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과 에너지(원자력발전, 지구온난화, 미세먼지)
- 최초 등록일
- 2021.02.12
- 최종 저작일
- 2020.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석탄화력발전과 에너지(원자력발전, 지구온난화, 미세먼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석탄 화력발전소와 에너지 (석탄 화력발전과 원자력 발전의 에너지에 대한 고찰)
1) 석탄 및 원자력 발전의 강점
2) 석탄 발전과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 해결책 및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
3) 결론
2. 석탄 화력발전소와 지구온난화
3. 석탄 화력발전소와 미세먼지
본문내용
①전기요금 안정화에 기여하는 석탄 발전: 석탄 발전의 의의는 LNG나 신재생 에너지와 비교했을 때 전략생산 단가가 저렴하고 수급이 안정적인 까닭에 미국과 일본, 독일 등 그 역할을 인정받고 있다.
②국익 창출의 원천인 석탄 발전: 발전소의 건설은 수조원의 막대한 비용이 투자되고 수많은 협력업체가 참여한 대규모 건설 사업으로 해당 지역 고용창출 효과 및 지역 발전 사업에 기여할 수 있어 일자리 창출과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더불어 석탄 화력의 플랜트 원천기술 확보를 촉진해 관력 기자재의 국산화율을 확대함에 따라 세계시장 진출로 국인창출에 역할을 한다.
③환경 친화적 에너지인 원자력 발전: 발전 연료별로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비교했을 때 원자력 발전이 가장 적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즉 실용에너지 중에 원자력 발전이 가장 청정에너지에 가깝고 온실가스 감축을 두고 그 효용성 또한 높아질 것이 분명한 에너지다.
④안정된 연료공급 및 비축 효과를 나타내는 원자력 발전: 우라늄은 원전의 연로로써 세계 전역에 고르게 매장되어 있고 수입원 또한 경제적, 정치적으로 안정된 선진국이기 때문에 세계 에너지 정세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소량의 연료인 우라늄은 막대한 에너지를 냄으로써 수송과 저장 또한 쉽다. 즉 연료 비축효과가 크다.
참고 자료
한국일보 2017.06.18. ‘화력발전소 없애는 게 능사인가
한국연구재단 2015 [원자력발전 외부비용 연구들에 대한 검토]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안전성 제고 비용을 고려한 한국 원자력발전의 경제성 분석
“석탄화력발전의문제점”,그린피스, http://www.greenpeace.org/korea/campaigns/climate-energy/coal/problems/
“에너지기본계획안 공개... 2040년 재생에너지 비중 30~35% 늘린다”, 매일경제 MBN,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4/244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