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국어연구원, 『국어의 시대별 변천, 실태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996.
· 고영근,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10.
· 김경훤, 『음운의 변화와 표기』, 보고사, 2004.
· 김미형, 『우리말의 어제와 오늘』, 제이앤씨, 2012.
· 김성규, 「중세국어의 음운론의 쟁점」, 국어사학회, 2009.
· 김영선, 「중세국어의 모음 체계 변화와 몇 문제」,동남어문학회, 2002.
· 김완진, 「중세국어의 몇 가지 음운 현상과 모음체계」,한국언어과학회, 2003.
· 김완진, 『국어 연구의 발자취』,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김완진, 『음운과 문자』, 신구문화사, 1996.
· 김완진, 「모음체계와 모음조화에 대한 반성」,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문과. 1978.
· 김완진, 「중세국어 모음론의 현상과 과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동양학, 1979.
· 김완진, 「중세국어 음운론의 제문제」, 진단학회, 1969.
· 김완진, 『국어음운사연구』, 탑출판사, 1972.
· 김주필, 「후기 중세국어의 음운현상과 모음체계」, 『어문연구』 제 31권 1호, 어문연구학 회, 2003.
· 김 현, 「모음추이의 원인과 음운 자질」, 『관악어문연구』 제 29집 pp.169-187, 서울대 학교, 2004.
·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교학연구사, 2012.
· 박종희, 권병로, 「모음체계의 변천과 자질결합 조건」, 『국어문학』 제47집 37p ~ 61p 1229-3946, 국어문학회, 2009.
· 박창원, 『국어음운연구사』, 태학사, 2002.
· 이근규, 「중세국어의 모음체계와 모음조화」, 『어문연구』 13권, 어문연구학회, 1984.
· 이기문, 『국어 음운사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1972.
· 이기문, 김진우, 김상억 『국어음운론』, 학연사, 1984.
· 이병근, 「이숭녕, 현대국어학의 개척자」, 『한국사 시민강좌 제50집』, 일조각, 2012.
· 이진호, 「심악 이숭녕 선생의 학문 세계 : 음운론 분야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제32 권 1호, 어문연구학회, 2004.
· 전광현, 「심악 이숭녕선생님의 어휘의미에 대한 연구사」, 『어문연구』 제22권 제1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4.
· 조성문, 「최적성이론에 의한 모음조화의 변화 분석」,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제7집 제 1호, 한국음운론학회, 2001.
· 최병선, 『중세국어의 음절과 모음체계』, 박이정, 1998.
· 최전승, 『국어사와 국어방언사와의 만남』, 역락,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