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2017년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일어난 실제의 사례를 바탕으로 많은 참고문헌들을 보며 가상의 사례 및 간호과정을 작성한 간호과정입니다.
간호진단: 10개, 간호과정: 1개
간호과정 [호흡수 증가 및 호흡보조근 사용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에 관하여 기재하였습니다.
목차
I. 서론
1. 대상자 사례
2. 질환과 관련된 문헌 고찰
2-1. 쇼크의 정의
2-2. 쇼크의 분류
2-3. 저혈량성 쇼크의 원인과 위험요인
2-3-1. 출혈
2-3-2. 화상
2-3-3. 탈수
2-4. 저혈량성 쇼크의 병태생리
2-5. 저혈량성 쇼크의 합병증3
2-6. 저혈량성 쇼크의 증상 및 징후
2-7. 저혈량성 쇼크의 치료적 중재
2-7-1. 혈액 소실
2-7-2. 혈장 소실
2-7-3. 정질액 소실
II. 본론
1. 대상자의 정보 및 자료수집
2. 간호진단
2-1. 도출할 수 있는 간호진단명
2-2. 간호진단 - 호흡수 증가 및 호흡보조근 사용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III. 결론 - 과제 수행하면서 느낀점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2-1. 쇼크의 정의
쇼크란 생명에 필수적인 기관에 적절한 관류가 유지되어야 하는 순환계의 부전으로 정의된다. 부적절한 조직관류로 인해 세포의 산소화가 감소한다. 조직의 산소화는 동맥관류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평균 동맥압(mean arterial pressure, MAP)과 관련이 있다.
평균 동맥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전체 순환혈액량, 심박출량, 혈관의 크기이다. 전체 순환혈액량 또는 심박출량이 감소하거나 혈관이 이완되면 평균 동맥압이 떨어지고 조직에 공급되는 혈류가 감소한다. 조직에 혈류가 충분하지 못하면 세포에 산소와 영양공급이 감소되어 조직의 기능장애, 즉 쇼크가 나타난다.
쇼크에 대한 보상기전이나 중재가 효과적이지 못하면, 쇼크가 진행되어 다기관 기능부전증후군(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MODS)을 일으키거나 사망하게 된다. 따라서 쇼크의 원인을 이해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쇼크의 분류
쇼크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로 분류한다.
① 저혈량성(hypovolemic) 쇼크: 실제적인 혈액손실로 인한 출혈, 혈장 단백질의 간질강내 이동으로 심각한 체액 변화를 초래하는 화상, 체액량 소실 유무와 관련된 체액이동이나 탈수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순환 혈액량으로 발생한다.
② 심인성(cardiogenic) 쇼크: 심장의 부적절한 펌프작용으로 발생하며, 주요 심장근육의 기능부전, 심근경색으로 인한 혈류의 기계적 폐색, 질환이나 외상, 심부정맥 등에 의한 심장판막부전 또는 심낭압전, 폐색전증과 같은 폐쇄적 상태 등을 말한다.
③ 분포성(distributive)/혈관성(vasogenic) 쇼크: 순환혈액량의 증가 없이 혈관 크기가 늘어나는 것으로, 혈관긴장도 변화로 발생하며 그 결과는 상대적 저혈량이다.(총 체액량은 같으나 재분포됨)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1, Joyce M. Black, Jane Hokanson Hawks 지음; 이영휘 외 옮김. 8판. 서울: 정담미디어; 2017.01.31. p.59-63, 76
성인간호학 상권,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황옥남, 권보은, 서순림, 안경주, 유양숙, 은영. 6판. 서울: 현문사; 2016.01.12., p.85
응급환자관리. 김옥숙, 권숙희, 김명희, 김영미, 김희경, 백훈정, 손덕옥, 신정자, 오현숙, 정경옥. 서울: 정담미디어; 2004.03.10., p.122-123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외. 서울: 고문사; 2019.02.20. p.226-331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김정애, 이경혜, 장명선, 장은정, 김대은. 서울: 수문사;
2018.03.02., p.39-158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1권 성인간호/여성간호. 김성태. 서울: 우리의학서적; 2019.03.10., p. v-xii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송미령, 류은정, 고영, 오현진, 부선주 공역. 서울: 현문사; 2017.02.23. p.103-106
news1뉴스, 공사장 추락 근로자, 119-닥터헬기 공조로 생명 구해(인터넷), 2017.06.05 https://www.news1.kr/articles/?3012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