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case study, 이비인후과 ENT, 갑상선암, Thyroid Cancer, 진단2개, 간호과정2개
- 최초 등록일
- 2023.01.30
- 최종 저작일
- 2022.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성인간호 case study, 이비인후과 ENT, 갑상선암, Thyroid Cancer, 진단2개, 간호과정2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질병에 대한 기술 (Description of Disease)
(1)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2) 임상증상 (Clinical Manifestation)
(3) 치료 (Treatment)
(4) 간호 (Nursing Care)
2) 간호력 (Nursing History)
(1) 일반적 사항
(2) 진단명 (Medical Diagnosis)
(3) 초기 사정자료 (Initial Data)
(4) 질병진행과정 (Process of Disease)
3) 투약 (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4) 특수치료 (Special Treatment)
5) 간호과정 (Nursing Process)
(1)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2) 갑상선 전절제술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위험성
본문내용
초음파 검사
종양의 유무와 악성과 양성 여부를 어느 정도는 예측하기 위해 실시한다.
목에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갑상선암의 가능성이 의심되는 대상자
탐촉자에 초음파 검사 젤을 발라 검사 부위에 대고 문지른다.
- 초음파 검사는 침습적이지 않으며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은 없다.
√ 대상자의 경우 초음파 검사 결과 결절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절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 FNA를 시행하였다.
세침흡입검사 (FNA)
결절에서 세포를 뽑아내어 그 결절이 양성혹인지 암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실시한다.
초음파 검사에서 갑상선암 의심 결절이 있다고 판단되는 대상자
가느다란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의심되는 갑상선 결절에서 세포를 뽑아내어 현미경을 통해 암세포의 유무를 판단한다.
- 아주 드물게 바늘이 들어간 자리에 출혈이 생길 수 있다.
- 일시적으로 목소리가 변하거나 삼킬 때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
√ 대상자의 경우 세침흡입검사 결과 유두암으로 판정받았다.
갑상선 전절제술
(Total Thyroidectomy)
갑상선 암이 퍼진 갑상선을 제거하여 암의 전이와 재발을 막기 위해 실시한다.
갑상선 양엽에 모두 암세포가 전이되었거나 또는 양쪽을 모두 제거하여 재발을 막기 위한 대상자
기관 삽관으로 전신마취 후 중앙 쇄골 상부 절개, 갑상선 적출 후 봉합한다.
- 갑상선 전절제술 후에는 일시적으로 부갑상선의 기능이 저하되어 칼슘을 투여하고 이온화 칼슘 수치를 매일 확인해야 한다.
√ 대상자의 경우 정상 수치보다 약간 낮은 수치를 유지하다가 퇴원 예정일에 급 하락하여 퇴원이 미뤄졌다.
Hemo-vac
drainage
수술 후 부종이나 통증, 감염 등을
일으키는 혈액,
혈장, 조직의 조각들을 환부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실시한다.
수술 후 상처 부위의 배액이 필요한 대상자
폐쇄배액법 (Closed drainage system)의 일종으로 수술부위에 배액관을 넣고,
200, 400, 800mL의 배액통을 연결하여 진공흡인으로 분비물을 당겨 제거한다. 수술 후 보통 3~7일 정도 사용한다.
- Hemovac을 손으로 눌러 닫아 음압으로 유지한다.
- 배액관이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 삼출물의 양, 색깔, 냄새 등을 관찰한다.
- 배액관이 당겨지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주기적으로 비운다.
-상처부위 드레싱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참고 자료
갑상선암 100문 100답, 갑상선암클리닉, 국립암센터 (2009)
대한민국 최고 의사들이 알려주는 갑상선암의 모든 것, 대한 이비인후과 학회 · 대한 갑상선 두경부외과 학회, 재승출판 (2014)
박정수 교수의 갑상선암 이야기, 박정수, 지누 (2014)
기본간호학 1, 양선희 외, 현문사 (2013)
성인간호학 2, 김금순 외, 수문사 (2016)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김조자 외, 수문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