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단행본
·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1997
· 김종문 외,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과학사, 1998
· 김판수 외,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학지사, 2000
· 노명완 외, 『국어교육론』, 갑을 출판사, 1998
· 린다 플라워, 『쓰기의 해결전략』, 원진숙․황정연 역, 동 문선, 1998
· 박수자, 『독해와 읽기 지도』, 국학 자료원, 1994
· _____, 『읽기 지도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박영목, 『국어 이해론』, 법인 문화사, 1996
· ______ 외,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탐구』, 교학사, 1996
· 신헌재 외, 『열린교육을 위한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박이정, 1996
· ______ 외,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서광학술자료사, 1994
· 이삼형 외, 『국어교육학』, 소명출판, 2000
· 이재승, 『국어교육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1996
· 천경록 외, 『읽기 교육의 이해』, 우리교육, 1997
·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 개론』,삼지원, 2004
· ______ 외, 『구성주의 작문 교수․학습론』, 박이정, 2000
· 한철우 ․ 천경록, 『독서지도 방법』, 교학사, 1996
· 한철우 외, 『과정 중심 독서 지도』, 교학사, 2001
· ______ 외,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문학 중심 독서 지도』, 대한교과서, 2001
· 2. 논문 및 자료
· 김명순, 「구성주의와 읽기 교육의 방향」, 청람어문교육 학회 22집, 2000
· 김현정, 「읽기 교육에서의 스키마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4
· 박수자, 「읽기 전략 지도 교재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학교, 1993
· 박태호,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기르는 사회구성주의 쓰기 교육 이론」, 《청람어문학》20집, 청람어문학회, 1993
· ______, 「구성주의 작문이론의 전개동향과 교육적 시사 점」,《초등교과교육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초 등교육연구소 초등교과교육연구회, 1999
· 이경화, 「독해의 구성주의 관점과 읽기 지도」, 《한국어 문교육》7집,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연구소, 1998
· 이상구, 「학습자 중심 문학 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8
· 이주섭, 「구성주의와 읽기 교육의 방향」, 《초등교과교육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 초등교과교육연구회, 1999
· 한국독서학회, 「제7차 교육과정의 적용과 독서 교육의
· 방향」, 《한국독서학회》9집, 2001 황윤환, 「교수학습 이론으로서의 구성주의」, 《초등교과 교육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 등교과교육연구회,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