사.
    · 최이순(1996). “정신질환자의 사회적 낙인에 대한 환자 가족들의 태도”, 제15권 1 호, 한국임상심리학회지 : 임상.
    · Anthony, W. A.(1993).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The guiding vision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in the 1990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16(4). 11-23.
    · Anthony, W. A., Cohen, M. R., & Farkas, M. D. (1990). Psychiatric Rehabilitation. Boston University, Center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 Anthony, W. A., Cohen, M. R., Farkas, M. D., & Gagne, C.(2002). Psychiatric Rehabilitation(2nd). Boston University, Center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 Borinstein, A. B.(1992). Data watch: Public attitudes toward person with mental illness. Health Affairs, 11(4), 186-196.
    · Deegan, P. E.(1988). "Recovery: The lived experience of rehabilitatio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11(4), 11-19.
    · Fraser, M. E.(1994). "Educating the public about mental illness: What will it take to get the job done?", Innovation and Research, 3(3), 29-31.
    · Harding, C. M. & Zahniser, J. H. (1994). Empirical correction of seven myths about schizophrenia with implication for treatment. Acta Psychiatr Scand., 90(suppl. 384). 140-146.
    · Hatfield, A. B., & Lefley, H. P.(1993). Surviving mental illness: Stress, Coping, and Adaptatio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WHO(2001).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y, and Health
    · Kramer, & Gagne(1997).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psychiatric disability, Boston University, Center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 Ojaneen(1992). "Attitudes towards mental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vol. 38, no. 2.
    · Parker, Prendergast, Wasylenki, Toner, & Ali(1994). "Psychiatric-Residents Attitudes Toward Patients with Chronic Mental-Illness",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vol. 45, no.11.
    · Pledger, O.(2003). "Discourse 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issues", American Psychologist, vol. 58, no. 4, 279-312.
    · Strauss, J. S.(1989). "Mediating processes in schizophrenia".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155, 22-28.
    · Strauss, J. S., Hafez, H., Liberman, P., & Harding, C. M.(1985). "The course of psychiatric disorder: Longitudinal principle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iy, 142(3), 289-296.
    · Sullivan, W. P.(1994). "A Long and Winding Road: The Process of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 Innovation & Research, 3(3), 19-27.
    · Wolff, Pathare, Craig, & Leff(1996). "Community Attitudes to Mental Illnes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68, no. 2.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