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학 A+)간호에 대한 판례나 이슈 등을 통해 간호사의 법적 의무 고찰
- 최초 등록일
- 2023.02.09
- 최종 저작일
- 2022.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간호관리학 A+)간호에 대한 판례나 이슈 등을 통해 간호사의 법적 의무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 3
1. 의료사고
2. 의료분쟁
3.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 3
1. 간호사의 법적의무
2. 의료사고 사례
3. 위 사례의 간호사의 책임과 의무에 대한 분석
Ⅲ. 결론 ----------------------------------------- 6
간호 전문직으로써의 성찰
Ⅳ. 참고문헌 ------------------------------------ 7
본문내용
1. 의료사고
환자의 신체(또는 정신)에 실시하는 진단, 검사 치료, 의약품의 처방 및 조제 으로 인해서 신체 및 재산에 대해서 피해가 발생한 것 이다.
2. 의료분쟁
의료사고로 인하여 환자나 보호자 측과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사이에 상호 이해와 신뢰가 상실되어 다툼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3. 연구의 필요성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의료사고 분쟁이 지난 2014년 827건에서 2021년 2169건으로 약 2.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사고 분쟁은 병원,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이처럼 의료분쟁이 증가함에 따라, 간호사와 관련된 의료분쟁의 건수도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간호학의 발달로 간호사들의 역할과 기능이 다양하게 확대됨에 따라 간호사들의 활동과 책임한계도 넓어졌다. 이에 따라 간호사들의 의료분쟁 발생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간호사의 특성 및 현재 우리의 의료상황에 비추어 보건대 간호사의 업무가 고도화・전문화 되어 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간호사의 독자적인 영역도 확고히 굳혀가고 있다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정면숙 외(2018). 간호관리학. 현문사
이영숙(2022). 간호관리학 PPT
분당 산후조리원 신생아 낙상사고 은폐의혹
https://www.kyeonggi.com/article/201910031090055
박혜정(2019). 의료사고 분쟁 4년간 2배 증가.. 증상악화 多. 아시아경제
https://view.asiae.co.kr/article/2019092514294892287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heka25&logNo=30187586102&proxyReferer=http:%2F%2Fwww.google.co.kr%2Furl%3Fsa%3Dt%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web%26cd%3D2%26ved%3D2ahUKEwjXtvH-ka7pAhVNJaYKHcD3BtQQFjABegQIAxAB%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theka25%252F30187586102%26usg%3DAOvVaw0VVn5lR12_rugHGxGFtSg5
http://easylaw.go.kr/CSP/Main.laf
ir.ymlib.yonsei.ac.kr › bitstream
[네이버 지식백과] 의료사고와 분쟁 (의료사고와 의료분쟁, 2016.06.25., 김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