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한국의 문화정책과 문화예술교육

2008년 12월 대만국립예술대학에 초빙되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세미나에 발제자로 참석하여 한국의 문화정책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발표한 자료입니다.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2.01.15 최종저작일 2008.12
19P 미리보기
한국의 문화정책과 문화예술교육
  • 미리보기

    소개

    2008년 12월 대만국립예술대학에 초빙되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세미나에 발제자로 참석하여 한국의 문화정책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발표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우리의 예술교육정책 및 현황
    2. 예술교육의 의미
    3. 왜 “예술교육”인가?
    4. 영미의 예술교육 지원 현황
    5. 링컨센터 예술교육기관의 예술교육 사례
    6. 결론적 제안: 문화민주주의적 관점에서의 예술교육 개발과 시행

    본문내용

    참여정부에 들어서서 정부의 문화정책 중 핵심으로 떠오른 분야가 바로 ‘문 화복지’와 ‘예술교육’이다. 이미 영국과 미국에서도 이러한 예술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문화정책으로 초창기부터 반영되어 왔다. 문화관광부의 2004년도 직제 개편시 “예술교육”만을 전담하는 “문화예술교육과”가 생기고 실무 프로 그램을 진행하기 위한 기관으로 ‘예술교육진흥원’이 만들어져 .‘예술교육 아트 마켓,’ ‘학교의 예술 강사 파견’ ‘해외의 예술교육 소개 TV 프로그램 제작 지 원’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었고 이러한 사업을 통하여 예술교육의 중요성 이 널리 홍보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막대한 규모의 복권기금1)이 소외층의 예술교육을 위해 도입이 되어 소외시설에 국악, 연극, 음악 등 강사들이 파 견되고 각종 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서 예술단체들이 이 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을 경주하게 되었다.

    문화예술 활동의 활성화와 문화향수의 기초가 되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누구라도 동감하지만, 현재의 문화관광부의 문화예술교육의 전반적 흐 름을 보면 교육여건에 대한 충분한 논의나 검토 및 예술강사의 교육의 질에 대한 담보 등의 문제가 충분히 해결되지 못한 채 짧은 기간 내의 양적 확산 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막대한 복권기금이 예술교육과 관련된 활동에 유입되어 실제로 이를 실행할 역량보다 지원이 더 넘치고 있다는 생 각을 갖게 한다. 소외계층의 지원의 경우, 복권기금이 갖는 역진성을 완화 하는 측면에서 필요한 지원영역으로 인정을 받고 있지만 이러한 문화를 통 한 복지정책은 총체적인 복지정책과 조화를 이루면서 상보관계로 접근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인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를 중심으 로 각 기업체에 할당하는 형식으로 이벤트화 하여 대대적으로 실시하는 현 재의 물량위주의 진행방식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를 잉태하게 된다.

    참고자료

    · 김경욱, ‘문화민주주의’와 문화정책에 대한 새로운 시각 (문화경제연구, 2003.12 제6권 2호).
    · BAUMOL, W. J. & BOWEN, W. G., 1966. Performing Arts –The Economic Dilemma (Boston: The M.I.T. Press).
    · BOURDIEU, Pierre, 1996.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London: Routledge).
    · BUMGARNER, Constance M., 1994. Artists in the Classroom: The Impact and Consequences of the NEA’s Artist Residency Program on K-12 Arts Education in Arts Education Policy Review, Jan-April.
    · CHONG, Derrick, 2002. Arts Management (London: Routledge).
    ·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S, 1998. A New Cultural Framework (London: DCMS).
    · DICKENSON, Victoria, 1997. Museum Visitor Surveys: An Overview, 1930-1990 in TOWSE, Ruth (ed.), Cultural Economics: The Arts, the Heritage and the Media, Vol. I (Cheltenham: An Elgar Reference Collection).
    · DOBSON, Laura C. & WEST, Edwin G., 1997. Performing Arts Subsidies and Future Generations in TOWSE, Ruth (ed.), Cultural Economics: The Arts, the Heritage and the Media, Vol. I (Cheltenham: An Elgar Reference Collection).
    · HOLZER, Madeleine Fuchs & NOPPE-BRANDON, Scott, 2005. Community in the Making (Teachers College Press: New York).
    · LEE, Hye-Kyung, 2003. Reinventing the Non-profit Theatre: A Study of the Growth of Educational Work in British non-profit Theatres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PhD thesis (Warwick: University of Warwick).
    · The Natioanl Endowment for the Arts, 2004. Imagine! Introducing Your Child to the Arts (Washington: NEA)
    · O’HAGAN, John W., 1998. The State and the Arts: An Analysis of Key Economic Policy Issue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Cheltenhan: Edward Elgar).
    · THE PRESESIDENT’S COMMITTEE ON THE ARTS & HUMANITIES, Creative America – A Report to the President, 1997. World Wide Web pages: http://www.arts.endow.gov:591/forms-new/pub/general-pub.html.
    · ROBINSON, Gerry, 2000. The Creativity Imperative: Investing in the Arts in the 21st Century (London: The Arts Council of England).
    · ZEIGLER, Joseph Wesley, 1994. Arts in Crisis: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Versus America (Chicago: A Callella Books).
  • 자료후기

      Ai 리뷰
      문화복지와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정부 정책을 심도 있게 분석하였으며, 선진국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우리나라 예술교육 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