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살아있다 비평문
- 최초 등록일
- 2021.04.28
- 최종 저작일
- 2020.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영화 살아있다 비평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좀비 영화로서의 영화 ‘#살아있다’
2. 영화 속 좀비
1) 좀비(zombie)의 의의 및 영화 속 좀비
2) 좀비 영화의 등장
3. 영화 ‘#살아있다’ 속 좀비가 대변하는 불안의 요소
1) 죽음
2) 비 유기체적 사회의 소통의 단절, 대화 상대자의 부재
3) 공동체의 해체
본문내용
영화 ‘#살아있다’의 시나리오는 헐리우드 시나리오 작가 맷 네이럴의 각본 ‘Alone'을 기반으로 한다. 조일형 감독은 ’Alone'의 각색에 참여했다가, ‘#살아있다’를 통해 감독으로 데뷔하게 되었다.
한국적인 설정으로 시나리오를 각색하면서 제목은 ‘살아있다’로 변경되었고, SNS상에서 포스팅의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이른바 태그(#)를 제목 ‘살아있다’ 앞에 붙임으로써 SNS상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현실 세계를 정확하게 반영하고자 했다.
최근 영화 ‘부산행’을 필두로 하여, 넷플릭스의 ‘킹덤’, 네이버 웹툰 ‘좀비 딸’, 영화 ‘창궐’, ‘반도’와 ‘#살아있다’에 이르기까지 좀비 컨텐츠가 꾸준히 제작되어 인기를 얻고 있는 바, 이하에서는 좀비 장르 영화로서의 영화 ‘#살아있다’를 해당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758, 시사저널, 2020년 6월 28일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8583, 동아사이언스, 2020년 8월 1일
구사노다쿠미, 환상동물사전, 들녘, 2001
박성수, 영화에 나타난 현대 사회의 불안과 불안의 신학적 이해(영화 속 '좀비'의 유행 현상을 중심으로), 2014
https://namu.wiki/w/%EC%A2%80%EB%B9%84%20%EC%98%81%ED%99%94, 나무위키, 좀비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