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서비스업의 현황과 대응과제
- 최초 등록일
- 2005.09.26
- 최종 저작일
- 2005.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hee**
25회 판매

소개글
국내 서비스업이 어떠한 상황에 놓여져 있으며
그 문제점을 짚어보고 5가지의 대응과제에 대한 보고서 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그렇다면, 먼저 국내 서비스업은 현재 어떤 위치에 와있으며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서비스업의 취업 비중은 거의 선진국에 육박하고 있다. 서비스업의 취업비중을 나라별로 비교하면 한국(63.3%, 2002년 기준)은 영국(80.0%), 미국(78.8%)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이탈리아(66.1%)와 일본(64.7%)에는 근접해있다.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중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77년 이래 계속 확대되어 2002년에는 63.3%, 2003년 상반기에는 63.6%를 기록하는 등 서비스업의 고용비중이 70년대 말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의 취업자 비중(43.8%)이 프랑스(23.3%), 일본(28.1%), 미국(31.2%) 등에 비해 매우 높다. 1990년대 이후 제조업의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많은 인력들이 부가가치가 낮은 도소매·음식·숙박 등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서비스업의 고용 비중은 높아진 반면 서비스업 전체의 부가가치는 크게 향상되지 못했다.
참고 자료
대한상공회의소 ‘서비스업 성장 적신호와 대응과제’ 보고서 (2005.8)
대한상공회의소 ‘국내 서비스산업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 (2003.11)
대한상공회의소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병행발전’ 보고서 (2001.12.20)
조선일보 박순욱기자 ‘고용창출 효과 큰 유망서비스업’(2005.2.15)
연합뉴스 엄남석기자 ‘商議, 서비스업 고부가가치화 시급’ (2005.2)
박광태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 ‘정보화-지식경영 활용 생산성 높여야’ (2004.4)
국정브리핑 ‘서비스업 활성화, 고부가화 절실’ (2004.7)
산업연구원 김휘석 ‘서비스업 발전을 위한 통합정책 체계의 모색’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