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혜정 지음,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2>>--각자 선 자리에서■■, (도서출판 또하나의 문화, 1994),
· 김남두, 「서양 학문의 형성과 학문 분류의 기본 원칙」, ■■현대의 학문 체계■■(소광희 외저, 민음사, 1994)
· 이혜영, 「국가독점자본주의론의 교육이론과 식민지반봉건사회론의 교육이론」, ■■사회와 사상■■1990년 전권특별기획2(■■90년대 한국사회의 쟁점■■),
· 마샬 버만 저, 윤호병․이민식 옮김, ■■현대성의 경험■■, (현대미학사, 1994), pp.12-40
· 한신경제연구소, ■■근세사의 물결--근세사․사상가․명저--■■, (도서출판 한신경제연구소, 1991), pp.30-32.
· 금장태, ■■동서교섭과 근대한국사상■■, (성균관대학출판부, 1984), pp.36-40.
· 서영채, 「위기의 담론:인문주의와 근대성」, ■■세계의 문학■■1994년 여름호, pp.48-50
· 신용하 엮음, ■■아시아적 생산양식론■■, (까치, 1986), p.28.
· 소림양창 지음, 황수철 옮김, ■■서양경제사의 논쟁과 성과■■, (동녘, 1987), pp.12-13.
· 임지현, 「마르크스의 동양사회관」, ■■한국사시민강좌■■6, (일조각, 1990)
· Said, Edward W, 박홍규 역,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1991), p.24.
· 터너, 「서양의 동양사회론과 베버」, ■■막스 베버와 동양사회■■(유석춘 편, 나남, 1992), pp.76-77.
· 테다 스카치폴 엮음, 박영신․이준식․박희 옮김, ■■역사 사회학의 방법과 전망■■, (대영사, 1986), p.11.
· 윤달 주편, ■■중국사학발전사■■, (중주고적출판사, 1985), p.380.
· 송영배, 「서양사상의 충격과 중국현대철학의 생성과 발전의 문제--무술변법시기로부터 1949년까지의 문헌사적 연구를 중심으로--」, ■■동아문화■■28, 1990, p.19.
· 빈하무지, ■■근대중국の국제적계기■■,(동경대학출판회, 1992), pp.228-229.
· 김용운․김용국, ■■동양의 과학과 사상■■, (일지사, 1984), pp.216-234.
· 이성규, 「동양의 학문 체계와 그 이념」, ■■현대의 학문 체계■■, (소광희 외저, 민음사, 1994), p.28.
· 피터 두우스 저, 김용덕 역, ■■일본근대사■■, (지식산업사, 1983
· 한기언, ■■동양사상과 교육--동양교육철학의 탐구--■■, (법문사,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