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 논문>
· 1. 김준식,「여성실업의 실태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 2. 한국노동연구원, 「금융위기 기간의 한국의 실업대책과 평가」, 2002. 8.
· 3. 강병구, 「사회안전망으로서의 공공근로사업-평가 및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경제학회 2000년도 제2차 학술대회 발표논문』, 2001.11.25.
· 4. 안주엽·홍서연, 『청년층의 첫 일자리 진입:경제위기 전후의 비교』, 한국노동연 구원.(2001)
· <참고 문헌>
· 1. 권병무, 『거시경제학』, 법문사, 1998.
· 2. 조우현, 『노동경제학:이론과 개혁정책』, 법문사, 1998.
· 3. 김형만·장창원·장원섭·홍선이·이상준, 『대졸실업자 직업교육 훈련정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연구원, 1998.
· 4. 이병희, 「청년실업과 경력형성」,『산업관계연구, 제11권 제2호』, 2001.
· 5. 강병구, 「공공근로사업의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한국노동연구원 노동시장평가센터 이슈보고서 2001-1』, 2001.3.
· 6. 금재호, 『노동시장 정보시스템의 중·장기 발전방향』, 노동부, 1999. 9.
· 7. 안주엽 外 5人,『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Ⅰ)』, 한국노동연구원, 2001.
· 8. 유길상, 「금융위기 이후의 한국의 실업대책과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0. 4.
· 9. 유완식 外 4人,『1998~2000년 실업대책』,한국노동연구원 노동시장평가센터, 2001. 10.
· 10. 정인수 外 4人, 『1999년 실업대책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실업대책모니터링센터, 2000.
· 11. 정인수, 『한국의 실업대책과 평가 1998~2000』, 2000. 5, mimeo unpublIshed.
· 12. 정인수,『비정규근로의 개념과 정책과제』, Paper Presented at Tripartite Committee Commission, 2000. 5. 2.
· 13. 정인수, 『청년층 노동시장구조 변화와 정책대응방향』, 한국노동연구원, 2001. 11.
· 14. 최영기, 『DJ 정부의 노동정책: 평가와 과제』, 2001 사회정책토론회, 2001. 10. 22.
· 15. 국무총리실, 노동부, 『99년 종합실업대책 세부사업계획』, 1999. 2.
· 16. 국무총리실, 노동부, 『2000년 종합실업대책 세부사업계획』, 2000. 2.
· 17. 노동부, 『‘98년 실업대책 종합안내』, 1998. 9.
· 18. 재정경제부 외, 『실업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대책』, 1998. 3. 26.
· 19. 재정경제부 외,『2000년 종합실업대책』, 2000. 1. 11.
· 20. 재정경제부 외,『‘99년 종합실업대책(안)』, 1999. 1. 18.
· 21. 재정경제부 외,『일자리 창출과 실직자 보호를 위한 실업대책 강화방안』, 1999.3.
· 22. 재정경제부 외,『하반기 실업대책』, 1998. 8. 11.
· 23. John P. Martin and Raymond Torres, OECD, 'Korean Labour Market and Social Satety-net Refoms: cahllenges and Policy Requirements', Paper presented World Bank and Korean Labor Institute International Conferrence, 2000. 5. 19.
· 24. 대한상의 “고용형태 다양화에 따른 기업경쟁력 강화방안 보고서”
· <인터넷 사이트>
· 1. http://www.pressian.com/
· 2. http://www.nso.g<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