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특수교육, 장애복지,아동복지] 수화 말 농교육

"[특수교육, 장애복지,아동복지] 수화 말 농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8.30 최종저작일 2002.09
20P 미리보기
[특수교육, 장애복지,아동복지] 수화 말 농교육
  • 미리보기

    목차

    1. 머리말

    2. 상담 사례
    ⑴ 취학한 바 없는 고령 농아인
    ⑵ 장애의 발견이 늦어진 농아동
    ⑶ 통합(integration)된 초등학생
    ⑷ 농학교 보건실에서

    3. 아동의 발달을 통해 본 말 교육
    ⑴ 말이란 가르칠 수 있는가?
    ⑵ 말을 기르는 환경이란
    ⑶ 대화의 소중함

    4. 읽고 쓰는 능력(literacy)을 어떻게 붙잡을 것인가
    ⑴ 수화 획득 과정
    ⑵ 그림책을 읽어주기 위한 궁리
    ⑶ 1차적인 말과 2차적인 말
    ⑷ 1차적인 이야기 말에서 2차적인 이야기 말로
    ⑸ 농교육 속에서의 1차적인 말과 2차적인 말
    ⑹ 2차적인 말과 사춘기의 문제

    5. 스웨덴에서 생각한 것
    ⑴ 스웨덴의 농학교에서
    ⑵ 대화를 중요시하는 수업
    ⑶ 교과 학습
    ⑷ 지역 원조를 얻어 하는 학교 만들기

    뒤에 적는 글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리고에(鳥越)라고 합니다. 효고(兵庫)교육대학 장애아 교육 강좌에 속하여 주로 장애아의 커뮤니케이션과 언어발달에 관해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 장애아 교육상담과 지도에도 관계하고 있다. 수화와의 관계를 말씀드리면, 고등학생 시절에 수화를 배우기 시작하여 대학에서는 수화 동아리에서 활동하였다. 대학원 때에는 수화 습득을 연구 주제로 농유아가 있는 농아인 가정에 폐를 끼치면서 아이들이 어떻게 수화를 배워가고 있는지에 관해 계속 조사하였고, 지금도 계속하고 있다. 농학교와의 관계를 말씀드리면, 일찍부터 수화를 도입하고 있는 어느 농학교 유치부에 가끔 나가고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놀기도 하면서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조사하고 있다. 집단 속에서 아디들이 어떤 방법으로 대화하는 힘을 길러나가고 있는지, 또 수화뿐만 아니라 구화나 큐드 스피치를 쓰고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아이들은 그것을 어떤 방법으로 구분하여 쓰고 있는 지에 관해 조사하려고 다니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다른 농학교에서 학교 상담(school counseling)과 같은 일을 시작하고 있다. 농학교 보건실에서 특히 중고등부 학생이나 보호자, 교사들의 상담을 받고 있다. 일반학교에서도 등교 거부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고 있다만, 농학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보건실에 있으면 마음에 괴로움이 있으나 스스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학생들이 자주 찾아온다. 보건실의 교사와 함께 그러한 학생들을 도우려는 시도를 시작했다. 그러는 동안 최근에 깨달은 것이 있습니다. 카운셀링이란 상대와의 대화, 즉 말로 공받기를 하면서 조금씩 마음속으로 파고들어 함께 문제를 찾아내어 깊게 해나가는 작업이라고 하는 것을 말이다. 청각장애를 지니는 아동들과 카운셀링을 진전시킬 때 나 자신 매우 위화감을 느낄 때가 있다. 그것은 대화하는 동안 아무리해도 말이 깊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다. 문제를 안고있는 학생들의 대부분은 통합(integration)되었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물론 일반 초중등 학교에서 지내고 왔으므로 구화는 어느 정도 된다. 수화가 아니라 구화만으로 카운셀링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만큼 여러 가지 말을 지니고 있으나 말로 공받기를 하면서 아무리해도 대화는 깊어지지 않다. 그 까닭을 생각해보니 그것은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것이었다. 오늘은 수화를 포함한 커뮤니케이션의 소중함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한다. 농학교 현장에서는 「언어」라고 하는 말이 횡행하고 있다만 오늘은 한 번 바꾸어서 커뮤니케이션의 소중함을 찾아보고, 아동들의 성장과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이야기하려고 한다. 여기서 우선 커뮤니케이션과 언어와의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하기 위해 제가 관계했던 상담 사례에 관해 조금 말씀드리겠다. 물론 카운셀링을 통해 관계했던 것이므로 비밀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 상대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위해 상담 내용에 대해서는 일체 공언해서는 <<font color=aaaaff>..</font>

    참고자료

    · 岡本夏木(1985), ことばと發達, 岩波書店.
    · 小林春美 佐 木正人 編(1997), 子ともたちの言語獲得, 大修館書店.
    · 武居 渡 鳥越隆士 四日市章(1997), 離島に住む成人聾者が自發した身振りの形態論的分析, 特殊敎育學硏究 第35卷, 33-41.
    · 武居 渡 鳥越隆士(2000), 聾兒の手話言語獲得における非指示的ジェスチャ-の役割, 發達心理學硏究 第11卷, 12-22.
    · 鳥越隆士(1995), ろう兒はいかに手話を學ぶか, 手話學硏究モノグラフ第5卷, 日本手話學會.
    · ワ-チ(1995), 心の聲, 福村出版.
    · Christerson, G. 1991. Adams bok. SIH.
    · Schleper, D.R. 1997. Reading to Deaf children : Learning from Deaf adults. Gallaudet University.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