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개설] 5. 전기 중세국어 - 요약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1.12.20
- 최종 저작일
- 2020.06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국어사개설] 5. 전기 중세국어 - 요약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005. 전기 중세국어
본문내용
(1) 중세 국어 시기: 10세기~16세기
1) 전기 중세 국어 시기: 10세기~14세기(고려 왕조) - 한자로 표기된 자료
2) 후기 중세 국어 시기: 14세기~16세기(조선 왕조의 전반기 200년) - 훈민정음 자료
(2) 고려 중앙어 → 조선 중앙어
(3) 훈민정음 창제의 의의
1) 전면적이고 정확한 국어 표기 가능
cf) 차자 표기: 단편적이고 부정확한 국어 표기
2) 훈민정음은 국어를 표기하는 문자 체계일 뿐, 음운, 문법, 어휘에 영향을 준 것은 아니다.
(4) 전기 중세 국어와 후기 중세 국어의 전환점으로서의 ‘14세기’
1) 음운 체계의 현저한 변화
2) 모음 체계의 현저한 변화
(5) 『조선관역어』와 『계림유사』
1) 『조선관역어』: 후기 중세 국어, 훈민정음 문헌들과 일치
2) 『계림유사』: 전기 중세 국어
1. 중세국어의 성립
(1) 새로운 중앙어의 성립
1) 10세기 초 고려 왕조 성립
2) 오늘날까지 계속
3) 10세기 개경 방언(신라어의 한 방언)을 토대로 고려 중앙어 성립
① 기층(저층): 고구려어
예) ㄱ. 고구려어: 나믈(乃勿)[鉛]
전기 중세 국어: 鉛 俗云 乃勿 (『향약구급방』)
→ 13세기 那勿
ㄴ. 고구려어: 탄(呑), 단(旦), 돈(頓) ← 마을(谷)을 가리킴.
15세기 초엽(『조선관역어』): 촌(村), 탄(呑)
② 상층: 옛 신라 중앙어
예) 15세기 정음 문헌
ㄱ. 鉛 납 (< 쇄(鏁))
ㄴ. 村 ᄆᆞᅀᆞᆯ
③ 기층이었던 고구려어는 점차 소멸하고 옛 신라 중앙어의 영향이 컸음을 보여 주며 이 영향은 전기 중세 국어뿐만 아니라 후기 중세 국어에도 미침.
[참고] 저층(substratum): 어떤 언어를 말하던 사람들이 그 언어를 버리고 새로운 언어를 말하게 되는 경우에 예전 언어의 어떤 특징을 새로운 언어를 말할 때도 버리지 못한다. 이때 이 예전 언어를 저층이라고 한다.
참고 자료
이기문 | 태학사 | 2006.08.22 | 240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