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의 리더십
- 최초 등록일
- 2021.01.30
- 최종 저작일
- 2019.02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모세의 리더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리더십의 개념 정의
2. 모세 리더십의 장단점
3. 주요한 인생사건과 모세의 대처법
4.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윤리적인 죄
5.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윤리적인 죄
6. 반대자를 다루는 방법과 영성생활
III. 결론
본문내용
성경에는 많은 하나님의 사람들이 등장한다. 하지만, 변화산상의 이적이 보여주듯이, 모세는 성경에서 가장 대표적인 지도자였다. 모세의 삶 자체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어내기’ 위해 존재했고, 그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 80년간 준비되었으며, 40년 동안 하나님의 손에 붙잡혀 백성을 이끌어 하나님께서 지시한 땅으로 갔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백성을 완전히 출애굽시키는 것은 힘든 일이었다. 아니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스라엘 백성은 애굽의 노예생활이 주는 물질의 풍요와 쾌락에 익숙했기 때문이다. 민수기가 보여주듯이 이스라엘백성의 불신과 반역은 가나안 땅을 눈앞에 둔 시점에도 변화가 없었다. 몸은 애굽을 떠났지만, 마음은 여전히 애굽땅에 머물러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애굽에서 먹던 고기와 애굽에서 경험한 쾌락을 그리워하며 우상을 숭배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익숙했기 때문이다.
도산 안창호 선생은“우리 가운데 인물이 없는 것은, 인물이 되려고 마음먹고 힘쓰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왜 인물이 없다고 한탄하는 그 사람이 인물이 될 공부를 하지 않는가.”라고 한탄했다. 하지만, 오늘 우리가 사는 세상에는 인물이 되려는 사람들로 넘쳐난다. 완장을 두른 지도자가 되어서 이끌겠다는 포부가 대단하다. 하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지도자란 섬기는 사람이 아니요, 지배하며 누리는 사람이다.
교회는 이와 다를까? 아니 다르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안타깝게도 한국교회 안에는 세상의 권력욕과 지도자들의 도덕적 타락이 농축되어 있다. 교회가 세상을 걱정하고 권면해야 하는데, 세상이 교회를 염려하고 교회의 회개를 촉구하는 그런 시대가 되었다.
총회장과 감독이라는 직함을 목사라는 직분보다 더 귀히 여기는 시대가 되었다. 돈과 정치적 인맥을 이용한 교단장 선거가 공공연히 행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입으로는 “주님의 종”이라고 이야기하지만,“주의 종님”이 된지 오래다.
참고 자료
제임스 휴스턴(2004), 멘토링 받는 삶, 서울: IVP
로버트 K. 그린리프(2006), 서번트 리더십 원전, 참솔
한스 핀젤(2002), 리더가 저지르기 쉬운 10가지 실수, 서울: 프리셉트
존 스토트(2002), 리더십의 진실: 인간의 약함 안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능력, 서울 : IVP
게리 맥킨토시(2015), 극복해야 할 리더십의 그림자, 서울: 두란노