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학]학교운영위원회 역할과 당면 과제
- 최초 등록일
- 2005.07.25
- 최종 저작일
- 2000.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교직이수를 위해 받았던 교육행정학 발표 수업 리포트 입니다.
발표하고 질의응답하는 식으로 수업을 했었구요.
A+(96)받았던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학교운영위원회의 설립 배경과 성격
1. 설립 배경
2.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까지의 의사결정 체제의 변화
3. 학교운영위원회의 두 가지 아이디어(전제)
4.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기능
Ⅱ. 학교운영위원회의 세 가지 의미
Ⅲ.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현황
1. 교육부와 시ㆍ도 교육청의 학교운영위원회 지원 노력
Ⅳ. 학교운영위원회의 나아갈 방향
1. 학교운영위원회의 조직 및 선출방식 측면
2. 학교운영회의 운영실태의 측면
3. 학교운영위원회의 역할의 측면
Ⅴ. 결론 및 앞으로의 문제
본문내용
Ⅴ. 결론 및 앞으로의 문제
1. 선출에 있어서 학부모위원은 전체 학부모회에서 직접 선출하여 학교측의 영향력에 의한 위원선출을 배제해야 할 것이며, 교육감 및 교육위원선거인단 구성으로는 전 위원을 포함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유혹을 불식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감, 교육위원 선출 투표권을 행사할 때 교육대상자들의 특성과 욕구를 고려하여 창의적인 학교운영과 학교별 특성화를 가능케 할 자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2. 현재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실태를 보면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실질적 지도력을 발휘하는 사람은 학부모위원장이 아니고 교장이다. 그것은 자녀에 대한 영향력 우려와 심의기능에 따르는 소극성으로 인하여 학교장이 원하는 대로 따라가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법률적으로 심의 기구인 것을 의결 기구화하여 학교운영위원회가 학교운영의 대강을 결정하는 최고의 권한을 가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김수현(1997).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한 실태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강우섭 외 3인(1995).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방안 연구. 학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서. RR 95-1
교육부(1996).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의 실제. 서울:을지문화사
한국교육개발원(1997). 한국교육평론. 교육과학사. 42-69p
윤정일, 송기창, 조동섭, 김병주 공저(1999). 교육행정학 원론. 학지사. 372-38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