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0여년간 수도권 집중이 누적되어 왔고, 그로 인한 문제점이 나타나면서 수도권 인구분산 및 기능배분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폭넓게 제기 되었다. 정부에서는 그간 수도권 집중을 막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수도권 집중억제정책은 서울, 인천,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인구의 유입 및 각종 시설의 입지를 억제하는 수단으로 「수도권정비계획법」과 「공업배치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을 근간으로 하여 크게 4가지 정책수단이 동원되었다.
첫 번째 정책수단은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인구유발시설의 수도권 입지규제 등 물리적 규제수단이며, 두 번째 정책수단은 공공기관 및 대학의 지방이전, 행정수도건설계획 등 수도권 기능의 지방분산정책이다. 행정수도이전은 71년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가 최초로 제안했으며, 70년대 말에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에 의한 「행정수도건설을 위한 백지계획」이 수립되어 확정단계까지 이르렀으나, 대통령의 서거로 실현되지 못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세 번째 정책수단은 수도권에 기업 및 제조업체가 입지할 경우 과밀부담금을 부과하고, 지방으로 이전하는 업체에게는 조세감면의 혜택을 부여하는 경제적 제재방식이며, 네 번째 정책수단은 수도권내 권역을 구분하여 지역별 규제를 차등화하는 수도권 도시기능의 재편정책이다.
· 강병주, 2003,“신행정수도 건설과 대전시 주택시장의 변화”, 주택학회 심포지움 자 료집.
· 강현수 외, 2003, “신행정수도 건설의 쟁점과 과제”, 도시정보 NO.258,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 강현수, 2003, “충청권 행정수도 입지타당성과 기대효과”, 충청권 신행정수도 건설 과 추진과제에 관한 워크샵 발표논문집, 충북개발연구원
· 고영구, 2003, “신행정수도 건설의 추진전략과 과제”,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3, 국가균형발전의 비전과 과제. 국가균형발전위원회.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3, 국가균형발전특별법(안), 국가균형발전위원회.
· 권영우, 2003, “수도권 문제와 신행정수도 건설의 방안”, 신행정수도 건설과 지역균 형발전에 관한 심포지엄 발표논문, 대한지리학회.
· 권용우, 2003, “신행정수도 건설의 필요성과 효과”, 신행정수도 이전의 필요성과 과 제에 관한 세미나, 서울경제 신문사.
· 김혜천, 2003, 신행정수도 충청권이전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신행정 수도건설, 충청 권 전문가는 어떻게 보는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전충청지회회원토론 집.
· 박상우 외, 1992, 행정중추 관리기능 분산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 박양호, 김창현, 2003,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중추기능의 공간적 재편방안, 국토연구 원 연구보조서, 국토연구원.
· 송두범, 2003, 신행정수도 건설과 충청권 대응전략.
· 신행정수도건설추진기획단, 2003, 신행정수도의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안), 신행정 수도건설추진기획단.
· 신행정수도건설추진기획단, 신행정수도건설추진 지원단, 2003, 외국의 신행정수도 이전사례.
· 신행정수도연구단, 203, 신행정수도 이전대상 기관설정, 공개세미나
· 오덕성, 2003, “신행정수도 건설관련 충청권 역할,” 신행정수도 건설정책공개토론회 발표논문집,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정창무, 2003, “지방분권시대에 따른 수도권정책의 평가 및 향후방안”, 국토, 국토연 구원.
· 주성재, 2003, “국내외 행정수도 및 공공기관 이전사례와 시사점”, 신행정수도 건설 의 쟁점과 과제 공동심포지엄, 대한지리학회․한국지역학회․충북개발연구 원.
· 최막중, 2003, “신행정수도 건설과 지역균형발전 논의의 4가지 유의점”, 신행정수도 건설과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심포지엄.
· 충북개발연구원, 2003, 신행정수도 건설방안과 기대효과, 충북개발연구원, 한국동서 경제학회.
· 충청권발전협의외, 2003, 새로운 대한민국의 신행정수도 건설.
· 충청권발전협의회, 2003, 신행정수도 왜 충청권에 건설해야 하는가?
· 충청권행정협의회, 2003,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해법: 충청권 신행정수도 건설.
· 한무호, 한표환 외, 2003,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효율적인 정책추진 방안, 충남발전연 구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