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급성심근경색 케이스 및 간호 중재 문헌고찰 포함
- 최초 등록일
- 2022.06.24
- 최종 저작일
- 2020.07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소개글
급성심근경색 케이스 분석 및 문헌고찰 포함한 자료입니다
사진 포함되어있음 목차 확인해주세요 !
목차
1. 정의
2.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중재
6. 퇴원 시 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 급성 심근경색증의 정의는 troponin-I, T 혹은 creatine kinase-MB와 같은 심근 효소의 상승과 더물어 다음과 같은 소견을 적어도 하나 이상 동반한 경우
● 허혈의 증상, 심전도에서 ST 분절의 변화나 새로 발생한 좌각 차단, T파의 변화, 병적인 Q파가 관찰될 때
● 영상적으로 생존 심근의 감소가 새롭게 발견되거나 국소벽 운동의 감소가 관찰되는 경우
<설수영 외,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흡연 유무에 따른 임상경과,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80, No. 5, 2011 P.563>
- 심전도 상 초급성기 AMI양상을 보이며, 전흉부유도에서 급성심근경색 초기에 관찰되는 T파 상승이 나타남
- Lead Ⅱ R-R간격: 심박 수 60~65회/min
- 무산소증으로 인한 심실의 재분극이 지연되기 때문에 T파는 비정상적으로 높고, 뾰족하거나 역전될 수 있다.
- 심내막 일부가 침범되면 T파가 위로, 외박 하부가 침범되면 T파는 역전
2. 원인
-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게 되면 이를 둘려 싸는 섬유성막(fibrous cap)이 생기는데 어떤 이유로든 이러한 섬유성막이 감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는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되고 이곳에 갑작스럽게 혈액이 뭉쳐서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힌다.
▶ 관상동맥이 막히는 현상을 유발시킬수 있는 위험인자
① 고령 ② 흡연 ③ 고혈압( 혈압 ≥ 140/90mmHg 이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④ 당뇨병
⑤ 가족력 : 부모형제 중 남자 55세 이하, 여자 65세 이하의 연령에서 허혈성 심질환을 앓은 경우
⑥ 그 외 비만, 운동부족 등
3. 임상증상
- 가장 전형적인 증상은 흉통이다. 대게 ‘가슴을 쥐어짠다’, ‘가슴이 쎼한 느낌이 든다’고 호소하며 주로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흉통 없이 비전형적이기는 하지만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발한, 구역, 피로감, 실신 증상만 있는 경우가 있다.
참고 자료
온영근, 간호사를 위한 ECG, 대학서원
전시자 외, 심전도(개정3판), 현문사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상권(제6판),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