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의 개념과 교육의 구조 및 맞춤형 수업
- 최초 등록일
- 2022.06.11
- 최종 저작일
- 2021.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교육학의 개념과 교육의 구조 및 맞춤형 수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교육(敎育)과 교육학(敎育學)
2. 교육 또는 교육학의 구조 및 교육과정과 수업 및 학습의 위치
3. 수업(授業)
4. 교수(敎授)
5. 학습(學習)
본문내용
1. 교육(敎育)과 교육학(敎育學)
교육에 대한 서양적 어원은 ‘education’과 ‘pedagogy’라는 용어를 통해 그 어원을 살펴볼 수 있다. ‘pedagogy’는 그리스어의 paidagogos(paidis(어린이)+agogos(이끌다))에서 유래하였는데 ‘어린이를 이끈다’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education’은 라틴어 educo에서 유래된 용어로 ‘e(밖으로)’와 ‘duco(끌어내다)’의 합성어이다. 즉, 인간의 타고난 잠재적인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안내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교육의 개념
- 기능적 정의
‘무엇을 위한 수단’ 교육의 전수 기능을 의미함. 문화전달 과정 혹은 수단으로 규정, 듀이는 이 입장에서 교육이란 생활이고 성장이며 계속적인 경험의 재구성이며 사회적 과정이라고 주장
- 규범적 정의
궁극적인 목적과 결부시켜 규정, 목적론적 정의. 인간의 성장가능성을 최대한으로 신장시키도록 돕는 일 혹은 최대한의 자기실현을 도와주는 일, 인격도야 등으로 보고 교육자는 하나의 조력자이며 주체는 학습자로 그들에게 더 많은 자율을 허용하는 입장, 인간을 교육의 산물,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의 성격형성에 있다고 봄
- 조작적 정의
인간행동의 특성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 사회적응과정을 돕는 기능을 강조함. 이 입장에서 교육이란 ‘인간행동의 계속적 변화’
- 이 세가지 정의는 인간의 성장가능성을 전제로 하여 인간의 바람직한 가치관 형성과 자아실현의 욕구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줌.
2. 교육 또는 교육학의 구조 및 교육과정과 수업 및 학습의 위치
❍ 교육사(敎育史, history of education): 지나간 역사적 현상 중에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현상을 사실에 더해서 체계 있게 연구하는 학문이다.
❍ 교육사회학: 교육이 사회구조 속에서 교육과 상호 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사회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규명하는 학문이다.
참고 자료
송상호 박인우 엄우용 이상수, 『수업설계의 원리』 아카데미프레스(2007)
이원희 조영남외 12명, 『교육과정과 수업』 교육과학사(2006)
[네이버 지식백과] 교수 [敎授, teaching/instruction] (교육심리학용어사전, 2000. 1. 10., 한국교육심리학회)
[네이버 지식백과] 학습 [學習, learning]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네이버 지식백과] 교육학 [Pedagogy-Education] (학문명백과 : 사회과학, 최천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