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주요 특징과 차이 비교
- 최초 등록일
- 2021.11.25
- 최종 저작일
- 2019.09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주요 특징과 차이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능주의 이론의 특징
2. 갈등주의 이론의 특징
3. 두 이론의 공통점
4. 학교교육에 대한 두 이론의 관점
5. 기능주의 이론의 한계점
6. 갈등주의 이론의 한계점
7. 정리 (1) - 기능론과 갈등론의 사회관
8. 정리 (2) - 기능론과 갈등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관점
9. 정리 (3) - 기능론과 갈등론의 선발 배치 기능에 대한 관점
본문내용
1. 기능주의 이론의 특징
기능주의 이론은 각 부분이 전체 사회의 기능에 일부 필요한 활동에 기여한다는 것을 전제로 출발한다. 사회의 질서와 균형에 중점을 두고 사회 각 기관을 사회체제로 보며, 사회체제는 전체체제의 기능적 분할로 본다. 기능이론을 주장한 사람들은 콩트, 스펜서, 뒤르켐, 파슨즈, 말리노프스키, 브라운 등이 있다.
기능주의 이론은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사회의 본질을 상호의존적인 관계 또는 부분의 집합으로 구성된 체제로 본다. 기능이론의 기본적인 전제는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각 요소가 상호 연관된 체계로서의 사회는 동질성과 균형성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어 자기 규제적으로 본다.
(2) 사회가 생물유기체와 같이 자기 유기적 체계로서 생명을 연장하고 동질성을 보존하고 균형을 유지하려면 충족시켜야 할 기본적인 필요와 요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3) 사회의 각 부분은 우열이 없으며, 수행과정에서 기능상의 차이가 존재한다고 본다.
(4) 모든 사회구조는 그 구성원간의 가치에 대한 합의에 기본적 토대를 둔다.
(5) 사회계층은 차등적 보상의 결과물로 인해 형성된다.
사회를 한 체제로 보았을 때, 이것이 유지‧존속되기 위해서는 꼭 수행되어야 하는 임무 또는 활동이 있는 바, 이를 기능이라고 한다. 사회의 각 부분들은 동등한 상호의존과 상호연관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전체 사회의 존속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기능주의자들은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안정을 꾀하려는 힘을 강조한다. 균형과 안정을 강조하며 이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의 어느 한 부분의 변화가 사회의 존속에 위협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다른 부분이 이를 보상해야한다고 한다.
2. 갈등주의 이론의 특징
갈등주의 이론은 사회의 재화는 일정한데 비해 인간의 욕망은 무한하므로 모든 사회는 이를 둘러싼 갈등과 긴장관계에 놓여 있다고 전제한다. 지배집단은 모든 사회가치의 중심체 역할을 하며 현 상태가 계속 유지되기를 바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