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무술변법 강유위(康有爲)
- 최초 등록일
- 2005.11.17
- 최종 저작일
- 2005.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중국의 강유위가 실행했던 무술변법에 대한 조사내용입니다.
무술변법의 실행 배경과 실패한 원인 등을 서술했습니다.
참고자료또한 다 적혀있어서 자료를 더 조사하셔서 쓰실 수 있습니다.
강유위의 무술변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들께 추천합니다.
목차
1.청의 시대적 상황
2.강유위의 변법이념이 담긴 7번의 상소
3.무술변법
4.무술정변
5.무술변법의 실패 요인
6.무술변법의 영향과 의의
7.강유위의 정치외의 활동
8.강유위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청말(淸末)의 정치적 상황은 열강의 침략과 국내적 위기로 특징지을 수 있는 그야말로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시대였다. 1839년 아편전쟁(阿片戰爭)을 시작으로 열강(列强)의 중국침략은 지속되었고, 국내적으로는 1851년 태평천국운동(太平天國運動)을 시작으로 하여 1912년 중화민국(中華民國)의 탄생에 이르기까지 급격한 정치변동들로 일관되었다.
1939년 아편이 만연하여 대량의 은이 유출되자 청조는 아편무역을 엄금하는 아편엄금책(阿扁嚴禁策)으로 강경하게 대응했다. 그러자 영국은 자국 상인의 정당한 상업 활동을 부당하게 탄압한다는 이유로 출병하여 제1차 아편전쟁을 일으켰다. 이 전쟁은 1842년 남경조약(南京條約)을 체결함으로써 마무리 지었다. 그리고 조약 체결의 결과 홍콩을 할양 해주게 되었다. 그리고 청은 조금씩 자본주의로 편입되기 시작했고, 중화사상(中華思想)이 동요되었다. 하지만 봉건적 요소가 조금이나마 사회 전반에 남아있어 봉건적 사회는 유지될 수 있었다. 제1차 아편전쟁이 있은 후에도 양국의 견해는 일치되지 않았다.
1851년부터 1864년까지 14년에 걸쳐 태평천국운동이 일어났다. 청은 지정은제도로 세를 은으로 내야 했다. 하지만 아편전쟁 후에도 아편의 유입이 늘어나면서 은의 가치가 높아지자 세의 부담으로 인해 파산하는 농민들이 생겨났다. 게다가 자연재해, 토지와 인구의 불균형, 아편전쟁의 배상금 부담과 착취 등으로 경제적 부담이 커지면서 반란(反亂)이 일어난 것이다.
이렇게 국내 정세가 혼란한 가운데 국외 정세 또한 매우 혼란하였다. 에로호 사건의 해결을 위해 영국과 협상하던 중 프랑스 선교사 살해사건이 일어나 이 또한 수습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결국 청은 영국과 프랑스를 대상으로 천진조약(天津條約)을 맺음으로 마무리 지었다. 천진조약으로 외국 공사(公使)가 북경에 주제하게 되었고, 외국 상인들과 선교자들은 자유로운 활동을 공인 받았다. 이렇게 되자 외교 사무를 담당할 관청이 필요하여 총리아문(總理衙門)을 설치하였다. 천진조약과 북경(北京)조약으로 청은 열강에 개방되었고, 세제상의 특권을 줌으로써 중국은 점차 반식민지(半植民地)로 전락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 강유위(康有爲)의 정치이념(政治理念) 』최성철, 일지사
『 열정으로 산 사람들 』홍광훈, 서울여자대학교 출판부
『 중국사 』신승하, 대한교과서
『 인물 중국사 』강용규, 학민사
『 중국 현대 정치사론 』장옥법 지음, 신승하 옮김, 고려원
『 중국현대정치이념사(中國現代政治理念史) 』탄 ․ 체스타, 지식산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