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經世遺表
· 星湖僿說
· 燕巖集
· 毉山問答
· 正祖實錄
· 강경원, 이익 인간소외 극복의 실학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1.
· 김태준, 홍대용, 한길사, 1998.
· 邊太燮, 『韓國史通論』, 삼영사, 1989.
· 윤사순,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삼인, 1998.
· 李基白, 『韓國史新論』, 일조각, 2003.
· 한영우, 『다시 찾는 우리역사』, 경세원, 1997.
· 함규진, 정약용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한길사, 2012.
· 제임스 B. 팔레,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1-유형원과 조선 후기』, 도서출판 산처럼, 2002.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배워라, 백성을 위해 박제가의 북학의, 삼성출판사, 2007.
· 한영우 外,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7.
· 김인규, 「北學派의 對外認識과 北學思想」, 『한국사상사학』 Vol.12, 한국사상사학회, 1999.
· 김정호, 「홍대용의산문답(毉山問答)의 정치사상적 특성과 의의」, 동양정치사상사, Vol.6,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7.
· 백승철, 「聾菴 柳壽垣의 商業觀과 商業振興論」, 『동방학지』, Vol.14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 안재순, 「반계 유형원의 실학사상」, 『사상』 Vol.32, 사회과학원, 1997.
· 유봉학, 「실학의 계보와 학풍」, 『한국사 시민강좌』 Vol.48, 일조각, 2011.
· 유호훈, 「조선 후기 실학의 전개와 개혁론」, 『동방학지』 Vol.12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4.
· 윤사순, 「실학 의미의 변이」, 실학의 철학, 한국사상사연구회, 1997.
· 윤순갑, 「조선조 후기 실학사상의 정치이념적 구조」, 『한국동북아논총』 Vol.6, 한국동북아학회, 2001.
· 이경구, 「개념사와 내재적 발전:‘실학’개념을 중심으로」, 역사학보』Vol.213, 한국사상사연구회, 2012.
· 이성무, 「楚亭 朴齊家의 北學議」, 創作과 批評, Vol.6, 창작과 비평, 1967.
· 이정철, 「정약용의 전제개혁론의 역사적 맥락」, 한국사학보, Vol.47, 고려사학회, 2012.
· 이헌창, 「楚亭의 利用厚生思想과 富國論」, 초정 박제가 연구, 사람의 무늬, 2013.
· 장승희, 「조선후기 실학의 유토피아 사상-반계 유형원을 중심으로」, 『유교사상연구』, Vol.47, 한국유교학회, 2012.
· 전영준, 「조선후기 北學派 형성의 嚆矢, 湛軒 洪大容」, 『실학사상연구』 Vol.26, 모악실학회, 2006.
· 정형지,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실학」, 한국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1996.
· 조성산, 「실학개념 논쟁과 그 귀결」, 韓國史市民講座Vol.48, 일조각,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