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 - 대체연료의 이산화 탄소 배출 감소에 대한 기여의 유효성
- 최초 등록일
- 2020.03.17
- 최종 저작일
- 2020.03
- 9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소개글
"일반화학 - 대체연료의 이산화 탄소 배출 감소에 대한 기여의 유효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대체연료는 화석연료에 비해 이산화 탄소를 적게 배출할까?
2..1. 다양한 대체 연료와 이용 사례
1) 전기자동차
2) 프로페인
3) 에탄올 (E85)
4) 압축 천연가스
2.2. 연소로부터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
3. 결론
본문내용
새 자동차를 구입하고 대체 연료의 환경적 이익에 대해 더 알고 싶다고 생각해 보자. 우리나라 한국 에너지공단은 바이오 디젤, 전기, 에탄올(E85), 압축 천연가스(CNG), 액화 천연가스(LNG), 수소, 액화 석유 가스(프로페인) 등 여러 종류의 대체 연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 가지 중요한 기준은 연료를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네 가지 대체 연료는 전기, 프로페인, 에탄올, CNG이다. 에너지 자립과 지속 가능성 또한 중요한 요인이다. 우리나라 동해 부근에서 천연가스가 생산되기는 한다마는 우리나라 연간 에너지 소비량의 2% 가량에 불과하다. 기타 요인으로는 연료의 비용, 연료의 배출량 등이 있다. 이 예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기여, 특별히 이산화탄소만을 평가할 것이다.
온실가스는 대기권에서 지표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온실 효과를 일으킨다.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를 온실기체라 한다. 온실기체로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이산화질소(NO2), 수소불화탄소(HFC),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항(SH6) 등 크게 6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이중 이산화탄소(CO2)는 전체 온실기체에서 77%를 차지하고 있어 온실기체 배출 규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농축산업에서 주로 발생하는 메탄은 전체 온실기체 중 14%, 산업공정이나 비료 소각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질소(NO2)가 8% 그리고 나머지 기체들이 1%씩 차지하고 있다. 이런 온실기체는 지구온난화를 초래하여 각종 기상이변을 야기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슈퍼 엘니뇨로 인한 폭염 등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1990년 2억 3170만 톤이었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00년 4억 3170만 톤에서 2013년 5억 7220만 톤으로 크게 늘어났다. 한국은 2000년부터 2013년간 OECD 회원국 중에서 이산화탄소(CO2) 배출 증가율이 33%로 세 번째로 높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