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론] 조나단 에드워즈의 칭의론 요약
- 최초 등록일
- 2021.12.26
- 최종 저작일
- 2021.11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소개글
"[구원론] 조나단 에드워즈의 칭의론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배경(Background)
2) 논지(Thesis)
3) 방법(Method)
2. 본론
1) 1장 그리스도와의 연합(Union with Christ)
2) 제2장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3) 제4장 칭의와 신자의 삶(Justification And The Chrisian Life)
3. 결론
1) 제5장 평가 및 결론(Retrospect)
본문내용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역사와 영원을 연결 짓는다. 그래서 본서의 논의는 영원에서 시작하여 역사를 거쳐 다시 영원으로 나아간다. 삼위일체를 근거로 어떻게 구속이 시작되었고, 역사 속에서 구원이 어떻게 완성되어 우리에게 적용되었으며, 다시 영원 가운데 우리가 누리는 구원과 칭의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생각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1장에서는 에드워즈가 사용하는 방법론, 즉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대한 삼위일체적, 언약 신학적 근거를 추적하고, 2장에서는 그리스도가 완성한 의가 어떻게 전가되는지를 구속사적 관점에서조명하고, 3장에서는 믿음이 완성된 칭의를 성도에게 적용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설명하면서 믿음에서 행위를 전적으로 배격하고, 4장에서는 칭의 이후의 삶, 즉 성화, 선행, 순종, 견인, 상급 등에 대해 칭의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 밝히고, 5장에서는 종합 및 평가의 의미로 에드워즈의 방법론이 개혁주의 전통 가운데 어디에 위치하는지 논하고, 또한 근자에 들어 에드워즈 신학을 왜곡하는 소위 “성향적 존재론적 구원론”을 반박하는 것으로 논의를 마친다.
A. 배경(Background)
조나단 에드워즈(1703-1758) 태어나 활동하던 시기는 이미 개혁파 정통주의(이하 정통주의)가 견고히 자리매김을 한 이후였다. 그가 목회자-신학자로 등장했을 무렵 개혁파 스콜라주의는 학문적 정립을 완성하였고 방대한 저서를 쏟아낸 때였다. 그 말은 조나단 에드워즈가 어떻게 신학을 해야 하는지 이미 내용과 함께 방법론도 완성되어 있었다는 의미이다. 그는 프란시스 투레틴으로부터 신학의 정교함을 배웠고, 윌리암 에임스로부터 교리의 실천성을 배웠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